이전에 엘븐덱 공략을 작성한 본인임.

앞으로 변소 5지가 다가오는데 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서도

구체적으로 어떤 철충을 어떻게 파훼해야 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기 위해 작성함.

엘븐덱 공략에 내용을 추가할까 생각해봤는데 글이 너무 길어질 것 같아서 따로 작성함.

단, 어느정도 엘븐덱 자체를 완성된 상태라는 가정 하에 작성된 글이라서 개인에 따라 체감이 다를 수 있음. 

PC에서 작성한 글이기 때문에 가독성 또한 PC로 보는 것이 좋을 것.


내용이 헷갈릴 수 있으니 아래 이미지 기준의 스쿼드 배치로 설명하겠음.

※모든 철충 이미지는 교본에서 가져왔음을 미리 밝힙니다.


난이도 설명

위험도 하 : 무지성으로 때려잡아도 상관없는 철충/얘네만 있을 때 오토 가능한 철충

위험도 중 : 어느 정도 직접 손으로 잡아야 하는 철충

위험도 상 : 어느 정도 운이 필요하거나 엘븐덱으로 공략 불가능한 철충


위험도 하

- 그냥 막 때려잡아도 상관 없는 철충. 종류가 많아서 조금 의아하게 생각할만한 철충들만 사진 가져옴.


칙 실더 TYPE-S


- 대부분은 기믹있는 철충들을 지키다가 먼저 없어지는 철충. 엘븐들로 치다보면 알아서 처리된다.


철파르탄즈(초상화가 얘네 비슷하게 생긴 철충 냉기/불꽃/전기)

- 속저 피감 100퍼인 엘븐에게 전혀 위협되지 않는다.

불꽃 속성 철파르탄에게는 매 라운드 도트딜이 있지만, 세레스티아 클렌징으로 그 딜 조차 상쇄된다.

게다가 엘븐1스는 침수속성이 달려있어서 불꽃 속성 철파르탄에게 적게나마 딜이 들어간다.

라운드 지나서 방어 깎이기 시작하면 알아서 때려잡히는 철충.


철트리스

- 얘'만' 있으면 엘븐덱에서 크게 문제될 건 없다.

문제는 얘가 보호하는 애들이지.


스펙터 종류

- 다크엘븐은 모든 엘븐들의 공격에 지원공격을 나가며, 자신마저 재공격을 한다.

타격횟수가 많기 때문에 몇회 피해무효같은 안일한 버프로는 엘븐들을 막을 수 없다.


스캐럽H

- 3라운드 넘어가면 회피율이 상승하는 철충

닼븐은 공격 빗나가면 해당 라운드 동안 적중률 최대 +1000퍼(스킬레벨10/호감200(서약))다.

이-글 아이로 쏴주자.


노란 날파리(라이트닝 봄버/TYPE-X포함)

- 빨봄이 아니라 노란 녀석은 반격을 하지 않기 때문에, 바로 위의 스캐럽과 마찬가지로 닼븐 선에서 처리가능하다.



위험도 중

- 충분히 공략 가능하지만 잘못 건드리면 위험한 철충


빨봄(라이트닝 봄버 TYPE-S)

이유?

높은 회피율과 회피시 반격/정말 가끔씩 쏘는 무시무시한 보호무시2스킬

공략법

1. 다른 철충들을 처리하면서 빨봄이 공격한 후에 잡는다(정공법).

2. 라운드에 얘네만 남았을 경우엔 어쩔 수 없이 반격을 맞아서 처리해야한다.

엘븐/세레스티아 공격 → 반격 → 닼븐 지원공격 빗나감(명중률 버프) → 닼븐으로 처리

여기서 빨봄 반격이 뒷열까지 때리기 때문에 엘븐으로 공격하면 닼븐도 맞는다.

세레스티아로 1스킬을 써서 반격을 대신 맞아주는 방법을 추천.

전투속행 켜진 하토르 있으면 하토르 1스킬로 발사대 역할을 해주면된다.


슬래셔

이유?

얘가 치명타 뜨면 엘븐 받는피해감소를 무시하고 데미지가 들어온다.

높은 우선순위로 먼저 처리해주자.


악수맨(센츄리온 시리즈)

이유?

철충 1마리라도 죽으면 자체 반격버프(2라운드)

공략법

1. 가장 먼저 없앤다.

2. 가장 나중에 반격버프 꺼지면 없앤다.

3. 한 방에 없앤다.


스피커

이유?

세레스티아를 뒤로 밀어내면 엘븐 받피감 50퍼가 날아간다.

공략법

1. 밀치기 전에 먼저 없앤다.

2. 만약 세레스티아가 밀쳐진다면 최대한 빠르게 엘븐과 다시 붙여준다.

+ 보통 다른 철충들에게 보호받는 후열에 있는 경우가 많은데, 세크메트 2스로 사멸시켜주자.


캐미컬 칙 TYPE-X

얘네는 위험한 게 아니라 귀찮은 철충임.

공략법

1. 엘븐 1스(침수) → 세레 1스(침수시 강화해제)를 한 라운드에 때려박는다.

