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파인더입니다.


지난번 대회에 패파가 없어서 슬펐는데, 이번에 공략대회가 또 열려서 허접인 저라도 써볼까 해서 쓰게 되었습니다.

이것저것 쓰다보니 글이 좀 길어졌는데, 그래도 부족한게 많으니 메짱분들이 보완할 점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목차


직업 소개

장단점

스킬 소개

육성 공략

사냥

보스전

마치며





직업 소개

패스파인더는 렐릭에 담긴 저주의 힘을 사용하는 모험가 궁수 캐릭터로, 카디널 포스 계열 스킬들을 번갈아 가며 사용하여 고유자원인 렐릭 게이지를 채우고, 렐릭 게이지를 소모하는 강력한 스킬들인 에인션트 포스 스킬들과 인챈트 포스 스킬을 사용하며 딜을 하는 캐릭터입니다.


“???: 뭐야 ^게이지^ 직업이네? 안함 ㅅㄱ ㅋㅋ” 하시기 전에,


설명만 들어보면 게이지에 연계가 있는 직업인 것 같지만, 스킬을 난사해도 포스 수급에는 전혀 문제가 없어서 게이지 관리에는 1도 신경 쓸 필요가 없고, 카디널 스킬들을 꾹 눌러서 쓰다가 에인션트/인챈트 스킬들은 쿨 돌때마다 써주기만 하면 되는 간단한 구조입니다.

즉, 패스파인더는 명목상으로만 게이지/연계직업이지 실제로는 아니니 안심하고 글을 읽어주세요!

 

인게임적으로는 패스파인더는 2분 주기의 극딜 캐릭터로, 보스전에서는 극딜압축이 아주 잘 되어 있고 조작이 간편하며 유틸과 기동성도 크게 꿀리지 않아 무난하고, 범위가 넓은 주력기와 사냥기를 가지고 있어 사냥에서도 꿇리지 않는 두루두루 좋은 육각형 형태의 캐릭터라고 생각합니다.

 

 

패스파인더의 장단점


장점

1. 전직업 1위의 크리티컬 확률 (79%)
유니온, 링크 등 아무것도 없는 패스파인더의 크리티컬 확률은 무려 79%!
메짱들이야 크확을 여기저기서 땡겨오지 메린이들은 초반에 크확을 잘 수급하지 못해서 어려워하는데, 패파는 팬텀만 120으로 키워도 94%에 모험가 궁수 링크만 전부 채우면 바로 크확 100%를 달성합니다. 게다가 패스파인더는 5차 극딜버프인 크리티컬 리인포스를 쓰면 크확 100%를 넘겨도 이득을 보기에 빠르게 확정크리를 땡겨도 나중에 손해가 없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2. 아주아주 단순한 딜구조
사냥이나 보스전이나 블디매크로를 누르다가 스킬쿨이 돌면 눌러주면 되는 너무나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극딜 역시 매우 간단한 편이고, “문양”에 따라 효과가 바뀌는 스킬들이 있지만 몰라도 큰 지장이 없습니다(인챈트 포스 스킬 부분에서 후술).


3. 아주아주 널널한 키세팅
누를게 너무 많아서 키가 모자라는 몇몇 직업들과는 달리, 사용하는 스킬이 적어 키세팅이 매우 널널합니다. 평딜시 사용하는 스킬은  두 개, 그리고 이동기와 유틸기는   세 개로 보스전에서 손이 꼬여 문제가 생기는 일이 없습니다.


4. 10초 안에 끝나는 엄청난 극딜압축
극딜압축이 매우 잘 되어 있어서 10초면 극딜이 끝납니다. 바인드를 걸고 바인드가 끝남과 동시에 극딜도 끝나서 극딜 후 딜로스 없이 보스 패턴을 쉽게 피할 수 있습니다.


5. 나쁘지 않은 기동성+유틸
더블점프 직업이지만 최고의 텔레포트 스킬인 카디널 트랜지션을 보유하고 있고, 슈퍼스탠스+공중체공+점프기인 트리플 임팩트, 키다운 뎀감기인 에인션트 아스트라로 위협적인 패턴을 피하기나 흡수하기가 굉장히 쉽습니다.




단점

1. (상위보스 팟격시) 2분 주기의 극딜
2분 주기의 극딜러라 시드링을 사용할 때부터 3분 딜러에 비해 손해가 있고, 상위 보스에서 파티원 대다수가 120초 주기가 아닌 이상 파티원과 극딜주기를 맞추기 어렵습니다.


2. 바인드가 없을 시 힘든 극딜
패스파인더의 극딜은 이볼브 템페스트, 렐릭 언바운드, 얼티밋 블래스트가 핵심인데, 이볼템과 언바는 설치기여서 보스가 텔레포트라도 하면 딜손해가 심각하고 얼블도 운이 안 좋으면 보스가 화살을 피해 스킬이 그냥 증발하는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바인드가 필수인데, 패파는 자체 바인드가 없어서 에르다 노바 20+5강이 필수사항입니다. 다행히 요즘은 코젬을 많이 뿌리는 편이라 그렇게 큰 단점은 아닌게 위안점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3. 짧은 무적기의 부재

패스파인더는 뎀감기가 두 개가 있지만, 무적기는 오리진 스킬과 얼티밋 블래스트 밖에 없습니다. 얼블은 극딜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하는 스킬이고 쿨타임이 120초나 되기에, 즉시 무적이 필요할 시 사용이 힘들어 상위보스에서의 생존 난이도가 높습니다.


