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패치 이후로 방주 2-7에서


헬라라는 캐릭터가 최초로 드랍으로 풀리게 되었음


고인물들이야 대충 페레나 찐조 던져 놓으면 알아서 먹을테고

페레나 찐조가 없는 뉴비도 헬라를 캘 수 있게 무적의 용과 마리아로 이론 상 공략을 짜 봄


배치



마리아의 1번 패시브 범위 내에 무적의 용이 배치되기만 하면 어떻게 배치해도 무방함


당연하겠지만, 스킬 레벨은 둘 다 10레벨 필수이며, 마리아는 레벨 무관, 스텟 무관, 장비 무관, 링크 무관으로 몸뚱아리만 있으면 됨


간혹 스킬 레벨 몇 레벨부터 가능한가라고 문의하는데, 솔직히 일일이 스킬 레벨 몇부터 가능하다고 알려 주기는 힘들다고 생각함

대부분 공략글의 장비 세팅이 스킬 레벨 10을 전제로 한 경우가 많으며, 스킬 레벨이 10 미만일 때 스텟의 변화와 장비 세팅의 변화 모두를 고려하는 것이 쉬운 일은 결코 아님

일일이 스킬 레벨 몇 레벨부터 가능하다를 계산하기에는 변수가 너무 많으니까 그냥 스킬 레벨 10레벨은 찍어 주길 바람

여지껏 작성한 공략글에서 전투원 레벨 몇 이상이다라고 강요한 것도 아니고, 전투원의 공격력이 몇 이상이면 된다라고 언급한 만큼 스킬 레벨 10 정도는 충분히 찍어서 왔으면 하는 심정

그게 아니라면 댓글로 욕을 박아도 겸허히 받아 들이겠음

타당한 근거를 제시해서 비판을 한다면, 그것 역시 공략 작성자가 수용하고 반영해야 하는 것임을 통감하고 앞으로의 공략글에서 반영하도록 하겠음


무적의 용 상세 스펙


1. 개요

· 링크 적합률 200% 이상 (특수 대체 코어로 링크해도 되며, 특수 대체 코어를 아끼고 싶으면 하술할 4번 항목 참고)

· 공격력 : 최소 1533 이상

· 적중률 : 적중률에 스텟 포인트를 분배하지 않아도 무관함

· 치명타 : 무적의 용 자체의 치명타 버프 14.5%를 고려하여, 스텟창 기준 85.5% 이상

· 장비 세팅

- 출력 강화 회로 : 공격력 최소 1533 이상이면 되니, 분석 회로/분석 회로 베타/출력 강화 회로 베타를 사용해 유동적으로 조절 가능

- 회로 최적화 : 회로 최적화 베타로 대체 가능하며, 상세한 강화 단계 및 세팅은 하술할 3번 항목 필독

- 대 중장 전투 시스템 : SS급 기준 노강으로도 가능

- 운명의 수정구 : 소형 정찰 드론으로 대체 가능하며, 상세한 강화 단계 및 세팅은 하술할 3번 항목 필독


2. 공격력

우리가 처치해야 할 가장 단단한 적4웨이브의 마리오네트 중장갑병

결론부터 말하자면, 노강 SS급 대 중장 전투 시스템을 착용하고 공격력이 1533 이상이어야 함



계산 과정 (보고 싶으면 봐도 됨)