2. 샬럿이 있을 경우 샬럿이 1스 → 2스 순으로 쓰면 대상강화해제로 잡을 수 있다.

3. 오토켜서 120대를 때린다.


타란튤라 시리즈

엘븐의 받피감을 무시하고 터질 수 있다. 적당히 우선순위를 정하여 때려잡자.


한랭지형 칙 스나이퍼

그냥 칙 스나이퍼와 마찬가지로 보호무시공격을 날린다.

다만 회피율이 높고 회피시 반격까지 하기 때문에, 빠르게 닼븐으로 처리해주는 게 좋다.


칙 엠페러

다른 철충 1마리가 잡힐 때마다 광분 스택이 쌓여서 3스택이 되면 보스급으로 위험해진다.

다른 철충을 최대한 건드리지 않고 빠르게 처리해주자.


사이클롭스 Type-X

의외일 수 있는데, 얘 공격이 슬래셔와 마찬가지로 엘븐의 받피감을 무시한다.

공략법

- 다른 철충들을 먼저 잡은 뒤 얘가 공격할 라운드가 오기 전에 공격을 퍼부어서 잡는다(그 전까지 건들면 안된다).

※HP가 50퍼 밑으로 내려가면 반격하는 기믹은 50퍼 밑으로 내려간 해당 라운드에는 발동하지 않는다.


매머드, 칙 캐논 시리즈

엘븐덱 특성상 전투원이 뭉쳐있고, 엘븐과 세레스티아 외엔 별로 튼튼하지 못하므로 포격 떨어지면 큰일나니 서둘러 잡아주자.

빅 칙 캐논 G 같은 경우엔(바로 위 오른쪽 철충)

피격시 적 경장형 적에게 대중장 피해량을 30퍼나(!) 맞을 때마다 중첩하여(!!) 감소시킨다.

세레스티아 2스로 지울 순 있지만 이왕이면 빠르게 잡아주자.


칙 런처 Type-S(빨칙런처)

라운드가 지날수록 강해지는 녀석이다. 이왕이면 3라운드 넘어가기 전에 빠르게 잡아주자.


라인리터SP

자주 보는 적은 아니지만, 얘는 무조건 첫타는 피해최소화 및 2라운드 동안 반격한다.

특히 반격 공격은 때린 전투원 뒤쪽전투원까지 맞기 때문에,

빨봄과 마찬가지로 이왕이면 세레스티아 1스로 피해최소화를 벗겨주자.

공략법

엘븐/세레스티아 공격 → 반격 → 닼븐 지원공격 + @로 처리


에큐토스

바로 위 라인리터SP와 마찬가지로 자주 보는 적은 아니지만 까다로운 녀석.

아군AGS가 5기 이상일 때 무한(!) 전투속행효과에 전투속행시 1라운드동안 반격버프를 달고있는 녀석이다.

공략법

1. 아군(우리 기준으론 적군)AGS를 얘네 빼고 없앤다.

2. 엘븐공격 → 반격 → 닼븐 지원공격 + @로 처리

얘네는 단일대상공격이기 때문에 엘븐으로 먼저 때리면 된다.


위험도 상

특정 조건이 아니라면 공략 불가능한 철충


디스트로이어

만약 변소 적 정보에 얘가 있으면 다른덱 들고가는 거 추천함.

첫번째 행동때 실드 생성(한 라운드 6회 피격시 공격 멈춤)

두번째 행동때 보호무시/받피감무시 1열 공격. 쉽게말해서 엘븐 닼븐 세크가 증발한다.

2마리 까지는 상대할 수 있지만 그마저도 철트리스 같은 보호해주는 철충들에 둘러쌓여있으면 뚫기 어렵다.

3마리 부터는 웬만한 상황(보호해주는 철충이 없다던가) 아니면 다른 덱 들고오자.


보스급들


추격자

위험도 중

대대손손 욕먹는 추격자 시리즈. 하지만 얘 자체는 생각보다 어려운 녀석이 아니다.

10회 피해무효는 타수가 많은 엘븐덱에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건드릴 때마다 2스킬 사용확률이 높아지는데,

2스킬에 보호무시+피감 무시+3x3범위기가 달려 있는지라 이걸 맞으면 조용히 퇴각을 누르는 걸 추천함.

공략법

1. 다른 철충들을 처리할 동안 건드리지 않는다(세크메트의 공격범위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자).

2. 얘만 남으면 20ap모아서 한 라운드에 잡는다고 생각하자.

3. 한라운드에 잡기 실패했더라도 막웹이라면 포기하지 말자. 엘븐은 추격자 2스킬 1대까지는 버틸 수 있다.


칙 커맨더

위험도 중

엘븐덱에 보호무시공격이 필요한 이유.

보통은 솔저칙과 다른 지정보호철충에 둘러싸여있는 경우가 95퍼다.

하지만 자신 주위 1칸의 다른 철충은 전투속행 1회/솔저칙은 위치 상관없이 무한속행을 뿌리는 데다

다른철충 사망시 자신 포함해서 어마어마한 버프를 퍼준다.