4. 씹씹씹 돌스공

무려 전직업 최하위급를 달리는 최고 최종뎀 29.6%(표에는 26퍼라고 써져있는데 옛날 글이라 그렇습니다)에 상시 데미지 10%의 직업으로, 공용 스킬인 스인미, 크오솔, 에르다 파운틴 등에서 최종뎀이 높은 타 직업에 비해서 많은 딜 손해를 봅니다. 어지간한 스펙으로는 파운틴으로 제대로 된 사냥을 하기가 힘들고, 극딜시 스인미와 크오솔 점유율이 많이 낮습니다.

 


종합적으로, 패스파인더는 간단하며 크게 모난 부분은 없지만, 상위보스로 갈 수록 조금 아쉬운 부분이 있을 수 있는 직업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메린이가 입문하기 굉장히 좋은 캐릭터인데, 간단한 스킬셋, 높은 기본 크확, 그리고 초반에는 체감이 가능한 단점이 딱히 없기 때문에 만약 자기가 메린인데 무슨 직업을 해야될지 모르겠으면 패스파인더를 강력하게 추천드립니다. 무엇보다 이쁩니다.


이상 패스파인더란 직업에 대한 간단한 소개였습니다.



스킬 소개

패스파인더의 스킬에 대해 잘 아시면 굳이 읽어보실 필요는 없습니다.

스킬 설명 펼치기


패스파인더의 액티브 스킬들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렐릭 게이지를 충전하고 문양을 남기는 카디널 포스 스킬, 렐릭 게이지를 소비하고 쿨타임이 있는 에인션트 포스 스킬, 그리고 똑같이 렐릭 게이지를 소비하고 쿨타임이 있고 추가로 현재 문양에 따라 효과가 살짝 바뀌는 인챈트 포스 스킬이 있습니다.

 

카디널 포스 계열 스킬

카디널 포스 스킬들은 쿨타임이 없는 주력기들입니다. 카디널 포스 스킬을 맞추면 렐릭 게이지가 차오르고, 렐릭에 문양을 남기는데, 이 문양에 따라서 인챈트 포스 스킬의 효과와 에디셔널 스킬의 발동유무가 결정됩니다.

 


카디널 디스차지 (1차)

블디 매크로의 “디”

아래 블래스트에 비해 딜은 적지만, 그래도 패파의 주력기 중 하나입니다.

 


카디널 블래스트 (2차) / 카디널 블래스트 VI (6차)

블디 매크로의 “블”, 팬텀이 훔쳐쓰는 그 스킬

패파의 주력기로, 사냥과 보스전 둘 다 사용되는 스킬입니다. 범위와 데미지가 나쁘지 않고, 점샷도 가능하며, 후딜도 크지 않아서 굉장히 쓰기 편한 스킬입니다. 2차에 처음 배운 후, 6차까지 범위가 점점 늘어나기에 2차를 훔쳐쓰는 팬텀에게 큰 박탈감을 느끼게 해줄 수 있습니다.

왼쪽이 2차 범위, 그리고 오른쪽이 6차까지 했을 때의 범위 입니다.



이 블래스트와 위의 디스차지를 매크로에 묶어서 “블디 매크로”로 놓고 사용합니다. 아래 에디셔널 패스브들 덕분에 묶어서 쓰는게 혼자 쓰는거보다 훨씬 강하기 때문에 거의 항상 이 둘을 같이 쓰게 됩니다.


에디셔널 디스차지 (2차) / 에디셔널 블래스트 (3차)

블래스트를 쓰고 디스차지를 쓰거나, 반대로 디스차지를 쓰고 블래스트를 쓰면 추가타가 나갑니다. 즉 무조건 블/디를 번갈아가면서 써야 최고 효율을 뽑을 수 있기에, 손바삐 직접 번갈아가면서 누르실게 아니면 매크로를 추천드립니다.

 


카디널 트랜지션 (3차)

패파 유틸의 핵심인 스킬입니다. 시전중엔 슈퍼스탠스 상태가 되고, 이동은 완전한 텔레포트 판정이라 위험한 패턴들을 넘어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대 5번까지 밖에 충전이 안 되고, 재충전 시간은 7초라 남발하면 중요할 때 스킬이 없어서 죽을 수도 있으니 조심해서 사용해야 됩니다.

난사할 수 있는 스킬이 아니기에 딜을 크게 기대할 수 있는 스킬은 아니지만 블래스트랑 퍼뎀이 크게 차이나지 않아서 강화하면 은근 도움이 됩니다.

 

에디셔널 트랜지션 (4차)

4차에 자동으로 찍히는 “고대의 저주” 디버프에 관련된 패시브인데, 적을 공격시 중첩을 최대 5개까지 쌓고, 중첩당 크뎀 4%로 총 크뎀 20%를 줍니다. 지속시간이 길어 보통 보스전에서는 항상 켜져있지만, 입장 직후 극딜 시 스택을 쌓고 극딜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에인션트 포스 계열 스킬

에인션트 포스 스킬들은 공통점으로 쿨타임이 있고 렐릭 게이지를 소모하지만, 앞에서 말했듯이 게이지는 차고 넘치기에 게이지를 관리하면서 써줄 필요 없이 쓰고 싶을 때 쓰면 됩니다. 추가로, 에인션트 포스와 인챈트 포스 스킬들은 카디널 스킬을 번갈아 쓸 때마다 쿨타임이 1초가 줄어들기에(5차 제외), 생각보다 자주 쓸 수 있습니다.

