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탐켄치는 덩치를 키우면 q 스킬의 사거리 대폭 증가한다. 다만 q 던지기 전 범위를 보여주는 미리보기에서는

원래 사거리로 나온다. 실제로는 늘어난 사거리까지 혀가 닿는다.



2. 다리우스의 출혈 도트딜에는 블클의 방깎이 묻는다. 



3. 신성한 파괴자의 체력 회복은 주문검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 회복은 적의 방어력에 관계 없이 "감소 전 피해량" 을 기준으로 회복되는데, 적이 방어력을 높여도 데미지는 줄어들지만 회복량이 줄지는 않는다. 체력이 높은 적을 상대할때 좋은 이유.



4. 점화는 불태우는 적의 시야를 공유하지만, 절대 시야는 아니다. 장막 속에 숨은 아칼리, 은신 모드에 들어간 카직스는 점호 ㅏ도트딜이 들어가는 순간마다 흐릿하게 형태만 보일 뿐, 점화를 붙인다고 해서 타겟팅을 할 수 있을만큼 보이지는 않는다.



5. 망원경 와드에는 텔레포트를 사용할 수 없다.



6. 자크의 패시브는 사망하면 5개의 젤리 조각으로 변해 일정 시간 후 낮은 체력으로 부활하는 것이다. 이것은 소환수 판정이다. 하지만 소환수 판정 유닛에게 강타 딜이 챔피언 대상 딜로 박히게 패치 되어 자크 젤리를 강타 한방에 죽이는 일은 없어졌다. 또한 공성미니언(일명 대포)보다 타워 어그로가 낮고, 일반 미니언 보다 타워 어그로가 높기 때문에 대포 미니언이 없는 상태에서 상대 포탑 아래에 있을 경우 포탑은 자크 젤리를 미니언보다 우선적으로 공격한다.



7. 위에 서술했듯이 소환수 판정 유닛들이 강타 버프를 받고나서 요릭의 마누라를 강타로 삭제하는 일은 없어졌다.



8. 요릭의 궁극기는 안개 마녀와 3마리의 구울을 소환하는 것인데, 사일러스가 요릭의 궁을 뺏어 사용하면 3마리의 구울도 같이 나온다. 



9. 누누의 잡아먹기는 소환수 판정 유닛도 고정데미지를 주기 때문에, 요릭의 마누라, 자크 젤리를 순식간에 먹어치울 수 있다.



10. 카이사의 궁극기는 표식이 남은 적 주위로 돌진하는 것이다. 이때 돌진 시작지점에서부터 짧은 지점까지는 "돌진" 판정이고 이 일정거리가 넘어가면 "순간이동" 판정이 된다. 쉽게 말해 카이사가 궁극기를 사용하여 돌진할 때 일정거리까지는 베이가의 지평선, 케이틀린의 요들잡이 덫, 징크스의 와작와작에 당할 수 있으나, 중간 지점 이상 돌진 중일 때에는 저 기술들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11. 판테온이 야스오와 요네의 궁극기에 당했을 때, 뒤를 돌아보며 방패를 사용하면 데미지를 완벽하게 막아낼 수 있다. 둘 다 순간이동 판정 공격이기 떄문.



12. 야스오는 궁극기 사용 후 50%의 '추가 방어력' 관통을 얻는다. 이 방관 공격은 야스오가 가하는 치명타 공격에만 적용되며, 퍼센트 방관이긴 하지만 적의 총 방어력이 아닌 추가 방어력 50% 무시이기 때문에 기본 방어력이 높고 추가 방어력이 낮은 초~중반 시점에는 생각보다 방어력을 뚫지 못한다.

  


13. 그레이브즈의 공격은 산탄을 부채꼴로 발사하는데, 일반 공격은 3개의 산탄. 치명타는 5개의 산탄을 발사한다.



14. 이 산탄들 전부 개별 공격이고 다 맞춰야 표기된 데미지가 뜨기 때문에 산탄 1~2개 밖에 못 맞추면 딜이 확 낮아진다. 또한 이 개별 공격에는 블클의 방깎 스택도 각각 적용이라 평타 한번에 블클 3개가 쌓인다.