마리오네트 중장갑병의 상세 스펙을 보면

유형 : 중장형

HP : 10511

방어력 : 776


마리오네트 중장갑병의 1번 패시브

광역 피해 분산 최대 35%


마리오네트 중장갑병의 2번 패시브

받는 피해 감소 10%가 달려있음


이들 요소가 무적의 용이 가하는 데미지를 낮추는 요소로 작용하며, 무적의 용이 받는 각종 버프와 상호 작용해 데미지를 결정함


이제 무적의 용과 마리아의 스킬을 살펴보면


무적의 용의 폼 체인지 1번 스킬

계수 : 2.9

방어 관통 보정 : 85%

피해량 증가 : 정찰 활성화 시, 43.5%


무적의 용의 3번 패시브


공격력 증가 : 정찰 활성화 시, 21.75%


마리아의 1번 패시브

공격력 증가 : 19%


필요한 정보는 모두 얻었음


라스트오리진의 데미지 계산식은 길고 복잡한데, 일단 지금 위에서 얻은 정보들만을 이용해 계산식을 간략화하면,


데미지 = [공격력 × (1 + ∑공격력 버프) × 스킬 계수 × 치명타 시, 1.5 × (1 + ∑대 타입 피해량 증가) × (1 - ∑받는 피해 감소) - 방어력 × (1 + ∑방어력 버프) × (1 - ∑방어 관통)] × (1 + ∑피해량 증가) × (1 - ∑광역 피해 분산)

이라는 전혀 간략하지 않은 식으로 표현 가능함


공격력 버프 : 21.75% + 19% = 40.75%

스킬 계수 : 2.9

치명타는 확정으로 맞출 것이니 1.5는 상시로 곱한다고 생각하면 됨

대 타입 피해량 증가 : 노강 SS급 대 중장 전투 시스템을 착용하므로, 중장형 한정으로만 19%

받는 피해 감소 : 10%

방어력 : 776

방어력 버프 : 없으니까 0

방어 관통 : 85%

피해량 증가 : 상시 정찰 상태를 유지할 것이니, 43.5%


광역 피해 분산은?

애석하게도 35%가 아님


광역 피해 분산은 공격 칸 수 내에 몇 기의 적이 피해를 입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수치임

마리오네트 중장갑병에 표시된 광역 피해 분산 35%는 공격 칸 수와 공격 대상의 수가 같을 때, 공격 칸 수 2칸 이상의 광역기에 한해 최대로 적용되는 수치임


실질적으로 적용되는 광역 피해 분산 수치를 구하는 공식

광역 피해 분산의 최대치 × (피격 대상의 수 - 1) ÷ (공격 칸 수 - 1)이며


표식이나 도발과 같은 무적의 용의 공격을 강제로 유도하는 장치가 없으므로, 무적의 용은 3×3 범위의 1번 스킬을 정중앙 위치에 찍어 항상 9칸의 범위로 공격을 시전함


따라서 공격 칸 수는 9칸, 피격 대상의 수는 7기로 이를 대입해 계산해보면,

35% × (7 - 1) ÷ (9 - 1) = 26.25%


광역 피해 분산 : 26.25%


이제 얻은 수치들을 다 대입해, 마리오네트 중장갑병의 체력 10511에 해당하는 데미지를 입히기 위한 최소 공격력의 수치를 계산하면

[공격력 × (1 + 0.4075) × 2.9 × 1.5 × (1 + 0.19) × (1 - 0.1) - 776 × 1 × (1 - 0.85)] × (1 + 0.435) × (1 - 0.2625) ≥ 10511

공격력 ≥ 1532.368...

이라는 소수점이 나오는데, 스텟창에서 공격력은 소수점 단위까지 나타나지 않으므로 1533 이상을 맞추면 된다는 것임


이해 못 했으면, 아~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도 무방함


3. 행동력

무적의 용의 운용 특성상 0턴을 잡는 것이 강제됨 (0턴 : 대기 후, 포격 준비 → 1턴 : 누구보다 빨리 행동해 포격)

관련된 내용은 https://arca.live/b/lastorigin/74479738 해당 공략이 이해하기 쉽고 재밌게 설명했으니 참고 바람


결론부터 말하자면, 무적의 용의 인게임에서 행동력이 5 이상이어야 함


사용할 장비회로 최적화 또는 회로 최적화 베타 1개, 소형 정찰 드론 또는 운명의 수정구


회로 최적화, 회로 최적화 베타, 소형 정찰 드론, 운명의 수정구 순으로 이렇게 생김


행동력 계산식은 아래와 같음

전투원의 실질 행동력 = (전투원의 기본 행동력 + 회로 최적화 또는 회로 최적화 베타 등에 의한 추가 행동력의 합) × (1 + % 형태로 적용되는 행동력 버프의 합)


예시를 들면,

무적의 용의 기본 행동력은 4.15임

무적의 용은 노강 SS급 회로 최적화 베타를 1개 착용해 0.18의 행동력을 추가로 얻음

무적의 용은 노강 운명의 수정구를 착용해 5%의 행동력 버프를 얻음

무적의 용은 마리아 1번 패시브의 범위 내에 들어와 7.25%의 행동력 버프를 얻음


이 때, 무적의 용의 실질 행동력(4.15 + 0.18) × (1 + 0.05 + 0.0725) = 4.860425


해당 계산식과 관련해서 충분히 이해했을 것이라 믿고(?)