 

스플릿 미스텔 (2차)

첫 에인션트 스킬이자 사냥기인데, 저렙~아케인리버까지는 몰라도 그란디스부터는 원킬컷이 높아서 잘 안 씁니다. 본인은 272렙까지 이거로 사냥해본적이 없습니다.

 


트리플 임팩트 (3차)

패파의 유틸기 2. 스킬을 시전하는 중에는 슈퍼스탠스이고, 공중에서 스킬을 쓰면 그 즉시 정지합니다. 패턴을 피할때나 밀격을 씹을때 자주 쓰입니다.

데미지는 별로라 말뚝딜할때 동꼽 방지용으로만 가끔 씁니다.

 


엣지 오브 레조넌스 (4차)

쿨타임이 15초지만 앞서 말했듯이 블디를 쓸 때마다 1초가 줄어들기에 보기보다 훨씬 자주 쓸 수 있습니다.

사냥에서도 코강시 9명까지 때리고, 보스전에서도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주력기입니다.

 

레이븐 템페스트/이볼브 템페스트 (5차)

소환수 레이븐을 토네이도로 만들어서 공격하는 스킬입니다. 5차 스킬 이볼브가 켜져 있다면 아래키를 누르고 사용할 시 압축이 된 이볼템이 나가므로 보스전에서는 꼭 이볼브를 쓰고 써주고, 우클릭으로 모드를 바꾸면 아래키를 누르지 않고도 이볼템이 나가니 꼭 우클릭으로 모드를 바꿔줍시다.

단점으로는 설치기다보니 바인드 없이는 제대로 딜을 못 넣고, 캐릭터 앞에 땅이 있어야 이걸 설치할 수 있다보니 루시드 2,3페나 더스크를 칠 때

 

이런 사소한 사고가 날때가 있습니다. 만약 스킬이 안 나가면 살짝 뒤로 움직여서 설치해주면 됩니다.

 


얼티밋 블래스트 (5차)

퍼뎀도 높고, 100% 방어율 무시도 달려있어서 극딜에 많은 공헌을 하는 스킬이기에 무적이 붙어있지만 극딜 때 써야되는 스킬입니다. 보통 렐릭 에볼루션을 쓰고 게이지를 다 채운 후 사용합니다.

 



인챈트 포스 계열 스킬

인챈트 포스는 기본적으로 에인션트 포스랑 비슷한데, 추가로 현재 문양에 따라서 효과가 살짝씩 바뀝니다. 그래서 적재적소에 문양을 맞춰 스킬을 써야하지만… 솔직히 신경 쓸 필요 없고 보스전에서는 그냥 블래스트로 고정하고 쓰고 사냥 할 때는 막 써도 됩니다.

 


커스 인챈트 (4차)

원래 문양은 마지막으로 쓴 카디널 스킬을 따라가는데, 이걸 쓰면 인챈트 포스에 쓸 문양이 고정됩니다. 스킬을 쓰고 왼쪽을 누르면 블래스트, 위를 누르면 디스차지, 오른쪽을 누르면 트랜지션 문양이 고정되는데, 보스전에서 쓰이는 인챈트 스킬은 전부 블래스트라 블래스트로 고정해서 쓰고, 사냥때는 비활성화 하면 됩니다.

 


콤보 어썰트 (4차)

디스차지 – 후속타 범위가 아주 넓어집니다.

블래스트 – 보스전 때 쓰는 모드인데 블디보다 약해서 평딜시에는 안 쓰고 보스 패턴 회피할때나 한번씩 써주면 됩니다

트랜지션 – 첫타에 맞은 모든 적이 저주 5중첩이 됩니다. 보통 보스전에서는 보스를 계속 때릴테니 저주는 항상 풀중첩이겠지만, 입장하자마자 저주 0스택인 상태에서 바로 극딜을 하기 위해서 쓸 때도 있습니다.

보통 범위 넓은 사냥기로 쓰입니다. 후속타가 13명까지 때려서 사냥터의 1/3 정도를 쓸어담습니다.

 


에인션트 아스트라 (하이퍼)

극딜기 같아 보이지만 블디보다 딜이 안 나와서 뎀감기로 쓰입니다.

 


옵시디언 배리어 (5차)

셸터 같은 설치기입니다.

디스차지 – 실드가 매직쉘처럼 파티원한테 붙어다닙니다.

블래스트 – 아주 커다란 실드를 자리에 설치합니다.

트랜지션 – 블래스트랑 성능은 같지만 크기는 작은 실드를 설치하는데, 재시전으로 재설치가 가능하게 됩니다. 별로 쓸모는 없습니다.

파티격시에는 극딜때 쓰고, 솔플이면 생존기 용도로 쓰면 됩니다.


 

렐릭 언바운드 (5차)

디스차지 – 속사기 형태로 오래 지속됩니다. 총딜은 높으나 블래스트 모드가 극딜 압축이 더 나아서 안 쓰입니다.

블래스트 – 보스전 모드입니다. 폭발 범위가 매우 넓어서 사냥할 때도 씁니다.

