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연 : 0티어->1티어


svarog : 환경을 극히 심하게 타며 개조로 인한 강도 상승이 극단적으로 낮고 제한적이다

비육성 상태라면 현시점에서 개조하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


개조 대연의 문제점

- 액티브의 20% 공증의 가치가 제로에 가깝다

- 치명 서포팅 효율이 낮고, rdps는 아비게일+클루카이의 발끝도 쫒아가지 못하며, 범위는 강도의 변화를 거의 주지 못한다

- 대부분의 고난도 환경에서는 궁 게이지 회복이 유효하지만, 낮은 환경에서는 수요가 거의 없다

- 무함수 환경에서는, 쿨다운의 길이를 크게 늘려 팀 전체의 궁 게이지 충전 속도에 문제를 일으킨다

- 환경을 매우 극심하게 탄다


운디네, 강우, 옐레나의 연속된 출시로 인한 인플레

특히 옐레나의 경우 구시대 캐릭터들의 문제점을 크게 부각시켜 상당수 인형들의 평가가 내려갔다

강도 자체는 그대로지만 상대평가로 인한 0티어->1티어 강등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대연 : 1티어->1티어


璟洺つ : 치명 버프를 높여줬지만 여전히 시너지가 나는 인형은 거의 없으며

대연삭달 조합은 옐레나로 인해 출전기회 대부분을 잃었다

액티브의 20% 공증은 적용률이 낮고 실전 가치는 0이다

궁 게이지 보조는 궁 쿨타임의 제한을 크게 받아, 실전성이 낮고 사용처도 매우 적다


연속된 강캐들의 추가+옐레나의 출시로 인해 구시대 캐릭터들과 신캐릭들 사이에 인플레가 크게 일어났다

기존 강도 평가에서 종합 0티어로 평가받았던 강우는 0티어로 강등

0티어로 평가받았던 하츠치리/노라/스에요이/장음/나시타는 전부 0.5티어로 내려간다








평가 기준

1. 역할/함수

2. 운용 난이도/그로 인한 이득/난이도 수준

3. 스탯/기본값(알고리즘 제외)/기능성

4. 치명공격/치명보조/알고리즘/각 직군의 함수세트 효율/주관적 가산점



연산 사수 강도 평가 (운디네, 임호텝은 클루카이와 그 외 사수의 차이가 너무 커 비교를 위해 참가)

EX 클루카이[15.15]

T0上 운디네[14.13]

T0 임호텝改[13.69]

T0下 옐레나[13.49]

T0.5 장음[13.25] 쿠로[13.10]

T1 허블[13.09]

T1下 에어하트[12.93] 우라누스[12.80]

T2 프레넬[12.27] 맥스[11.52]

T4 옥토겐[10.69]


일부 캐릭터 보충 설명

- 에어하트는 장음이 거의 완벽한 상위호환이기에 사실상 장음의 출시부터 사망선고를 받은거나 다름 없음

- 운디네는 클루카이를 제외한 모든 사수보다 압도적으로 좋음



공격 사수 강도 평가

T0上 옐레나[13.93]

T0 전지改[13.68]

T1上 삭달라저[12.45] 대연改[12.44]

T1 람[12.27] 대연[12.15] 전지[11.98]

T1下 시모[11.75]


일부 캐릭터 보충 설명

- 대연의 실제 강도는 타 물리사수들을 따라가지 못하지만 서포트 능력이 매우 높아 주관적 점수를 줌



수위 강도 평가

T0上 해묘+클로토[12.86]

T0 수춘改[12.61] 크로크[12.60] 퍼즐[12.50] 클로토[12.46]

T0~T1 이블린改[11.46]

T1 파이슨[11.09] 미요[11.04] 야니[10.99]

T2 이블린[9.67] 시온[9.15] 보니[9.53]

T4 수춘[8.35]


일부 캐릭터 보충 설명

- 전체적인 분배에 대해서는 특별히 설명할 필요가 없음

- 파이슨의 경우 자신만이 특화된 역할+가치가 있어 점수를 주었지만, 너무 약한 본체+70렙의 너무 낮은 증가폭으로 인해 평가가 내려갔다

- 퍼즐의 경우 순수하게 높은 탱킹력과 연산력에 비례해 성장하는 방어/체력의 특수성이 매우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

