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 항목

 

 

령鈴

-무기라기보다는 특수한 대법의 힘을 증폭시키는 도구로 등장한다. 애당초 무기로 사용하려면 방울으로부터 나오는 소리를 극대화시키는 등 특수한 장소나 절진 등 상대한 준비가 필요하며, 애초에 사람의 정신에 간섭하는 용도로 특수하게 그리고 짤막하게나마 등장하는 게 전부이기 때문에 무기로 쓰이는 장면은 등장하지 않는다.

 

 

련鏈

-기문병기의 하나. 쇠사슬.

그냥 사슬로만 사용하는 게 아니고, 송곳이나 구슬 따위를 달아서 부수적인 효과를 얻기도 하고, 그냥 쇠사슬만을 여럿 사용하는 식으로도 사용한다.

하지만 인지도가 바닥을 기기 때문에, 이게 등장하는 경우는 보통 마교나 사파에서 암수를 펼칠 때 사용하거나, 기문병기의 사용자로서 정파 쪽의 대전자와의 대결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쓰는 경우에나 등장한다.

 

 

 

륜輪

-불존이 마라들을 몰아낼 때 사용했다는 법륜法輪에서 유래한 무기.

건곤권과는 다르게 원거리에 있는 적에게 던져서 피해를 주는 식으로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수레바퀴처럼 생겼으며, 손잡이 근처를 제외한 부분이 원형의 칼날로 이루어져 있어 근접전에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상하기 어렵다고? LOL 시비르가 쓰는 부메랑 검 상상하면 된다. 이해하기 쉬울 거다.

 

 

 

라마승喇嘛僧, 장승藏僧

-포달랍궁布達拉宮에 속한 승인들을 부르는 말. 소림사의 무승들과 구분하기 위해서 라마 또는 포달랍궁이 있는 서장西藏에서 왔다 해서 장승藏僧이라고도 부른다. 포달랍궁의 수장인 달뢰라마達賴喇嘛를 따르는 궁도들을 뜻하기도 한다.

 

 

 

-마 항목

 

 

마공魔功

-마교에 소속된 무사들이 익히는 마공과 말 그대로 무림에서 연성하는 것 자체가 금기시되는 무공을 뜻하는 마공이 있다.

전자는 마교에 속한 무사들이 익히는 패도적이고 악독한 수법이 많은 살기 짙은 무공들이 대부분이고, 후자는 극악한 수련 방법으로 인해 익히면 도라이 새끼로 찍히는 미친 무공이다. 후자의 무공 수련 방법 가운데 극악한 것은 어린아이들의 피를 1천 명이나 죽여서 들이키거나, 독버섯을 먹고 죽은 여자의 자궁에 손을 넣고 수련하는 등의 미친 수련법들로 유명해서 익히면 무림공적으로 찍혀서 잡혀 죽는다.

전자의 마공은 발전속도가 굉장히 빠르지만, 안정성이 낮아서 특정 단계에 이르면 벽에 막혀서 더 나아가지 못하고, 감정이 불안정해지면 쉽게 광폭화하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이걸 익히면 마기라는 기운을 풀풀 뿜어대서 정체 숨기기도 난감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마두魔頭

-마공을 익힌 무림인 가운데 살아남아서 이 소릴 들을 수 있다면, 그놈은 장수한 것이다. 보통은 이런 소리 듣기 전에 주인공 만나서 죽는 게 일상이다. 묵념.

 

 

 

 

마적馬賊

-말 타고 도적질하러 다니는 엑스트라들. 비슷한 것으로는 비적匪賊이 있다. 이쪽은 말 타고 다니긴 하는데 그나마 규모가 큰 놈들 털어먹고 다니다가 털려서 죽는 게 역할. 마적이든 비적이든 결국 주인공한테 걸려서 죽는 건 별 차이가 없다.

사막에서도 말 타고 다니는 미친놈들도 있다. 광풍사니 혈풍사니 흑풍사니 하는 미친놈들이 그쪽. 낙타 타고 다니면 폼이 안 나는 모양이다. 대체 말이 사막에서 어떻게 그렇게 빨리 달리는 거야?

 

 

 

 

마교魔敎, 천마신교天魔神敎

-자세한 위치는 불명, 십만대산을 근거지로 하는 무림 최강의 단일세력.