트랜지션 – 주위를 공격하는 작은 설치기를 최대 3개 설치합니다. 사냥용으로 가끔 쓰입니다.

극딜때 깔아주는 스킬입니다. 사냥시에도 블래스트를 2층에 깔면 1~3층을 다 정리해주기에 원킬이 안 나면 잘 쓸 수 있습니다.

 


6차 스킬

포세이큰 렐릭 (오리진)



극딜기이자 버프기입니다. 컷신은 약 6초고, 사용시 30초간 에인션트 포스 스킬 최종뎀 증가, 마법화살 추가 생성, 추가타 스킬을 부여하는 버프가 걸리므로 6차를 쓰고 다른 극딜기를 쓰는 식으로 운용됩니다.

 


기타 스킬들


레이븐 (3차)/ 이볼브 (5차)

소환수인데, 패스파인더에게는 템페스트 발사대입니다. 템페스트를 사용하다가 죽으면 레이븐/이볼브 모두 증발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커스 톨러런스 (3차)

의지를 최대 160까지 올려주기에 위험한 상태이상에서 빠르게 벗어나게 해줍니다.

 

렐릭 에볼루션 (하이퍼)

즉시 렐릭 게이지를 다 채워주고, 에디셔널 블래스트/디스차지의 화살 갯수를 늘려주는 극딜버프입니다. 보통 이걸로 게이지를 다 채워서 얼티밋 블래스트를 최대 데미지로 씁니다.

 


육성 공략


하이퍼 스킬

카디널 포스-리인포스: 카디널 포스 스킬 데미지 20% 증가

카디널 포스-에디셔널 인핸스: 에디셔널 카디널 포스 스킬 발동 확률 10% 증가

디널 포스-보너스 어택: 카디널 포스 스킬 공격 횟수 1회 증가

에인션트 포스-보스 킬러: 에인션트/인챈트 포스 스킬의 보뎀 20% 증가

에인션트 포스-이그노어 가드: 에인션트/인챈트 포스 스킬의 방무 20% 증가


위 5개의 스킬을 찍어줍니다. 패파의 주력기인 카디널 포스 관련 하이퍼는 당연히 모두 찍어줍니다. 그 다음은 에인션트 포스-보스 킬러와 에인션트 포스-이그노어 가드가 무난하고, 만약 방무가 아주아주아주 매우매우매우 높으시면(99%이상) 에인션트 포스-이그노어 가드 대신 샤프 아이즈-크리티컬 레이트(샤프아이즈 중 크확 5%)도 고려할만한 옵션입니다. 에인션트 포스-인챈트 인핸스는 오직 인챈트 스킬에만 데미지를 부여해서 쓰지 않습니다.

 


코강

패스파인더는 총 9개의 스킬이 강화가 가능한데, 이중 필수 3개, 2순위 2개에 선택 3개로 코강이 아주 힘들지는 않습니다.


카디널 블래스트, 카디널 디스차지, 엣지 오브 레조넌스
보스전과 사냥 전부 쓰는 스킬들이기에 무조건 1순위로 강화해줍니다.

만약 주보캐이시거나 코젬이 많이 없으시면 위 세개만 해주셔도 무방하고, 코강을 더 하실거면 이동기지만 데미지가 쏠쏠한 트랜지션, 사냥기인 콤보 어썰트에 아래 세개 중 하나를 넣어서 2중4코 or 3중6코로 쓰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미스텔 – 스펙이 높거나 하위구간에서 효과적인 사냥기


트임 – 보스전 때 깨알같은 딜 / 사냥시 깨알같은 딜


레이븐 – 보스전 때 깨알같은 딜


뭘 하던지 의미는 크게 없습니다. 만약 스펙이 아주아주 높으시면 아스트라를 제외하고 전부 해주셔도 됩니다.

본인은 위 필수 3개랑 트랜-어썰트-트임으로 3중6코를 쓰고 있습니다. 어차피 스펙이 딸려서/해본적이 없어서 미스텔로 사냥을 안 하거든요.



스킬코어 강화는 극딜점유율 1위인 레이븐 템페스트를 1순위로 하고, 극딜비중 2위인 얼티밋 블래스트, 3위인 렐릭 언바운드, 그리고 딜링기보다는 유틸기에 가까운 옵시디언 배리어 순으로 하는걸 추천합니다.


공용코어로는 크확 제한을 풀어주고 크뎀을 크게 올려주는 극딜버프인 크리티컬 리인포스를 1순위로, 그리고 또 다른 극딜버프인 메용2가 2순위입니다. 자동공격기인 가이디드 애로우는 돌스공인 패파 특성상 큰 비중을 차지하진 않으니 강화순위가 높지 않고, 소환수 강화기인 이볼브는 1레벨은 필수지만 그 이상의 투자는 뒤로 미루셔도 괜찮습니다.


공용 바인드기인 에르다 노바는 바인드가 없는 패파 특성상 빠르게 25레벨을 찍어주는게 좋습니다. 에르다 샤워, 스인미, 크오솔은 최종뎀 최하위인 패파한테 효율이 떨어져서 강화 순위가 낮다고 생각하는데, 아케인리버 구간이시거나 파운틴으로 1킬내지 2킬이 가능한 스펙이면 샤워 투자도 나쁘지는 않습니다.


