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간단한 자기 소개



6차 전 왔던 각설이



더 강해져서 돌아옴

리부트 2에서 279렙 캡틴 육성 중인 사람임. 일주일 뒤 280 찍고 쓸까 고민하다가 너무 오래걸리기도 하고 걍 여기서 써도 왠만한 건 다 알려줄 수 있을 거 같아서 써봄.

환산은 5.5 보스는 이지 칼로스까지 다니고 카링 연습 중.

아마 해방하면 카링 본격적으로 할 거 같음.


목차

1. 캡틴의 기본적인 개요

2. 캡틴 그래서 뭐가 좋음?

3. 캡틴의 단점

4. 캡틴 육성(코강+어빌+유니온 등)

5. 캡틴 운용법(사냥, 보스)

6. 요약
   

   


일단 기본적으로 뭔가 말할게 많은 직업이다.

장점도 많고 단점도 많고.

구조는 묘하게 복잡해서 구조 설명하는데에도 한 세월.

필요한 정보를 찾는 데에는 ctrl+F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1. 캡틴의 기본적인 개요


일단 우리 예쁜 여선장님 보고 가



222222222


3333333333


캡틴을 대표하는 태그로는

'모험가 덱1스 해적'/'소환수'/'낭만'

이 있다.


특히 메카닉이나 캡틴이나 총들고 있는 새끼들은 뭐가 잘못됐는지는 몰라도 총 안 쏘고 묘하게 소환수에 의존하는 경향이 커 우리 캡틴은 총 쏘는 이미지보다는 배 소환해서 소환수로 다구리 까는 이미지가 강한데 그게 맞다. 사실이다. 반박할 수 없다.


즉 캡틴이 어떤 직업인가 설명을 하자면.

선장답게 선원들과 함께 다구리 공격하며 본인 또한 화려하고 낭만 넘치는 이펙트로 스타일리쉬하고 즐거운...? 전투를 할 수 있는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




캡틴 대가족. jpg




낭만 넘치고 화려한 스킬 이펙트.mp4




2. 캡틴 그래서 뭐가 좋음?



2-1. 생존 유틸



캡틴 한 접시에서도 설명하긴 했지만 어차피 새로 쓰는 거니까 새로 설명함.

캡틴은 생존 유틸이 굉장히 독보적인 수준이다. 은월, 비숍, 미하일 같은 논외급 유틸들을 제외하면 탑급이라고 볼 수 있다.



먼저 상태이상 면역기다.

캡틴이 소환하는 소환수 중 '크루' 라는 소환수가 있는데 총 2번의 상태이상을 막아준다.

모든 상태이상을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생각보다 많은 상태이상을 방어 가능하다.


스턴/언데드


물약 봉인


혼란


유혹


저주



석화



속박



카벨 종유석 스턴


카블퀸 불



못 막는 목록

스킬 봉인/빗나감/암흑/허약/슬로우/가엔슬 레이저 바인드/진힐라 빨간실+파란 바인드/세렌 바인드/칼로스 왼비 바인드/카링 족자 바인드

되도록 저것들에는 박치기 하지 말자

그나마 스봉/빗나감/암흑은 용사의 의지로 풀 수 있고

슬로우는 딱히 위협적이지 않으며

허약의 경우 캡틴의 윗점은 스킬 판정이기 때문에 무시하고 사용할 수 있어 어느정도 파훼가 가능하다.




두 번째는 슈퍼스탠스.

퍼실레이드의 경우 아랫키와 함께 누르면 슈퍼스탠스가 되며

불릿 파티의 경우 상시 슈퍼스탠스

파이렛 플래그는 깃발이 꼽힐 때까지 슈퍼 스탠스를 지니고 있다.





세번째는 즉발 회복기 언위어링 넥타.

유사 파엘이다.

평소 때는 극딜 버프로 사용하지만 생존의 위협을 느낄 때는 아꼈다가 회복기로 사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피격 데미지 15% 감소는 체력 비례 데미지에는 적용되지 않으므로 없는 옵션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자타 공인 최고의 윗점 윙즈이다.

약팔이가 아니라 진짜다.

일단 플+윗, 윗+플 전부 가능하다는 것부터 성능이 뛰어난 윗점이며


글라이딩이 있기 때문에



루시드 레이저 강공을 바보로 만들 수 있으며




스킬 판정이기 때문에 허약에 걸려도 사용 가능하다

근데 공격 판정은 없어서 일필은 안 터진다.

공격 스킬이 막힌 곳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무적기 쿨이 30초인 것도 큰 장점이다.

히어로의 데스폴트와 달리 선 후딜이 없이 즉발 무적을 주기 때문에 걍 패턴 보고 리듬게임 하듯 누르면 대부분의 패턴을 씹을 수 있다.


덤으로 극딜기에도 무적이 달려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극딜을 넣을 수도 있다.

얘 하다가 키다운 극딜하는 캐릭터하면 게임 못 한다.