교주에게 모든 권한이 몰려 있는 중앙집권제이며, 밑으로 부교주와 장로, 각 단체의 수장들끼리 서로 계파를 갈라 서로 권력을 얻기 위해 싸우는 등 내부적으로 꽤나 암걸리는 상황이 겹겹이 겹쳐 있는 경우가 많다.

무림 최강의 단일세력이고, 구무협 시절엔 천하제패를 꿈꾸는 마도魔道 쪽이 악역으로 많이 묘사되면서 주인공을 위기로 몰아넣었다가 결국 부활한 주인공에게 깨지는 게 일이었다. 

그 당시에는 혈교의 특성을 많이 지니고 있었으나 묵향과 황제의 검을 중심으로 마교의 이미지 개편이 일어나면서 사악한 술법 등을 사용하는 마교로서의 이미지는 혈교에게 가고, 힘과 강자존의 율법을 숭상하는 집단으로 재조명되었다.

 

 

 

만년○○萬年○○

-영약 중에서도 가장 오래 묵은 것, 특히 식물 형태의 영약에 붙는 접두어.

만년삼왕정, 만년설삼, 만년하수오 등등의 변형이 있으며 보통 만년이란 접두어가 붙었으면 매우 좋은 영약이란 뜻이다.

 

 

 

만년설삼萬年雪蔘

-극한지에서 음기와 자연의 기운을 흡수하며 자라나는 삼蔘. 극한지에서, 또는 극한의 상황이 조성되어있는 곳에서만 자라나는 설삼이 만년 이상 묵어 영성을 머금은 것이라 일반인이 먹으면 얼어 죽을 정도의 냉기를 뿜어대고, 한음기공 같은 무공을 익힌 자들에게는 극상의 영약이 된다.

보통 일반인이 먹어도 문제없는 수준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만년삼왕정萬年蔘王精

-산삼 중에서도 만년 이상 묵은 것. 삼 중의 왕이라고 할 정도로 영기와 자연의 기운을 흠뻑 머금고 있으며, 사람의 손길이 닿기 힘든 심산유곡에서 자라는 게 보통이다. 삼 중의 왕이라고 할 정도로 약효가 좋지만 무공을 모르는 사람이 먹으면 며칠을 고생하기 마련이지만 결국에는 무병장수하게 되고, 무공을 익힌 무림인이 먹으면 엄청난 내공의 증진을 볼 수 있다.

다만 워낙 귀한 물건이라 소설에서는 한 번 이상 등장하는 경우가 드물다.

 

 

 

 

만년지극혈보萬年地極血寶

-지정地情이 오랜 시간 동안 고온과 압력에 의해 만년에 걸쳐 서서히 녹아서 형성되는 영약. 이보다 격이 떨어지는 것은 그냥 지극혈보라 불리며, 양강기공을 익힌 자들에게 높은 효과를 보이는 영약이다.

생긴 것은 맑은 핏빛을 띠는 액체에 가깝다. 음을 대표하는 영약인 미타성수처럼 양을 대표하는 영약이며, 특별한 조치 없이 그냥 섭취하면 몸이 타죽을 정도로 양기 덩어리 그 자체이다. 그 약효가 지독하리만치 굉장해서 환골탈태와 임독양맥 및 세맥의 타통 같은 효과를 부가적으로 가져오기도 한다.

 

 

 

 

만년하수오萬年何首烏

-말 그대로 만년 묵은 하수오. 만년설삼, 만년삼왕정 같은 영약에는 비할 바가 아니지만 그래도 영약이라 먹으면 내공이 상당히 증진되는 게 보통. 다만 삼 계열이 워낙 메이저라 그런지 이쪽은 잘 다뤄지지 않는다. 

 

 

 

만년한철萬年寒鐵

-차가운 기운을 띄고 있는 철. 보통 북해 같은 극한지에서만 캐낼 수 있는 광석이며, 만년한철의 경우는 한철이 깊은 바닷속에서 수압에 의해 압축되고 압축되면서 엄청난 강도를 지니게 된 것을 일컫는다. 쉽게 얻을 수 있는 물건이 아니라 무협지 내에서는 오리하르콘에 준하는 광물로 다루어지며, 만년한철을 이용해 통짜로 검을 만드는 경우는 극히 적다.

캘 방법도 한정적인 데다가 보통 캐더라도 덩어리가 작아 검 한 자루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른 금속과 합쳐서 합금 형식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만다라曼茶羅

-불교 사찰에 가면 흔히 볼 수 있는 형이상학적인 기묘한 무늬.