코강 순서 요약:
레템 >>>>> 얼블 > 언바 >>> 배리어

이볼브(1렙) > 크리인 >>> 메용2 >>> 가이디드/이볼브(2렙 이상)

노바 20+5렙 >>>>> 샤워/스인미/크오솔 >>>> 노바(25렙이상)




어빌리티

(보스전 기준) 패파가 채용할만한 어빌들은 보공, 재사용, 상추뎀, 크확 등이 있는데, 첫째 줄은 보공이나 레조를 위한 재사용을 골라주고, 2,3줄은 크확, 보공/재사용/상추뎀 중 나오는걸 쓰면 됩니다. 어빌 종결옵은 재/보/크 혹은 보/재/크 가 됩니다. 하지만 종결옵이나 무난한 보/크/상이나 큰 차이는 없기에, 적당한 옵션을 뽑으셨다면 그냥 냅두셔도 큰 상관은 없습니다.

 



링크

모궁 링크는 당연히 풀로 채우고, 궁수이기에 팬텀링크를 채용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타직업과 큰 차이는 없습니다.

사냥용으로는 에반, 메르, 아란같은 경험치 링크와 원킬컷을 낮춰주는 호영, 일몹뎀/뎀을 올려주는 데벤, 아크, 라라, 일리움, 카인, 카데나 등과 같은 링크를 채용합니다. 팬텀링크 없이 상시 크확이 100퍼센트가 넘어가면 사냥용 링크에서는 팬텀을 뺍니다.

보스용으로는 팬텀을 무조건 포함하고 모법, 루미 등 방무와 보스뎀의 데슬, 그리고 엔버링크 등을 씁니다. 보스에 따라서 생존 링크인 레지, 모전, 은월의 링크를 넣어주셔도 됩니다.

현재 링크 상태(위 사냥, 아래 보스)



유니온

공격대원은 타직업과 크게 다를 거 없이 나로신궁(크확), 은월(크뎀), 데벤(보공), 제로(경치), 와헌(뎀), 기타 덱스직업 등으로 채웁니다.

점령은 크뎀-보공-방무-크확 순으로 채우는게 일반적이고, 자기가 유뇬도 방무도 넘쳐난다 그러시면 방무를 조금 빼고 크확에 넣어도 좋습니다.

 


시드링

패스파인더는 기본적으로 극딜 비중이 높은 캐릭터기에, 시드링을 사용한다면 리스트레인트 링과 웨폰퍼프-D링을 사용하게 됩니다. 시드링의 주기는 180초이지만 패파는 극딜이 120초이기에, 매 극딜마다 시드링을 사용하려면 스위칭을 해야하기에 어느정도 불편함이 있습니다. 패파는 극딜을 시드링 지속시간 중에 전부 넣을 수 있기에 시드링 효율이 좋은 편입니다.

컨티링은 잘 모르겠습니다...




사냥

패파의 사냥은 더블점프 후 블디를 쓰며, 거기에 콤보 어썰트와 레조넌스를 섞어주는 식으로 사냥합니다. 원킬컷이 크게 높지는 않고, 스킬들의 범위/후딜/판정 등이 굉장히 좋아서 사냥 자체는 쾌적한 편입니다. 이 세가지 스킬 말고도 추가로 사냥에 쓸만한 스킬은 레템, 언바(블래스트)/언바(트랜지션), 파운틴, 그리고 미스텔 정도가 있는데, 파운틴과 미스텔은 사냥에 쓰려면 스펙이 좀 좋아야 하고, 레템과 언바는 쿨타임이 120초지만 지속시간은 30초 전후이기에 잠시동안만 필드 장악력을 높여주는 용도로 쓰입니다.

 

 

추천드리는 사냥터로는 천장이 낮은 3~4층의 지형을 가지고 있는 사냥터입니다.

예시: 오디움 골목 1, 2



아르크스 극장 1, 2


 셀라스 별삼심 1, 4 등등


이 사냥터들에서는 2~2.5층에서 스킬을 시전하면 모든 층을 커버할 수 있기에 특별한 루트나 빌드 없이도 편리한 사냥이 가능합니다. 마릿수를 최대한으로 챙기는 사냥터는 아니지만, 더블점프-스킬만 써도 알아서 전부 정리되는 지형이라 무지성 사냥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 1층에서의 레템은 약 2.5층까지 닿고, 블래스트 모드의 언바를 2층에 설치하시면 1~3층의 몹이 전부 터집니다. 가동률은 높지 않지만(120초에 각각 지속27초, 10초), 쿨마다 깔아주면 ~5젠까지 날먹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원킬이 안 난다고 하더라도 블디의 공격속도는 빠른 편이고 사출기가 남은 몹들을 정리해주기때문에 2.5킬 정도만 되어도 몹들을 생각보다 많이 흘리지는 않습니다. 본인은 오디움 2.5킬로 6분당 1400~1500마리정도 잡습니다.

.

종합적으로, 패파의 사냥은 아델의 점디처럼 무지성 사냥이 가능한데, 거기에 범위가 넓은 추가 광역기로 뇌를 빼고도 넓은 지역을 커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졌습니다. 빌드를 더 자세히 짜시고 스펙을 올려 파운틴/미스텔까지 사냥에 기용하거나 아예 그냥 사출기 원킬이 되는 스펙이라면 엄청나게 많은 마리수를 먹을 수도 있게 고점 역시 높은 편이라 전체적으로 패파의 사냥 능력은 못해도 중상위권이라고 봅니다.