경험담이다.


2-2. 준수한 기본 스펙


우선 크확은

기본 5%

크확 20%

크확 10%

크확 30%

선원 소환시 크확10%


선원은 무한 유지가 가능하므로 캡틴은 기본 크확 75%를 확보할 수 있는 캐릭터다.

쓸만한 샤프 아이즈+ 팬텀 링크면 크확 100%를 쉽게 채울 수 있어 유니온과 하이퍼 스탯의 분배가 자유롭다. 

신궁 나로 SS 유니온을 가지고 있다면 쓸샾 포함 크확 93%로 7%만 더 채우면 된다.

마약기간이면 거의 상시 100%를 유지할 수 있다.


캡틴은 크리티컬 데미지도 높다.



현재 크크 장갑을 끼고 쓸샾만 썼는데 크뎀이 116%가 찍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고 지나치게 높아서 크뎀의 효율이 떨어지는 구간도 아니라 노블 스킬 효과도 높게 받을 수 있다.


게다가 퀵드+에이밍 최종데미지와 높은 크리티컬 데미지를 받은 덕인지

캡틴은 기본 뎀+보뎀이 낮다.

공공보 공보방 공뎀공 무보엠을 끼고 있는 내 보뎀합이 400%가 채 되지 않는다.

캡틴은 보뎀과 뎀 노블 효율을 높게 받을 수 있다는 것 또한 장점이 될 수 있다.



3. 럭키다이스



존재 자체가 장점이다

우린 정펜 하나 더 낀다.



2-4. 극딜 안정성.

3분 극딜기 노틸러스 어썰트에 무적이 달려 있어 일단 극딜 넣다가 죽을 위험은 거의 없고, 극딜도 리레 안에 거의 다 들어갈만큼 짧은 편이다.


버프 넣고 다 하는데도 극딜이 30초로 끝나는 모습.

그마저도 불릿 파티가 서버렉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묘하게 길어져서 30초인 거지 원래는 20초대로 극딜이 끝이 난다.

그만큼 프레이 효율이랑 리레 효율이 좋고 극딜 끝까지 욱여넣으려다가 죽는 불상사도 없다.

6차 오리진마저 시전시간 5초+지속시간 15초로 리레 안에 대부분의 딜을 넣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직업에 비해 리레 효율이 좋은 6차를 받았다.

이론상 리레 5렙이면 모든 극딜이 리레 안에 들어간다.


2-5. 힘캡틴 덱캡틴 자유로운 선택




모험가 해적 직군 링크 스킬을 사용하면 자신의 STR/DEX 잠재 및 추옵이 다른 스탯으로 바뀌는 기능이 있다.

바이퍼/캐슈->캡틴, 캡틴->바이퍼/캐슈 자전 때문에 만들어놓은 기능인 것 같은데


덕분에 캡틴은 폭 넓게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본섭이면 힘매물을 사던 덱매물을 사던 선택이 가능하며

리부트섭의 경우 잠재 돌릴 때 더 잘 나오는 잠재로 선택해서 진로를 정할 수 있다.


2-6. 뛰어난 사냥 장악력.


옛날에는 아케인 리버에만 한정되는 이야기였지만

최근 곱창난 어센틱 지역의 지형들이 정렬되면서 어센틱 지역에서도 날먹할 수 있는 지역들이 늘어났다.

캡틴 사냥 운영법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겠다.



3. 캡틴의 단점


3-1. 샤인 오브 봄바드


만악의 근원.

이게 무슨 스킬이냐면 배틀쉽의 포격을 한 군데로 집중시키는 스킬이다.



이렇게 따로노는 배틀쉽 봄버의 공격을 보스 쪽으로 유도시킬 수 있는 스킬인데 이게 왜 문제냐.

샤인 오브 봄바드가 보스를 안 따라간다.

즉 보스가 움직이면 봄바드도 다시 깔아야 한다.


적당히 움직이는 보스면 모를까 데미안 루시드 마냥 존나게 싸돌아댕기면 그만큼 배틀쉽 봄버의 데미지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 나오는데

딜은 딜대로 안 나오고 신경은 존나게 쓰이고

특히 저 봄바드를 깔기 위해 사용하는 컨티뉴얼 에이밍의 판정도 지랄인데다가 후딜도 심해서 봄바드가 잘 옮겨지지도 않고 옮기려고 에이밍 쓰면 딜 손실이 나는 뒷골 땡기는 상황이 생긴다.


캡틴 유저들이 리마 이후 내내 걍 에이밍에 배틀쉽 자동 추적 기능 넣어주면 안 되냐고 문의 하는데 귓등으로도 듣지 않는다.


3-2. 존나 따로 노는 주기

이 게임에서 2분 주기 3분 주기 90초 이런 식으로 말하는 만큼 극딜의 주기는 굉장히 예민한 사항이다.