공략글을 따라하는 유저들의 개별 세팅이 다를 수 있으므로 소형 정찰 드론 및 운명의 수정구의 강화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세팅을 언급하도록 함


작성자는 운명의 수정구 0강 ~ 10강에 대한 세팅 및 소형 정찰 드론을 사용할 때에 대한 상세한 세팅을 안내하였으므로, 본인이 가능한 세팅을 꼼꼼히 확인하여, 세팅 문제로 인해 작성자에게 문의하는 일이 없으면 좋겠음



운명의 수정구 세팅
운명의 수정구 강화 단계칩에 의한 행동력 보정 수치비고
0강0.305 이상행동력과 관련된 칩 2개 사용 필수 / 적합률 200% 기준 공격력 부족
1강0.266 이상해당 강화 단계부터 공격력/치명타와 관련된 칩 1개 사용 가능
2강0.227 이상
3강0.189 이상
4강0.152 이상
5강0.115 이상
6강0.079 이상
7강0.043 이상
8강0.009 이상
9강보정 필요 없음해당 강화 단계부터 공격력/치명타와 관련된 칩 2개 사용 가능
10강보정 필요 없음




소형 정찰 드론 세팅

소형 정찰 드론 및 회로 최적화 또는 회로 최적화 베타 1개의 강화 단계 무관, 소형 정찰 드론 및 회로 최적화 또는 회로 최적화 베타의 행동력 수치의 총합 0.513 이상


4. 링크 적합률

무적의 용 노링크 기준으로 위의 공격력 최소컷을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함

최소한 무적의 용이 코어 링크 적합률 200%를 달성해야 함


따라서 무적의 용에 링크를 걸어줘야 하는데,

가장 이상적인 것은 "특수 대체 코어" 2개를 사용하여 무적의 용을 2링크 이상으로 만들어주는 것임


다만, 특수 대체 코어의 경우 뉴비들의 입장에서는 사용처는 많은데 반해, 갯수는 부족한 관계로 특수 대체 코어를 사용하지 않고 코어 링크 적합률 200%를 달성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함


굳이 특수 대체 코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무적의 용이 SS급의 경장 지원기인만큼,

S급의 경장 공격기 또는 S급의 경장 보호기, S급의 기동 지원기, S급의 중장 지원기 5기 내지는

S급의 경장 지원기 3기와 B급의 경장 공격기/경장 보호기/기동 지원기 1기를

코어 링크하여 링크 적합률 200%를 넘기는 것 역시 유효함

다만 링크를 끼워준 숫자만큼 무적의 용의 출격 비용이 증가한다는 것은 유념하길 바람


무적의 용의 링크 적합률 200% 기준, 10강 SS급 출력 강화 회로와 무적의 용 100레벨에서 스텟 포인트를 공격력에 투자하면 공격력 최소컷 1533은 충분히 넘길 수 있음

공격력이 부족하다면, SS급 출력 강화 회로 베타를 충분히 강화해서 사용하거나, 무적의 용의 링크 적합률을 더 늘릴 수 있게 세팅하길 바람

어차피 링크 적합률이 500%로 출격 비용 -25%를 설정하지 않는 이상, 5기의 캐릭터로 링크 적합률 200%를 만들던 300%를 만들던 소모하는 자원의 양은 같음


공략글의 내용이 이론 상으로 작성된 만큼, 실제 인게임에서 제대로 진행되지 않으면 문의 바람

문의를 취합한 해 분석한 후, 공략글을 수정하겠음

긴 이론글 읽어줘서 감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