15. 레넥톤 w가 강화되면 보호막을 파괴한다. 이 파괴는 절대판정이기 때문에 cc기를 무시하는 모르가나의 블랙 쉴드도 단박에 깨부수고 대상을 기절시킬 수 있다. 



16. 레넥톤 w, 판테온의 강화 w의 스킬은 시전한 챔피언이 사망해도 데미지가 들어간다. 무슨 뜻이냐면 판테온이 강화 w 평타의 1타가 나가는 순간 치명적인 데미지를 입고 사망하여도, 허공에서 촥촥촥 하는 소리와 함께 3타 데미지가 골고루 들어간다. 레넥톤은 자신이 죽어도 w평을눌러놓고 죽는다면 상대를 기절시킬 수 있다.



17. 마찬가지로 판테온 강화 w는 1타만 들어가도 후에 2타, 3타가 자동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강화 w -> 1타가 나가는 순간 바로 q나 e를 써서 긴 모션을 스킵하고 딜을 우겨 넣을 수 있다.



18. 일라오이의 공격력이 680을 넘을 경우,(올 딜템 + 물리피해 영약 + 화염용 or 바론 버프로 가능함.) e 한번에 100%가 넘는 데미지를 전이시킬 수 있어 직접적으로 한대도 안 때리고 적을 죽일 수 있다.



19. 변신 전 케인은 1레벨에 10000딜을 넣어도 게이지가 반밖에 안 찬다.



20. 초반 레벨의 케인은 적을 아무리 많이 공격하더라도 게이지가 정말 정말 차지 않지만, 10분 그리고 14분이 넘어가면 약한 공격에도 다량의 게이지를 수급할 수 있도록 조정되어 있다. 운좋게 초반을 개박살 내도 빠르게 다르킨이나 그림자 암살자가 너무 이른 시간대에 나오지 않도록 설계한 것.



21. 롤 영감 룬의 "봉인 풀린 주문서" 는 칼바람에서 사용 가능한 총명(마나 회복 스펠)을 뽑을 수 있다. 주 고객은 나서스나 베이가, 신지드 같이 초반에 마나가 극심하게 딸리며 봉풀주를 들만한 챔피언들이다. 



22. 그레이브즈는 공격속도를 극한까지 끌어 올려도 0.89 이상으로 올릴 수 없다. 공격속도 제한을 해제하는 치속을 사용하여도 그 이상으로 올릴 수 없다. 다만 그브는 성장 공격속도가 높게 치중되어 있어, 극후반에 공속템을 딱 하나만 올려도 최종 공격속도와 비슷해진다.


(0.89 vs 0.84 차이. 0.84는 공속템이 딱 하나다. 즉 공속그브는 그냥 딜로스 나는 자체 쓰레기. 진짜 공속이 필요하면 올 딜템에 광전사만 뽑자.)


23. 그브는 티모의 실명이 걸렸을 경우 공격 명령을 내려도 지정한 대상이 아닌 휙 돌아서 반대편으로 공격을 한다. 실명을 건 티모는 그브의 공격을 절대 맞지 않지만, 반대로 그브 반대편에 있는 상대는 그브가 공격으로 지정하지 않았음에도 평타에 얻어맞을 수 있다. 그브는 실명이 되어도 데미지를 입힐 수 있기에 잘 응용하면 실명 상태에서도 공격을 퍼부을 수 있다.



24. 참고로 그브의 평타는 빠른 투사체 판정이라 이동속도가 매우 높은 챔피언 혹은 이즈리얼의 비전 이동처럼 순간이동 할 수 있는 챔피언에게 빚맞을 때가 존재한다. 이럴 경우 허공에 산탄을 발사하며, 타이밍이 겹친 상대를 맞출 수 있다.

(그브가 이즈리얼을 발견 후 사격 -> 이즈리얼이 재빠르게 비전 이동 -> 이즈는 피해가 없으나 옆에 있던 카르마가 산탄에 맞고 사망)



도움이 됫다면 개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