 



보스전

극딜과 평딜구조 모두 단순하고, 유틸도 직관적이라 익숙해지기 쉬워서 패파의 보스전은 좋은 편입니다.


보스전 시, 보통 커스 인챈트를 이용해 문양을 블래스트로 고정하고 사용합니다. 보스전에서 쓰이는 인챈트 스킬들은 전부 블래스트가 좋기 때문입니다.


예외적으로는 트랜지션 모드의 콤보 어썰트가 있겠는데, 트랜지션으로 어썰트를 사용하면 첫 타에 맞은 적의 저주 중첩이 바로 최대가 됩니다. 보통 보스전에서는 저주 중첩은 항상 5중첩이라 신경 쓸 필요가 없지만, 입장하자마자 극딜을 하는 경우에는 저주가 0중첩이기에 이때 제한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냥 블디를 몇번 쏴 주셔도 되고, 빠르게 극딜을 원하시면 를 사용해주셔도 좋습니다. 대신, 를 사용하셨다면 빠르게 를 사용해 주셔서 문양을 블래스트로 고정해 주셔야 후에 렐릭 언바운드를 사용하실 때 문제가 없습니다.

저주 풀중첩일시 몬스터에게 이런 표식이 남습니다.



극딜
극딜압축이 매우 잘 되어 있는게 패파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인데, 극딜 스킬들을 약 10초 안에 전부 넣고 빠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딜타임이 제한되어 있는 보스들 상대로 좋은 상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극딜 순서는

(입장 후 극딜 시 저주 5스택 확인)
(레이븐 후)이볼브 > 메용2 > 에픽어드벤쳐 > 크리인 > 6차(없으면 스킵) > 엔버링크 > 시드링(있다면) > 에르다 노바 > 배리어(블래, 솔격시 생략가능) > 이볼템 > 언바(블래) > 에볼루션 > 얼블 > 평딜 유지

 

극딜 영상



예열, 연계, 게이지 관리 등 복잡한게 딱히 필요 없는 매우 직관적인 극딜입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버프, 바인드, 극딜스킬 설치만 해주시면 끝입니다. 재접 후 바로 보스전을 가시면 게이지가 없어서 스킬이 안 나갈 수 있는데, 당황하지 마시고 블디만 몇번 써주시면 가득 채워지니 큰 문제는 없습니다.

 

평딜

패파의 평딜 구조는 매우매우 단순한데,

블디매크로 > 레조(쿨 돌때마다)

를 반복하면 됩니다.

트랜지션으로 보스 패턴을 회피하면서 위 두(세) 스킬만 쓰면 됩니다. 참 쉽죠?

수로/펀치킹 등에서 말뚝딜을 할때 제자리에서 블디/레조만 누르면 동꼽이 걸리는데, 그걸 방지하기 위해 보통 레조 3번마다 트임을 섞어줄 때도 있습니다.

 



유틸

패파의 보스전 유틸은 4가지가 있는데, 텔포/슈스탠인 트랜지션, 브레이크/점프기/체공기인 트리플 임팩트, 키다운 뎀감기인 에인션트 아스트라, 그리고 설치형 뎀감기인 옵시디언 배리어 입니다.



트랜지션

카디널 트랜지션은 널리고 널린 텔레포트 스킬 중 아주아주 좋은 편에 속하는 S급 이동기입니다. 공중에서 공중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딜레이 거의 없이 연속 사용이 가능하고, 시전중엔 슈퍼스탠스까지 붙어있는 버릴게 없는 스킬입니다.  단점을 꼽자면, 최대 5개의 기운을 저장해서 사용하는 스킬이라 너무 남발하면 필요할 때 사용하지 못한다는 점, 그리고 시전 후 약간의 후딜이 있다는 점입니다.

패파가 기동성이 엄청 좋은 직업은 아니지만, 이 트랜지션 덕분에 순간 기동성은 꽤 좋습니다. 보스 패턴을 피하거나, 빠르게 다가가거나, 위험한걸 뛰어 넘거나 하는데 이거만한 스킬이 없는데, 시전중 슈스탠까지 달려있어 밀격 스킬을 피하려다가 실수로 맞아도 날라가지 않는다는 소소한 장점이 있습니다.


사용 예시를 보여주자면

스우 전깃줄은 그냥 갖고 놀 수 있고



루시드 바람은 물론 골렘도 넘어다니고



실전에서는 쓰기 어렵겠지만 듄켈 검기도 넘어서 피해집니다.





저런 넘어다니는거 말고도 딜을 하다가 보스가 공격을 준비하는게 보이면, 트랜지션으로 반대편으로 빠르게 넘어가서 때리거나 뒤로 잠깐 빠져서 공격을 흘리고 다시 들어가는 식으로 많이 쓰입니다.


슈퍼스탠스가 달렸기에 아래 트리플 임팩트를 쓰기가 어려운 상황이면 제자리에서 시전하는것으로 밀격을 먹을 수 있습니다. 완전한 슈스탠이 아니라 살짝 경직이 있는건 주의해주세요.

 


트리플 임팩트

슈스탠이 달려있어 밀격 스킬을 씹거나 피할 수 있고, 에어브레이크가 되기에 더블점프 후 급정거로 더 미세한 컨트롤을 하거나 시전 시 살짝 오래 공중에 떠 있는걸 이용해서 밑으로 지나가는 패턴을 피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는 의외로 사용처가 많은 스킬입니다.