- 이블린의 강도는 적의 피해량에 따라 달라진다. 적의 피해가 0%일 경우 0티어, 60%일 경우 0.5티어 수준이며, 보스전에 매우 특화되어 있다



전사 강도 평가

T0 강우[13.93]

T0.5 나시타[13.39] 하츠치리[13.26]

T1 베티[13.18] 매그힐다[13.00] 아키改[12.92] 센타우레시改[12.71]

T2上 아키[12.30] 브이[12.13] 첼시[12.10]

T2下 펜改[11.42]

T3 센타우레시[10.93] 펜[9.81]

T4 솔[9.29]


일부 캐릭터 보충 설명

- 베티는 육참골단 함수를 받을 때 딜량이 매우 높게 상승하지만, 무함수 환경에서 극단적으로 약하다

- 매그힐다의 무함수 딜량은 아키와 비슷하며, 함수가 있을 경우 아키보다 높아질 수 있다.

- 나시타는 몸이 상당히 약하며, 강도는 함수에 어느 정도 의존하고, 유함수 환경에서 보스와의 공방 혹은 무함수 환경에서 단일 dps에 크게 치우쳐 있다

- 전사 직군의 경우 평형계수로 점수 계산 이전 점수를 타 직군보다 높였지만, 전사의 총점수가 타 직군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은 대부분의 함수가 연산 관련 능력을 올려주기 때문이다



해결사 강도 평가

T0上 운디네[13.95]

T0 없음

T0下 안젤라[12.50] 리세[12.44] 노라[12.43] 퍼즐[12.41] 스에요이[12.37] 튜링改[12.33]

T0.5 드셰브니[12.04] 아비게일改[11.97]

T1上 튜링[11.87] 뱅크시改[11.79]

T1下 안토니나[11.57] 뒤팽[11.41] 뱅크시[11.37]

T2 사쿠야[11.19] 그루브改[10.90] 한나[10.81] 아비게일[10.80] 윌로우[10.77] 마이[10.54]

T3 크셰니아[8.62]

T4 그루브[7.43]


일부 캐릭터 보충 설명

- 노라는 운용 난이도가 단순하고 낮으며 그로 인한 이익이 크다

- 안젤라는 매커니즘적으로 매우 좋아 주관적 점수를 추가로 주었다

- 스에요이는 운용 난이도가 매우 높으며, 사용하기 까다롭고, 조작 또한 어렵다. 그러나 그로 인한 메리트가 확실하게 보장되어 있으며, 함수 효율은 떨어지지만 자신의 순수 출력으로 충분히 딜을 만족시킬 수 있다

- 공격딜러인 해결사는 공격 관련 함수가 전혀 없고, 딜의 대부분이 악성교란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함수 점수가 매우 낮다

- 서포트 해결사 자체는 함수/딜이 좋지 않아, 함수 점수가 낮다. 예 : 안젤라



치료사 강도 평가

全T0 임호텝改[13.48]

T0 플로렌스改[12.81]

T0.5 헬릭스[11.84] 나나카[11.64] 진[11.64]

T1 페르시카[11.58] 플로렌스[11.41] 제시[11.38]

T1下 드레이시改[11.14]

T2 임호텝[10.27] 드레이시[9.45]

T4 파나케이아[9.15] 초코[8.99]


일부 캐릭터 보충 설명

- 헬릭스는 전사덱에서는 T0급이다. 궁극기 사용 환경에서 클루카이가 있을 경우 나나카보다 높게 평가할 수 있으며, 큰 피해를 막을 필요가 없을 경우 나나카보다 우수하다

- 진은 딜 관련 함수가 가져오는 치명 버프로 인해 상당한 이익을 받으며, 그것만으로도 치료사 함수는 진에게 상당한 가치가 있다

- 페르시카는 모든 부분에서 상위 티어 인형에게 밀리지만, 초기에는 육성 재료 대부분을 제공받으므로, 사용이 편하다

- 드레이시는 스킬 발동 시간 동안 일반 공격을 하지 않아 함수로 인한 이익이 극단적으로 낮으며, 함수가 없는 극히 특수한 상황에서 고려할만한 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