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도입: 2000년 4월

전격도입: 2000년 10월

[권역별 번호체계의 개요]

매천광역시를 6개의 권역으로 나누어 버스가 어느 권역으로 가는지 대강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각 권역의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상세 번호부여방법]

먼저 일반버스입니다. 매천광역시는 도로사정상 간선버스와 지선버스 구분을 따로 두고 있지는 않습니다.

일반버스의 노선번호는 출발 권역번호 + 회차지 권역번호 + 일련번호(1~2자리)로 붙여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365번 버스는 3권역에서 6권역으로 가는 버스이며 3101번 버스는 3권역에서 1권역으로 가는 버스입니다.

부번호(-1, -2 등...)는 특수한 사정이 있을 때가 아니면 사용이 불가합니다. 일련번호는 1~2자리 모두 가능하니 365번의 지선이 있다면 3651번, 3101번의 지선이 있다면 3111번 식으로 부여할 수 있겠습니다. 다만 기종점이 같은 순환버스의 경우 시계방향을 A, 반시계방향을 B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일반버스의 시종점이 매천광역시 경계를 벗어나는 경우, 매천광역시 진입 후 처음으로 들리는 정류장의 구역번호를 사용하면 됩니다.

+2001년 추가: 신천구는 2권역, 재령군은 처음 구 지역으로 들어오는 정류장의 권역번호를 사용합니다.


맞춤버스는 상시 운행하는 노선이 아닌, 통근, 통학, 심야 등 특정한 수요가 있을 때만 운행하는 노선입니다. 만약 기존 버스 노선의 맞춤버스 지선이라면, 기존 노선 앞에 N을 붙이면 됩니다. 예를 들어 365번의 심야 노선을 운행한다면, N365번이 됩니다. 맞춤버스 전용노선의 경우 기존노선과 겹치지 않는 한에서 노선번호를 짤 수 있으나, 노선번호 앞에 N이 붙어야 합니다.


공항버스는 매천공항이 완공되면 신설될 공항과 시내를 빠르게 잇기 위한 노선입니다. 공항이 완공된다면 A + 7 + 매천시내 기종점 권역번호 + 일련번호(1~2자리)로 붙여주시면 됩니다.


급행버스는 시내를 빠르게 이동하기 위한 좌석버스입니다. 맞춤버스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노선번호를 부여하되 맨 앞에 N 대신 X를 붙여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3권역 - 5권역 간 신설 급행노선을 만든다면 X3550, 365번의 급행노선을 만든다면 X365 식으로 할 수 있겠습니다. 급행버스는 굴곡노선이 없이 회사 당 5개 노선 이내로 신설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광역버스는 시내와 시외를 빠르게 이동하기 위한 좌석버스입니다. H + 매천시를 벗어나는 지점의 권역번호 + 매천시내 기종점 권역번호 + 일련번호(1~2자리)로 붙여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사리원에서 북구로 진입하여 역상구 매천시민공원까지의 노선을 만든다면 H6363 식으로 번호를 짤 수 있겠습니다.


마을버스는 기존과 동일하게 자치구 + 일련번호 2자리입니다.(예: 역상01)


재령군 농어촌버스 역시 재령 + 일련번호(1~3자리) 입니다. 농어촌버스 특성상 분선노선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마을버스와 달리 3자리까지 일련번호를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