캡틴은 명목상으로 3분 극딜 주기를 가지고 있는 캐릭터인데 헤드샷은 평딜기니까 제외하고 극딜 버프 및 준극/극딜기만 보자


45초 주기인데 변동으로 22초가 될 때도 있다(보스에게 풀히트를 못 맞췄을시)


75초다


60초다


90초다


엔버링크 때문에 눈물을 머금고 90초로 맞추긴 하는데 쿨타임을 대체 왜 저 따구로 해뒀는지 이리 생각하고 저리 생각해봐도 전혀 이해가 가질 않는다.

아무리 생각해봐도 75라는 의문의 숫자가 대체 뭘까 저거 90으로 늘리고 데미지를 줬으면 안 되는 걸까 생각이 든다.

주기 맞추려고 준극딜기 불파가 놀고 있는 거 보면 가슴이 아프다.


4. 캡틴 육성


4-0. 하이퍼 스킬

보스랑 싸울 때 뽀뽀딜 하고 싶지 않다면 필수다.

이 게임은 뽀뽀딜 하다간 십중팔구 뒤지니까 걍 찍어라.

가끔 수로같은거 할 때 잠깐 뺀다.



캡틴의 주력 딜링기인 만큼 헤드샷 3종 세트도 필수다.

알짜배기 3종 세트 모아둬서 쓸모 없는게 없다.


보통 얘까지 하이퍼 패시브 5개를 찍는데

방무가 부족할 경우 얘를 빼고 럭키다이스 엑스트라 넘버를

운빨에 자신 있는 경우 럭키다이스 인핸스를 찍는다.

체감상 인핸스 써봤자 56 54 564 이딴거나 잔뜩 나오지 555 666 안 나오기 때문에 이거 찍는게 이득이다.



4-1. 코강(5차+6차)


5차의 경우 이렇게 최종적으로 2중 6코를 만드는 코어강화를 한다.

3중 9코도 가능은 하지만 코어칸이 부족하다. 옵드같은 코어 안 끼는 뉴비 때나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강화해야 하는 스킬은


사냥용

퍼실레이드/  전함 노틸러스/  스트레인지 봄


보스용

헤드샷/ 래피드 파이어/  캡틴 디그니티


소환수 

배틀쉽 봄버/ 서먼 크루/ 시즈 봄버


이렇게 총 9스킬을 강화한다. 14개의 스킬 중 9개를 뽑아야 하기 때문에 압도적 2중 10코의 위엄을 자랑하는 제로 밑 순위로 전 직업 중 코강 난이도 2위를 자랑하는 캐릭터이다.

옛날에는 스킬 코어칸이 모자랐기 때문에 실제로 사냥용/보스용/소환수 코어를 따로 묶어서 강화해 사냥/보스 때 마다 코어를 스위칭 해서 갔어야 했지만 6차 이후 코어칸 패치 덕분에 코어칸이 부족한 일은 없어졌다. 그냥 3줄 유효가 나오면 섞어서 써도 괜찮다.


강화 코어의 우선 순위는 헤드샷>소환수>보스용>사냥용이다.

실제로 사냥용 코어는 사냥하는데 쓰이지 않는다

대부분 사냥은 소환수가 하기 때문에 오히려 퍼실레이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다.

하지만 특정 지형에서는 사용해야 하고 소환수로 킬이 나지 않는다면 퍼실 사냥을 해야 하기 때문에 유기하면 안 된다.


전함 노틸러스와 스트레인지 봄은 안 사용하는 거 같지만 후반 사냥터에서 나름 쏠쏠하게 사용된다.

솔직히 안 넣어도 되는데 칸 수 맞추려고 넣는 스킬들이다.


5차 스킬 강화 순서는


어썰트=불파>데스 트리거>>>>>>

메여축>플래그>오버 드라이브>>>>>>

데드 아이를 해주면 된다.


캡틴 디그니티 및 파이렛 스탠스, 크루 커맨더쉽 등에 영향을 주는 쓸만한 컴뱃 오더스는 필수로 장착.

샤프 아이즈 없는 직군에게는 필수 스킬 쓸샾

돌아버린 퍼실 후딜 때문에 사냥할 때  쓸만한 윈드 부스터도 장착해준다.




6차는 오리진>불파>어썰트>마스터리 9렙>헥사 스탯>데스 트리거 순으로 강화 해주면 된다. 데드 아이는 무적기므로 유기한다.

래피드 마스터리는 딜량 밥 말아먹어준지 오래라 9렙 정도만 올려줘도 적당하고

보스전 실제 딜량은 서버렉 덕분에 불파가 어썰트보다 기댓값이 높아 보스 딜량을 상승시키려면 불파를 우선해서 올려준다.


오리진9->마스터리9->불파4->어썰트4->데트1->오리진10->어썰트, 불파9->오리진 13->어썰트, 불파10->데트10

이런식으로 강화를 하며

이 이상부터는 무조건 오리진.