밀격 피하는걸 실패해도 밀려나지 않고



시전시 정지 기능으로 스우 강제점프기도 무시합니다.



가엔슬 밀격도 씹기는 하는데 가엔슬 넉백은 뒤에 스턴이 길어서 씹어도 죽을 가능성이 높으니까 웬만해서는 피하는게 낫습니다.





강제점프 기능으로 아래에서 오는 패턴을 피하기도 쉬운데, 예시로 반반이랑 가엔슬 지진 패턴은 점프하는거 보자마자 누르면 바로 피해집니다. 공중에 있던 땅에 있던 무조건 피해지니까 얘네가 뛰자마자 트임을 누르고 딜을 계속 하면 됩니다.


이렇게 파훼할 수 있는 패턴들이 의외로 많기에 익숙해지면 보스전에서 은근 잘 써먹을 수 있습니다. 나중에 6차 코어가 뭐가 나올지 모르는데, 혹시 이 스킬이 6차를 받아서 떡상할 수도 있으니 미리 익숙해져서 나쁠건 없죠

 

아스트라

키다운 하는 동안 60퍼센트의 뎀감을 받는데, 이게 꽤 수치가 높아서 여러 패턴이 겹쳐도 사는 경우가 꽤 많기에 궁지에 몰렸다면 한번 눌러보는게 좋은 스킬입니다.

표기된 재사용 대기시간은 60초지만 블디를 쓸때마다 1초씩 줄어들기에 생각보다 자주 쓸 수 있습니다.

트랜지션 모드에서는 키다운 중 좌우로 움직임이 가능하지만, 보스전에서는 보통 블래스트로 고정을 해 큰 의미는 없습니다.

 

옵시디언 배리어

쉘터의 상위호환으로, 뎀감과 파티원 크뎀을 주는 스킬입니다. 파티격에서는 극딜버프로 쓰지만, 솔격에서는 생존기로도 사용 가능하고, 극딜시 깔아서 안정성을 주는데 쓸 수도 있습니다.

보스전에서는 블래스트로 고정해 쓰지만, 성능이 블래스트가 제일 나아서 오히려 좋습니다.

메린이 슬레이어인 카벨 꼬리 개무시하면서 딜이 가능합니다.





(짧은) 보스별 공략 

자쿰 – 팔찍기에 맞춰서 아스트라를 써주면 안 죽습니다. 극딜시 중앙에서 스킬들을 쓰면 팔들이 전부 죽어서 본체패턴이 나올 수 있으니 옆에서 스킬들을 써주는게 좋습니다.


매그너스 – 휠윈드만 조심하면 됩니다. 밀격을 씹거나 피하는 연습만 잘 하면 쉽게 잡을 수 있습다. 극딜도 좋아서 헬존 스킵도 어렵지 않습니다. 트임으로 휠윈드, 그리고 에너지 공격을 피하는게 가능합니다.


힐라 – 딱히 뭐 공략이 있는 보스가 아니라… 딜이 부족하면 흡혈 때 얼블로 잡몹을 한번에 지우면 피회복을 막을 수 있습니다.


카웅 – 샌드백.


파풀 – 레이저, 장판 모두 옵시디언 배리어로 무시가 가능합니다. 스봉 1초전에 의지나 얼블로 막기만 하면 됩니다. 폭탄 너프먹고 나서는 뉴비절단기에서 좀 동네북이 된듯 합니다.


피에르 – 극딜이 강해서 분열스킵이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에르다 노바는 필수!


반반 – 샌드백2. 지진 사운드(디잉~ 하는거)가 들리지마자 트임을 누르면 무조건 피해지니까 집중만 하고 있으면 죽기 어렵습니다.


블퀸 – 샌드백3. 만약 분신상태로 있기에는 포션이 아깝고 죽기에는 데카가 아깝다면 아스트라 를 킨 상태로 브레스를 맞으면 죽지 않고 분신을 풀 수 있습니다.


벨룸 – 극딜 압축이 잘 돼서 화염구 공격때 극딜을 전부 박을 수 있고, 배리어를 깔아놓으면 꼬리를 맞으면서 딜이 가능합니다. 꼬리 피하기가 어렵다면 그냥 피해만 다니다가 바인드 타임때만 딜 넣기도 가능합니다.


반 레온 – 샌드백4. 눈깔빔도 타이밍 잘 맞추면 트임으로 피할 수 있지만 의미는 딱히 없습니다.


혼테일 – 샌드백5. 상태이상이 귀찮기만 할 뿐입니다.


아카이럼 – 샌드백6. 그냥 패면 됩니다.


핑크빈 – 피돼지+상태이상 떡칠+공무공반이라 귀찮은데 딱히 위험하진 않습니다. 공반만 조심하면 죽을 일은 딱히 없습니다.


시그너스 – 샌드백7. 포션쿨 30초때는 다크 제네시스를 아스트라로 씹으면 됐는데 6초로 너프먹고 나서는 죽기가 더 어렵습니다.


스우 - 1페는 트랜지션으로 가지고 놀 수 있고, 2페부터는 낙하물이랑 전깃줄과의 싸움입니다. 발판을 못 찾았어도 배리어나 아스트라를 잘 쓰면 살 수 있습니다. 트임이나 트랜으로 밀격을 피하는 연습을 하면 생존에 도움이 됩니다.