심지어 위 사항들이 얘를 잡았더라도 그 라운드에는 해당되는 (미친)기믹이라 혈압올리지 않으려면 보호무시가 필수인 녀석임.

공략법

1. 보호무시공격기/아우로라2스/암습형OS 3가지 중 하나를 들고간다.

2. 칙 커맨더를 잡은 라운드에 다른 녀석을 잡으면 전투속행 + 철충능력치버프가 그대로 들어간다. 딜계산에 주의할 것


프레데터

위험도 하

2스킬에 보호무시 효과가 달려있다. 적당히 처리해주자.



트릭스터

위험도 하(1~3지역)/위험도 중(4지역)

3지역 까지는 2스킬보호무시만 조심하면 크게 어려움이 없다.

4지역에서부터 이야기가 달라지는데, 피격시마다 3라운드동안 지속되는 스택이 1개씩 쌓이고

스택이 5회 이상 쌓이면 회피+999%, 회피시 방관100%반격이 켜진다. 다행인 점은 건드리지 않으면 다시 꺼진다는 점.

이 부분만 주의해서 처리하자.

공략법

1. 3라운드 동안 4대 이하로 잡는다.

2. 광란상태일 시 건드리지 않고 해당 버프가 꺼지면 잡는다.


익스큐서너

위험도 하

2스킬에 보호무시가 달려있지만 범위 자체는 엘븐덱에 크게 위험하지 않은 X자형이고

이펙트 화려함에 비해 그렇게까지 강력하진 않다.

하지만 피격시 공격력8%증가라는 버프는 무시할 수 없으므로, 최대한 많은 타격횟수로 처리해주자.

공략법

- 피격시 피해최소화, 공격력 증가이기 때문에 세레스티아 1스킬까지 동원해서 최대한 많은 타수로 잡는 수밖에 없다.


이모탈 익스큐서너

위험도 상

3번 전투속행 후 2라운드 동안 능력치 대폭 상승, 피해최소화 버프가 걸리는 녀석

이 2라운드 동안은 무슨 짓을 해도 잡을 수 없고,

1스킬에 30% 확률로 엘븐의 받피감을 무시하고 데미지를 때리며

2스킬에 보호무시가 달려있는 녀석이라 2스킬로 어떤 전투원을 때리는지에 따라 공략 가능여부가 달라진다.

최대한 빨리 전투속행 3번을 소모하고 2라운드 후 잡아주자.

엘븐의 체력이 버텨줘야하는 운에 맡기는 요소가 제일 큰 녀석이기 때문에 위험도 상으로 분류함.

공략법

1. 최대한 빠르게 3번 전투속행 만들어준 뒤 최후의 힘 패시브 발동시킨다.

2. 2라운드 후 죽는 게 아니라 직접 데미지를 박아넣어 잡아줘야한다.

3. 엘븐이 얘네를 잡을 때까지 버틸 수 있도록/2스킬은 엘븐만 노릴 수 있도록 바라셈


언더왓처

위험도 중

언더왓처 자체는 문제가 없지만, 제네레이터(오른쪽 사진)이 계속 공격력 증가, 아군 강화스택을 쌓아주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제네레이터를 처리해주자.

공략법

- 언더왓처를 빠르게 처리할 수 없다면 제네레이터부터 처리해주자.


스토커

위험도 하

네임드 주제에 사실상 디스트로이어 하위호환.

차징 ~ 발사까지 시간이 꽤 걸리기 때문에 빠르게 잡아주자. 


비헤더

위험도 상

방치하면 스쿼드 공격력-200%까지, 처리하려고 때리면 반격

그나마 이모탈 익스큐서너보다는 운적인 요소가 적지만, 공격기들이 반격에 죽지 않도록 신경써야한다.

공격기들의 HP가 얼마 없는 상태에서 얘를 만나면...

최우선순위로 잡아주자.


레이더

위험도 하

2스 보호무시효과, 아군 철충 처치시 다음 라운드부터 아군 철충들 지원공격 기믹을 갖고있다.

의외로 보호무시공격인 2스가 쏠쏠하게 딜이 들어오니 우선적으로 잡아주자.

공략법은 크게 없다.


둠 이터

위험도 중

엘븐덱 쓰면서 얘한테 크게 억까당한 적은 없는데 스킬 설명보면 2스에 보호무시효과를 가짐.

어차피 다른 기믹있는 철충들은 얘가 먹어줄테니, 최우선 순위로 처리해주자.

혹시 특수한 상황이 있다면 댓글로 써주셂...


네스트

위험도 하

공격에 보호무시 없기 때문에 엘븐으로 충분히 버틸 수 있다.

같이 나오는 가디언, 체이서들과 함께 무난하게 공략할 수 있음.


쉽게 잡을 수 있는 철충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애들


디텍터 종류

이유? 여러가지 디버프 뿌림


혹시나 없는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제보해주면 추가하겠음!

모두들 엘븐덱 잘써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