즉 간단하게 말하면 13/10/10/10/10 을 맞춘뒤

오리진 30렙을 찍으면 된다.

솔 에르다 기준이든 조각 기준이든 오리진이 제일 쎈 구조라 오리진이 우선이다. 


이 이상으로 헤비해진다면

드레드/래피드/어썰트/불파/데트 순으로

30/19/10/10/10

->30/19/20/20/20

->30/19/30/30/20

->30/29/30/30/30


 순으로 찍어주면 된다


헥사스탯은 캡틴이 크뎀이 높고 데미지가 낮은 기형적인 구조를 갖고 있는 관계로 공크주가 아니라 공보주를 사용한다.

하지만 이건 스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자신이 무보엠에서 보공을 엄청 뽑고 해방도 하고 그래서 보뎀이 많이 높다 하면 공크주를 사용할 수도 있다.


4-2. 어빌리티


선택지는 2가지로


재사용/보뎀/상추뎀

보뎀/상추뎀/재사용


재사용을 레전으로 둘것인가 보뎀을 레전으로 둘 것인가 취향차이이다.

재사용을 레전으로 두면 주력기 헤드샷을 연속으로 쓸 수 있는 뽕맛이 있고

보뎀이 레전이면 안정적인 딜량을 뽑아낼 수 있다.


정확하게 현재는 보뎀레전이 데미지 기대값은 더 높다.

오리진 스킬과 5차 헥사 강화로 인한 극딜량 증가 덕분에 헤드샷 점유율이 과거에 비해서 떨어졌기 때문.

하지만 마스터리 코어로 헤드샷이 추가 되면 또 딜량 역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기에 자신의 취향 영역으로 두어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나는 재사용 쓰고 있다. 원래 재보상이었는데 조각 먹으려고 보뎀 버림.



4-3. 유니온


캡틴 자체 유니온이 소환수 지속시간 증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기 자신은 반드시 유니온에 넣어줘야 하고,

그 외에는 그렇게 필수 유니온은 없는 편이다.

다른 캐릭터들도 다 키워야 하는


신궁, 나로(크확)/ 은월(크뎀)/ 메르(쿨감)/제로(경험치)

와헌(조건부 데미지 증가)/ 블래(방무)/ 데벤(보뎀)/메카(벞지)


얘네들이랑 덱스를 올려주는

엔버, 카인, 보마, 패파, 윈브, 제논을 키워주면 끝.


따로 크확 점령이 필요 없기 때문에 보통 이렇게 배치를 한다.



5. 캡틴 운용법


5-1. 보스


일단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면

캡틴은 3분 극딜기를 가지고 있는 3분 극딜캐이자.

극딜과 평딜의 딜 지분이 1:1 정도로 평딜 지분이 높은 평딜캐이기도 하다.

6차 극딜이 잘 나와서 이 정도지 6차 전에는 평딜:극딜이 7:3 정도로 평딜이 월등히 높은 평딜캐였다.


일단 기본적으로  컨티뉴얼 에이밍이라는 디버프를 적용시키고 시작한다.

최종뎀 25%(쓸컴뱃 27%)를 증가시켜주는 '디버프' 이며 캡틴에게만 적용된다. 만약 이게 파티 전체 적용이었으면 캡틴은 최상위권 서포터였겠지.

디버프 판정이기 때문에 상추뎀, 도적링크, 카데나링크 전부 발동되며 캡틴이 사망할 시 디버프가 사라진다. 즉 죽을 때마다 다시 발라줘야한다.

게다가 저 스킬이 보스 우선 타격을 대신해주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캡틴에게는 보우타가 없다. 저게 안 발려 있으면 각종스킬이 잡몹에게 들어가는 불상사도 일어난다.


꾸준하게  5초쿨의 평딜기인 헤드샷이라는 스킬을 넣으면서  래피드 파이어로 평딜을 한다.

래피드 파이어가 딜량이 아무리 쥐꼬리만하고 점프도 안 되는 속사기라 불편하다지만 꼭 넣어야 하는데

 퀵드로우의 존재 때문이다.

캡틴의 모든 공격에 8%의 확률로 발동하며 저게 발동한 뒤 다음 헤드샷/전함 노틸러스/데드아이/스트레인지 봄의 최종데미지가 25% 증가한다.

즉 쟤가 안 발동되고 헤드샷을 때리면 25% 딜 손해다.

소환수 공격에도 발동하고 캡틴이 타격수가 적은 직업은 아니라 왠만해서는 헤드샷 쿨 중에 발동하긴 하지만 래피드 파이어를 안 때리면 가끔 발동 안 될 때도 있다.

게다가 래피드 파이어 VI의 경우 난사모드라는 보우마스터들도 거른 시발같은 스택형 난사기가 있는데 이게 또 무시 못할 딜량이라 눈물을 머금고 평딜을 넣어야 한다.