딱히 쓸일도 없지만 1페에서 트임은 자살기니 쓰지 않는게 좋습니다.


데미안 – 시도때도없이 올라가면서 딜로스를 유발해 귀찮습니다. 2페 초월석이 매우 짜증나지만 극딜이 짧아서 빠르게 극딜을 넣고 빠지는 식으로 대응이 가능합니다.


가엔슬 – 2분 직업이라 3분 주기인 가엔슬 기믹에서 손해를 봅니다. 패턴 피하기는 쉬운 편이라 레이저랑 밀격, 땅찍기만 조심하면서 기믹 수행하고 딜을 넣으면 됩니다.


루시드 – 트랜지션 덕분에 패턴 피하기는 쉽습니다. 참고로 골렘을 넘어가려면 딱 붙어서 트랜지션을 쓰면 안 되고 살짝 떨어져서 써야 합니다. 1페는 무난한데, 날라댕기는 2페때 딜로스가 심합니다. 발판이슈로 이볼템을 못 깔거나 루시드가 움직여 밑으로 빠지면 딜로스가 크므로 반드시 적당한 발판인지 확인하시고 꼭 바인드를 써주는게 좋습니다. 3페는 그나마 극딜화력이 강하기에 무난한 편입니다. (솔플시)폭탄이 달렸는데 파훼존으로 가지 못해도 피가 충분하면(77퍼센트 이상) 아스트라를 써서 생존이 가능하기에 피관리를 잘 해놓는게 좋습니다.


윌 – 무난합니다. 장풍, 거미는 트랜지션으로 넘어가지고, 밀격을 잘 씹거나 피하면 난이도가 꽤 내려갑니다. 윌 바로 앞에 붙어서 딜을 하면서 윌이 공격 모션을 보일 때마다 트랜지션으로 뒤로 넘어가서 딜하는 방법도 있는데, 트랜지션을 너무 자주 써 공격에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조심하시면 됩니다.


더스크 – 트랜지션으로 패턴 피하기는 어렵지 않고, 딜타임 때 딜만 잘 넣어주시면 됩니다. 가끔 촉수발판 위에서 이볼템이 안 써질 때가 있는데, 그럴때는 발판 각도가 조금 완만한 곳에서 써주시면 됩니다. 공포패턴만 조심하시면 상위보스 중에서는 가장 간단합니다. 발판이 사라지고 레이저 패턴때도 이볼템은 알아서 딜을 넣으니 쿨 돌때마다 극딜을 해주시면 됩니다. 레이저 때 스턴운석만 피하면 죽을 일은 거의 없습니다.


듄켈 – 컨트롤 싸움입니다. 억까 상황에서도 아스트라만 잘 누르고 있으면 패턴을 겹쳐맞아도 살 때가 있기 때문에 스턴을 1순위로 피해주는게 좋습니다. 솔플시 배리어를 극딜때 쓰지 말고 생존기로 들고 있는걸 추천드립니다. 만약 검기 반대편으로 못 넘어갈거 같은데 아스트라/배리어가 쿨이라면 윗점-윗트랜이나 앞트랜으로 피할 수 있긴 합니다.


진힐라, 검마, 세렌, 칼로스, 카링 – 허접이라 직접 경험해본 적이 없어요… 죄송합니다… 만약 경험하게 된다면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기타 스킬 사용 팁


매크로 키씹힘

블디 매크로를 처음 쓰실 때 키씹힘 때문에 불편하다고 하는 분들이 많은데, 실제로 블디+방향키나 블디+점프키를 빠르게 누르시면 블래스트만 나가고 디스차지는 나기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보스를 넘어가면서 점프 + 방향전환 + 블디를 써서 방향을 틀어 공격할 때 자주 디스차지가 씹힙니다. 이건 어쩔 수 없고, 최대한 덜 씹히도록 키를 차분하게 누르는게 답인것 같습니다.

블+디+트랜지션까지 매크로에 넣고 사용하면 (블디트 매크로) 뭔가 좋아진다는 소문이 있는데, 검증된 바도 없고 저는 개인적으로 뜬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양 컨트롤

위의 키씹힘을 기반으로 하는 컨트롤인데, 일부러 블디 매크로를 끊어서 원하는 문양을 띄우는 컨트롤입니다. 블디를 사용하면 문양은 마지막으로 사용된 디스차지로 남는데, 블래스트 문양의 스킬을 쓰고 싶다면 고의로 블디 후 점프키/방향키로 디스차지를 씹어 블래스트를 남기는 컨트롤입니다. 과거에는 보스전에서 블래스트 스킬을 쓰기 위해서 사용했지만, 커스 인챈트의 추가로 큰 의미가 없어진 잡기술이고, 저는 사냥할 때 블래스트 모드의 렐릭 언바운드를 쓰기 위해 가끔 사용하는 편입니다.



 마치며

부족한 점이 많지만 이 공략으로 패파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알게 된게 있기를 바라고, 패파를 하고 싶게 되었다면 주저말고 캐릭터 선택창에서 패파 한마리를 키워보세요!! 맘에 안 들면 다른 모궁으로 전직시키던지요


다들 이쁘고 간단하고 강하고 이쁜 패파 많이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