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적으로 라이트하게! 가 내가 바라는 목표


이 글에선 정제 옵션 등장확률표를 제외한 모든 확률은 전부 모든 선택지의 등장 확률이 동일하다는 설계 하에 계산되어있음.

현재 로아는 엘릭서의 확률을 공개한 적이 없음. 



https://youtu.be/POvahaVwCkQ


요거 생각보다 정말 깔끔하게 다루어진 영상이라. 엘릭서의 개념이 없으면 이 영상 보는 거 추천해.


밑에 표는 아이스펭이 통계를 통해서 정리한 표

처음에 정제할 때 옵션 별로 뜰 확률이 정리된 표.


공용을 제외한 각 옵션의 통합 확률은 5%임.

예시를 들면 한번 정제할때 투구 전용 옵션 중에 하나라도 뜰 확률은 5%임.

그리고 투구 전용 옵션이 이번 엘릭서 안에 선택된 내역이 있다면,

그 후 정제에는 투구 전용 옵션이 나오지 않음.



이건 각각의 현자가 보여주는 일반 선택지의 모든 것


보다시피 특정 옵션 한개를 확정적으로 올려주는 건 그리 많지 않음.


선택한 옵션을 50% 확률로 올려준다는 선택지는 매우 좋은 선택지임. 



이건 각각의 현자가 보여주는 질서 및 혼돈 선택지의 전체.


질서(일반)의 선택지는 총 15개고 이중 확정적으로 +인건 최고단계를 포함하면 6개 밖에 안됨

최고 단계 효과 1,2

선택한 효과 1,2, 2단계 연성, 

기회소모 없이 진행.


만약 모든 질서의 확률이 동등하다면 이득을 확정적으로 볼수있는 선택지는 40%밖에 안됨.

그래서 일반 선택 중에 특정한 것을 연성해주겠네, 50% 확률로 하나를 올려주지의 밸류가 높은 이유기도 함.


반면 혼돈 선택지의 경우 12가지 선택지가 존재하는데, 초창기와는 달리 현재 빛나는 지혜의 정수의 값어치는 높지 않음.

따라서 되게 비싼 시절인 엘릭서 깎는 영상을 보고 따라하면서, 엘릭서 연성 초기화 선택지를 고르면 안되는 이유임.

초창기에 비해서 유효 선택지가 하나 줄었고, 모든 상황에서 이득을 보는 선택지는 딱 두 개 있음.

임의의 효과 단계 +2, 현자 소진.


만약 앞에서 봉인을 하고 오지 않았다면, 이때 봉인된 것을 다른 것으로 옮기는 선택지는 뜨지 않음.

그럴 경우에 이득을 볼 확률은 11개의 선택지 중에 두 개. 22.2%임.

혼돈의 가치는 현자 소진을 제외하면 밸류가 진짜 낮음. 


현자 소진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알아보자.

왼쪽 현자는 0~+4  기댓값은 2

중앙 현자는 +2~+3 기댓값은 2.5

오른쪽 현자는 -4~+5 -까지 계산한 기댓값은 0.5, -를 전부 0으로 가정하고 계산하면 기댓값은 1.5


기댓값으로만 계산하면 중앙은 신임.

단지 엘릭서를 깎을 때, 60+-5를 원하는게 아닌 90,90,10,10,10을 원하는 것이라.

어느정도 높게 깎였을 때는 안정성의 밸류를 위해 중앙을 선택하는 것이 좋고,

좀 애매한데 싶으면 고점이 괜찮은 왼쪽을 선택하는 것이 좋음.


오른쪽 현자는 +5의 뽕맛이 대단해서 그렇지, 선택하면 손해볼 확률이 높은 현자임.

질서를 한 현자에게서만 보고, 두 현자는 동시에 혼돈을 띄우는 테크트리를 탈경우 이 현자만 현자소진 선택지가 나왔을 경우 슬프지만 골라야함. 현자소진 중에 밸류가 떨어진다는거지, 혼돈중에 밸류는 높음.


그러니까 질서를 한 현자에게만 보는 테크트리를 탈땐 질서는 모든 현자 다 동일하게 뜨니까 오른쪽 현자로 질서를 보는 것을 추천함.


자 이제 질서(봉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질서(봉인)의 옵션은 단 3개임. 그럼 등장확률도 33.3%로 동일하다고 가정하자.

얜 지금 봉인 턴이 몇턴인지, 내가 지금 어떻게 옵션을 깎았는지에 따라서 밸류가 왔다갔다함.

예를 들어 51 상태에서 봉인 2턴에 2개의 효과를 동시에 연성해주는 효과는 확정적으로 1짜리를 올려주겠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고점이니 이때 밸류는 이번에 연성되는 것은 2단계 연성이 좋겠지.

기회소모 없음은 왠만하면 좋음. 안 좋은 타이밍도 있는데 그건 기회소모X가 안 좋아서가 아니라

이후에 나온 3개의 선택지가 다 피해만 주는 상황일 때 안좋은 것.

더 자세한 것은 다음 글에서 다루고...


이제 혼돈(봉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혼돈(봉인)의 옵션은 4개임. 등장확률도 25%씩으로 가정해보자.

임의의 효과 +1

최하단계 효과 +1

모든 단계 효과 재분배(합친 후 재분배)

모든 단계 효과 뒤섞기


질서(봉인)은 +1이 확정이지만, 혼돈(봉인)은 +1이 확률이 50%밖에 안됨.

그리고 최하단계가 확정적으로 도움이 되려면 봉인 마지막 턴 밖에 해당이 안됨,

그걸 제외하면 혼돈(봉인)이 순수하게 이득을 가져오려면 임의의 효과 1밖에 없음.

그래서 혼돈을 깨야하는 상황이라면 마지막 봉인턴에 혼돈(봉인)을 볼 수 있게 짜는 것을 추천함.

그럴 경우 혼돈으로 이득볼 확률은 25%에서 50%로 올라가니까.

마지막 턴을 제외한 최하단계 효과가 내가 써야하는 효과라면 그 엘릭서는 이미 망한 엘릭서가 아닐까?


이론은 여기까지만 적고.. 담편에 봐~. 이정도면 요약 많이 했다.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 부탁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