90초 마다 (+) 준극딜 버프를 올리고  불릿파티와  데스 트리거로 준극딜.

180초 마다 (+) 극딜 버프를 올리고  노틸러스 어썰트와  준극딜기 2개를 써주면 된다.

오리진 극딜의 경우 극딜 버프후  ->->-> 순으로 써주면 된다. 드레드노트 컷씬 도중 어썰트 딜이 전부 들어간다.

리레 5렙일 경우 드레드노트랑 어썰트의 순서를 바꾼다.


소환수 관리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시즈 봄버까지는 타협해서 선택으로 놔도 괜찮긴 하다.

서먼 크루는 소환되어 있을 때 공격만 하는게 아니라 상태이상도 막아주고 공격력 버프, 크확 버프, 크뎀 버프, 스킬 퍼뎀 증가 다 주니까 버리면 안 된다.


보스 상성은 어지간하면 괜찮은 편인데 파일럿 손을 좀 탄다. 샤인 오브 봄바드 때문에.


배틀쉽 봄버 다 맞아주는 고정형 보스 1

래피드 파이어 중 이동도 가능하기 때문에 어지간하면 팔 찍기도 안 맞음.

다만 데스 트리거를 사용하면 후딜 때문에 팔 찍기 못 피할 가능성 있으니까 주의. 

개인적으로 최소컷 하는 거 아니면 자쿰한테 데스트리거 사용하는 거 비추.


옛날에 밀격 숙이기로 못 피했을 때는 퍼실레이드 슈스탠 덕분에 GOAT 직업이었는데

최근에는 그냥 숙이기로 회피 가능해진 덕에 존나게 돌아다녀서 소환수 공격 맞추기 힘들어진 단점밖에 안 남음 GOA/T 직업이 됨.

그나마 30초쿨 무적기랑 유사 파엘 덕분에 생존은 유리한 편.


상...성...?

그냥 흡혈 전에 패죽이는게 공략인 병신 보스


서먼 크루로 막는 게 불가능할 정도로 상태 이상을 난사 하기 때문에 의미 없음.

그나마 데드 아이, 데스 트리거 등 화면 전체 광역기가 많아 석상 부수기가 쉽고

짧쿨 준극딜기 2개 덕분에 핑크빈이 부활해도 개같이 패버릴 수 있어서 상성이 나쁘진 않은 편

스봉은 만병통치약으로 빠르게 풀어주자.


소환수 덕에 잡몹 잘 잡고,

회오리 속박 안 걸리고

언데드 안 걸리고

변이는 잘 모르겠음. 걸려본적이 없어서.

다크 제네시스는 데드 아이로 씹으면 돼서 상성이 좋다. 잘 움직이지 않는 것도 호감.


불도 안 걸리고

언데드도 안 걸리고

유혹도 안 걸리고

혼란도 안 걸리고

카블퀸이 캡틴에게 할 수 있는 것이 없다.

잘 움직이지도 않으니 개같이 패면 됨.


당연하지만 모자 석화도 씹는다.

혼란도 씹는다.

다른 모자 나올 때까지 대기 탔다가 극딜 박으면 끝.



자쿰과 마찬가지로 데스 트리거 쓰다간 찍기 맞고 뒤질 가능성이 있다.

서먼 크루가 반반이 쓰는 위치 고정도 씹을 수 있으니 그냥 욕심부리지 말고 평딜 넣으며 반반의 뒤 잡기만 하면 쉽게 깰 수 있다.



카벨 종유석이 없는 패턴급이니 꼬리만 조심하자.

데스 트리거를 사용하면 후딜 때문에 꼬리를 보고도 못 피하니 안전할 때만 써주자.

욕심만 안 부리면 깰 수 있다.


시계 디버프에 안 걸리기 때문에 잡몹 잡고 숫자 늘리거나

타이밍 맞춰서 용사의 의지 쓰기 같은 짓 안 하고 편안하게 딜을 넣어도 된다.

카파풀도 움직임이 그렇게 큰 보스가 아니기 때문에 웬만하면 배틀쉽 봄버가 풀히트로 들어간다.

데드 아이도 30초 쿨이라 레이저 막는데 집착 안해도 어지간하면 죽지 않는다.

상성 좋은 편.



1페

고정형 보스라 배틀쉽 풀히트가 쉽다.

데드 아이가 30초쿨 무적기라 전깃줄 줄넘기 하기도 용이.

다만 전깃줄 가속화하면 거의 딜을 못 넣는다고 생각해야함.


2페

대가리에 떨어지는 똥을 서먼 크루가 씹어주는 게 큰 장점.

전깃줄 패턴 때 발판 위에 올라가서 아랫키 퍼실만 누르고 있으면 안 날아간다.

정 불안하면 불파를 이 때까지 아껴서 불파로 버티고 있어도 괜찮다.


3페

전깃줄+분쇄기 가불기 나오면 데드 아이로 씹어주자.

그 외는 보라 구체 잘 피하기 빼곤 2페에서 하던거랑 똑같이 해주면 된다.


하드 스우의 경우 모든 똥에 스턴이 달려 있어 서먼 크루 만으로 커버치기 좀 힘들다.

어지간한 건 피하면서 딜 해 주는 것이 좋다.


상성이 타직군에 비해 좋은 보스.

속박 안 걸린다

세계수 폭주 안 걸린다

날아올랐을 때 점프해서 헤드샷 쏘면 어지간한 거리면 닿음.


1페 데미안은 공중에 뜨면 샤인 오브 봄바드로 못 때리지만

2페 데미안은 피격 판정이 널널한지 밑에 봄바드 깔아놓으면 맞는다.


어썰트는 키다운 극딜이 아닌 설치형 극딜이기 때문에 바인드 깔고 어썰트 소환하고 초월석이 다가오면 그대로 도망쳐도 풀딜이 들어간다.

리레링을 써도 아깝지만 도망가자.


그로기 상태때 모든 극딜을 넣을 수 있고

로맨티스트 슬라임, 마그마 슬라임 씹으면서 유유자적하게 맵을 돌아다닐 수 있다.

레이저는 못 씹으니까 그것만은 맞지 말자.

가엔슬 넉백기에 맞춰 퍼실을 사용하고 서먼 크루 사용횟수도 남아 있으면 안 튕겨 날아가고 스턴도 안 걸린다.


속사기가 주력기인 덕분에 카엔슬 빨간 레이저는 1층 위에 있을 경우 눈으로 보고 피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성 좋은 편.




1페

폭탄을 데드 아이로 손쉽게 파훼 가능하고

잡몹들은 데스 트리거 및 전함 노틸러스로 제거 가능.

골렘 찍기로 인한 물봉에 걸리지 않아 잘못해서 찍혔더라도 어지간하면 죽지 않으며

1페 루시드는 고정형 보스기 때문에 배틀쉽 봄버가 풀히트로 들어간다.


2페

얘랑 상성 좋은 캐릭터는 일리움 밖에 없다.

특히 캡틴은 소환수 의존 딜링을 하기 때문에 루시드가 날아다니면서 배틀쉽을 못 맞추고 되면 전체 딜의 15% 정도가 날아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나마 한 번 바인드 걸면 극딜은 풀로 박히긴 한다.


3페

40초내에 풀극딜을 박을 수 있긴 한데

애시당초 극딜 데미지가 강한 직군은 아니라서 약간 애매하다.


1페 상성은 최고고 2페는 좀 안 좋음. 3페는 구조적으로는 괜찮다.



1페

소환수를 깔아두면 반대편 방에 넘어가도 소환수가 다른 방 윌을 때려준다

스펙이 낮을 때는 이 뭔팁이겠지만 높을 때는 소환수 깔고 다른방 넘어가서 윌을 때리면 시간을 절약 할 수 있다.

윌 밀격 혼란에 걸리지 않는다.

백스탭샷 미세컨으로 다리랑 콩알탄을 피하기 쉽다.

장풍 패턴은 데드 아이로 씹으면 된다.

준 극딜이 강한 편이라 윌 체력을 깎기 쉽다.

눈동자 패턴일 때는 소환수를 굳이 끄지 말고 구석에다가 샤인 오브 봄바드와 시즈 봄버를 옮기고 서먼 크루를 재소환하면 눈동자를 때리지 않는다.


2페

백스탭샷 덕분에 윌 뒤잡기가 용이하다.

데드 아이는 위험할 때마다 간간히 써주자.

1페 밀격과 달리 2페 밀격은 잘못 맞으면 거미줄에 걸리기 때문에 퍼실레이드 슈스탠으로 씹어주는 것이 좋다.


3페

고정형 보스라 배틀쉽 풀히트가 들어간다.

흰눈 피하는 게 어려운 초보자라면 흰눈 때마다 데드 아이만 써도 데카를 아낄 수 있다. 데드 아이 쿨보다 흰 눈 오는게 빨라서 아예 다 막는건 불가능하다.

배틀쉽 덕분에 독데미지로 죽는 경우는 없다.

밀격 혼란에 걸리지 않으므로 밀격을 보면 굳이 피할 생각하지 말고 받아들인 다음 스페이스 연타를 해 거미줄을 지우고 나오는 게 오히려 도움이 된다.


윌 상성은 좋은편


배틀쉽은 아래에 깔기만 해도 더스크 본체에 맞는다

시즈 봄버는 안 맞는다.

그렇다고 촉수 올라가서 시즈 봄버 까는 건 오히려 딜로스니까 더스크에서 시즈 봄버는 없는 스킬이라고 생각하는게 좋음.


노말 더스크의 경우 공포 패턴 때까지 불릿 파티를 아껴두고 있으면 공포 패턴 날먹이 가능하다.

카오스 더스크의 경우 석화를 거는 손이 무적이기 때문에 불파에 죽지 않지만 잡몹들은 제거 가능하기 때문에 그것만으로 생존력이 올라가고

애초에 캡틴은 석화를 씹는게 가능하다. 스봉 거는 다이아몬드만 조심하면 어지간해서 공포에서 죽는 일은 없다.


6차 전 캡틴의 경우 극딜 능력이 그렇게 뛰어나지 않고 평딜과 비율이 같거나 그 이하기 때문에 평딜 시간이 보장되지 않는 더스크의 스펙컷은 높은 편.

6차 후면 드레드노트 딜이 굉장히 쎄기 때문에 어느정도 평범한 라인에 속한다.


더스크 생존 상성은 좋은 편이고 딜 상성은 그닥이다.



일단 스턴에 걸리지 않는다부터 다른 캐릭에 비해 생존력이 좋은편.

게다가 30초쿨의 무적기는 언제나 옳다....

대신 사망률 1위를 기록하는 줄라이의 스나이핑이나 스봉똥은 피하는 것이 좋다.

찍기에 의한 스턴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찍기 때문에 스턴 연계맞고 죽는 경우는 없어 딜이 충분하다면 듄켈을 구석에 몰아 놓고 반대편 구석 가서 엘보들 패턴이나 적당히 피하며 생존하는 것도 나름 괜찮은 방법이다.


듄켈 상성 괜찮음.


잡몹들은 소환수가 알아서 지워준다.

파란 바인드와 실 바인드는 서먼 크루로 안 막히니까 맞을 때를 봐가며 맞는 게 좋다.

언위어링 넥타로 회복이 불가능하다. 정직하게 제단을 풀어야 살 수 있다.

백스탭샷 덕분에 컨트롤만 익숙해지면 진힐라 뒤잡기는 쉬운편이다.

데드 아이 덕분에 안정적으로 제단 풀러 갈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캡틴 헤드샷이랑 진힐라 파란 바인드 인식 범위가 똑같기 때문에 힐라에게 헤드샷이 맞았다면 도망치는 게 좋다.

파란 바인드 때 윙즈로 뛴후 글라이딩 하면 튕기기 까지 안 맞는다.


진힐라와의 상성은 좋다.



일단 검마의 파괴/창조 저주는 서먼 크루로 못 막는다.


1페

극딜기는 범위기 지만 평타는 단일기

헤드샷도 단일기 그와중에 최종뎀 27% 디버프인 에이밍은 한 명에게 밖에 안 묻기 때문에 효율이 떨어진다.

솔격이면 평소 때보다 딜이 더 필요하고 파티격이면 1페는 다른 파티원이 녹여주길 비는 것이 좋다.


2페

윙즈로 글라이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캐릭터에 비해 땅개 패턴을 파훼하기 쉽다.

데드 아이 덕분에 녹스피어 순서를 놓쳐도 에라 모르겠다 무적하면 생존 가능하다.

고정형 보스라 배틀쉽 봄버가 풀로 들어간다.

권능 파훼 중에 검마 체력이 떨어지는 풍경을 볼 수 있다.


3페

속사기 직군이라 검마 싸대기를 눈으로 보고 피할 수 있다.

데드 아이가 30초 쿨이기 때문에 온갖 억까 패턴에 데드 아이를 남발하고도 윗권능에 대처 가능하다.

샤인 오브 봄바드를 사용하면 검마 위치가 틀어졌을 때 올바른 위치로 다시 끌고가기 쉽다.

데스 트리거, 불릿 파티 등 타수가 많은 스킬이 많아서 어그로 격수일 경우 빠르게 검마 어그로를 돌릴 수 있다.

혼란 구슬에 맞아도 혼란에 걸리지 않는다.

파괴 저주일 때 언위어링 넥타로 긴급 생존이 가능하다.

블링크 없어도 윙즈 글라이딩으로 아랫권능 생존이 가능하다.


4페

죽을 것 같을 때 데드 아이

죽을 것 같을 때 언위어링 넥타.

두 개만 기억해도 죽을 일 없다.


검마 상성은 1페 빼고 씹상타치다.



1페

검기 기절에 걸리지 않는다. 다만 검기는 다단히트기 때문에 눈 깜짝할 사이에 서먼 크루 스택 다 사용하고 스턴 맞으면 골로 간다.

게이지 다 차고 걸리는 바인드는 막을 수 없다. 근데 바인드 걸릴 때 글라이딩 중이라면 글라이딩은 풀리지 않는다. 블링크 쓰고 맞는 게 최선이지만 모종의 이유로 블링크가 없다면 시도해볼만한 방법.

빗나감도 막을 수 없으니 빗나감 걸리면 의지로 빠르게 풀어주자.

글라이딩 덕분에 팔각 레이저 패턴 파훼는 쉬운 편이다.


2페

걸려 본적은 없는데 세렌 본체 말고 맵 패턴 레이저 바인드는 서먼 크루로 막힌다는 말이 있다.

윙즈 글라이딩으로 노루 농락이 가능하다.

소환수 스펙이 쎄면 소환수에 구슬이 부숴진다.

혼란에 걸리지 않는 것은 여기서도 이점.


세렌부터는 솔직히 캐릭터 유틸보다 파일럿 손을 더 타기 때문에 애매하긴 하지만 상성은 좋은 편에 속하는 것 같다.



스킵 빌드 써서 잘 모르긴 하는데 일단 극딜 하는 동안 간섭 때문에 방해 안 받는게 나름 괜찮다.

데드 아이 쓰고 오른비 고기방패도 가능한데 우리 파티엔 미하일이 있어서 활약할 일이 없었음.

찍기 패턴 때 비석 옆에서 윙즈 쓰고 놀고 있으면 맞아 죽을 일은 없다.

대신 브레스는 조심하자.



이동기 유틸이 좋기 때문에 주로 궁기 쪽으로 간다.

기절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궁기 공격에 맞아도 생환율이 높다. 다만 게이지는 파티원에게 ㅈㅅ 박아야 한다.

데드 아이는 타겟팅 스킬이라 궁기가 숨었을 때 데드 아이 쓰면 알아서 나온다.

극딜시간이 짧아 도올도 괜찮긴 하다.

혼돈은 불가능하다.

캡틴으로 혼돈하는 새끼는 미친 씹고수라고 밖에 말할 수 없다.


백스탭샷 미세컨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 맞아주기 쉽다.

노틸러스 어썰트 범위가 꽤 넓어 3페에서 두 놈 때리기도 가능하다.

어썰트에 무적이 있기 때문에 해방 무적 없이 꽤 안정적으로 극딜 넣을 수 있는 것도 장점.

다만 여기서부턴 딜이 애매해지는 게 보이기 때문에 다른 직업에 비해 스펙이 높아야 한다.



5-2. 사냥


캡틴은 소환수로 맵을 장악해서 사냥하는 캐릭터로 소환수 지속시간이 1분이기 때문에 메소 회수 주기도 1분이다.

주로 불릿 파티를 쓰면서 메소를 회수한다.

각 소환수들은 캡틴 본체가 20초간 딜을 안 할시 고장 나기 때문에 20초에 한 번씩 딸깍을 해줘야 함.

그래서 보통 퍼실레이드나 래피드 파이어에 동전을 꼽음.


어떤 유튜버의 캡틴 체험 영상 때문인지는 몰라도 유사 제자리 사냥 캐릭터라고 인식 박혀 있는 거 같은데

맞다.

주로 파운틴 주기로 움직이며 소환수 깔기랑 메소를 회수하고 그 외에는 대부분 1분동안 퍼실레이드 키 하나 누르면서 웹툰 본다.

지형에 따라 이런 것도 가능하다




이런 사냥이 가능해지는 것은

퍼실 원킬-배틀쉽 2킬-시즈봄버 6킬 스펙이 맞춰졌을 때 가능해지며

빌드에 따라 서먼 크루 2킬을 요구하는 맵도 있다.


아케인리버 지역은 사냥터 찾으면 연구한 사람들이 많아서 많이 나오고

난 그란디스부터 공략글 쓰려고 영상 찍어옴


세르니움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puAdHd1xm8uk5Iptd-BoiPvA9Gqlx7Mv&si=A1_eK_OCuVi5aRBS


아르크스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puAdHd1xm8tgYs0iEiL0hIz8gzQcwgAR&si=9Uo_5hR30Uvffn7q


오디움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puAdHd1xm8tU-HEpZm1G3qo1Q-eUYIcx&si=s0hElCNkbmzMNH_P


도원경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puAdHd1xm8sqcHgjumY6oKCAIHkGC_VD&si=pYQxJMBbIU1haB6S


유튜브 홍보 아니고 순수 공략 때문에 영상 찍은건데 문제 되면 내리겠음.

옛날에는 그란디스 지형이 죄다 곱창이 나서 캡틴 제자리 사냥각을 보기 힘들었는데 

최근에 개편된 이후로 캡틴 제자리 각이 나오는 사냥터가 많아진 것 같음.

나는 도원경까지 발로 뛰어다니면서 사냥한게 함정이지만....



6. 요약


소환수 관리가 상당히 불쾌하지만

유틸 좋고

딜도 나름 좋고

보스 상성들 다 괜찮고

사냥도 자동 사냥 가능하며

6차 컷씬 선장님 존예인 우리 캡틴


가끔 우리 길드에서 캡틴 2분이에요 3분이에요 질문이 날아올 정도로 인식이 씹창 나있는 걸 모자라 인식 자체가 없는 직업이지만.

의외로 나쁘지 않고 낭만까지 챙길 수 있으니 한 번 취향에 맞을 거 같다 싶으면 찍먹...해보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