종교적 수행 시에 수행을 보조하는 용도로, 정해진 양식이나 규범에 따라 그려진 도형을 말한다.

 

 

 

만독불침지체萬毒不侵之體

-천하의 모든 독이 먹히지 않는 신체. 최상의 독공을 수련하거나, 극악한 독약을 먹고 그 독기를 극복해낸 경우 독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강해져서 다른 독이 듣지 않는다. 오히려 독을 먹으면 내공이 강해진다는 설정이 붙는 경우도 있다.

 

 

 

만류귀종萬流歸宗

-수많은 무공의 갈래는 많지만, 결국 궁극의 경지에 다다르면 그것들이 모두 하나로 돌아온다는 말. 무학의 종류가 다양해도 결국 나중에 가면 한 가지로 귀일歸一한다는 의미.

 

 

 

만천화우滿天花雨

-암기술 최고의 경지, 또는 사천당가 최고의 절기로 여겨지는 암기술의 최고봉.

만천화우를 뛰어넘는 경지는 존재하지 않으며 나오지도 않는다. 아무리 높은 경지가 나오더라도 암기술에서는 만천화우가 최고봉이며, 대부분은 그 아래인 경우가 많다.

온 하늘을 꽃비가 채우는 것처럼 암기를 쏘아내어 상대를 가두고 결국에는 상대를 고슴도치처럼 만들어 죽인다. 펼쳐지면 반드시 피를 보기 때문에 사천당가에서도 어지간한 경우가 아니라면 잘 사용하지 않는다.

사람의 손으로 펼쳐내는 것과 기관장치를 이용해서 펼치는 것의 두 가지가 있다. 두 가지 모두 살상력이 매우 높다.

 

 

 

망신환忘神丸, 망신단忘神丹

-사람의 신지神志, 즉 이성과 의지, 정신을 제압하고 기억을 잃게 만드는 약. 약효가 지독하리만치 강렬해서 먹고 나서 정신을 잃고 깨어나면 기억을 잃어버리게 되거나, 심한 경우 먹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 백치가 되는 경우도 있다.

 

 

 

망아지경忘我之境, 무아지경無我之境 

-무림의 경지, 또는 특정한 현상 가운데 하나.

주인공의 파워업 이벤트에 꼭 들어가는 현상. 운기조식을 하다가 갑자기 내공 같은 것이 급진전하거나, 불현 듯 깨달음이 찾아오면서 자기 자신을 잊고 그것에 몰두하여 밖에서 시간이 며칠이 지나가도 모를 정도로 집중한 후, 깨어나는 것이 일반적인 클리셰.

이런 식으로 파워업을 하고 나면 전엔 좀 고생했던 놈도 간단하게 때려잡는 괴물로 변한다.

보통 망아지경이나 무아지경이 찾아오는 것은 두 가지 상황이다.

1. 적과 말 그대로 생사를 건 대결 중일 때.

2. 운기조식 중에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경우.

1번의 경우 아무런 생각도 없이 자연스럽게 상대의 공세를 받아내거나 받아치다가 주위의 소란에 의해 망아지경, 무아지경이 깨지면서 급속도로 수세에 몰리는 등 위기 이벤트로 이어진다.

2번의 경우는 깨달음이 찾아오면서 자기 자신을 잊어버리고 시간조차 잊어버린 채 스스로의 안을 관조하는 것에 집중하여 사나흘 가량의 시간이 지난 후에 눈을 뜨는 것이 일반적. 물론 단발성 파워업 이벤트이기 때문에 자주 안 나온다. 한 번 나온 이후엔 보통 영약빨로 해결한다.

 

 

 

맹자孟子

-사서삼경, 오경의 하나.

춘추전국시대의 유가였던 맹자가 각국의 제후들에게 유세를 벌이거나, 자신의 제자들과 나눈 대화를 책으로 엮은 것. 고자라던가 다른 사상가들과 논쟁을 한 것도 기록되어 있다. 

왕도정치와 혁명론에 주점을 두고 있다.

 

 

면장綿掌

-무당파의 무공 가운데 태극검, 십단금과 함께 가장 널리 알려진 장법.

이유극강以柔克强, 유능제강의 묘리를 담은 무당파의 최고위 장법 가운데 하나. 총 36초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연하고 날렵하며 부드러운 기세를 뿜어내는데, 이 기운이 끊어지지 않고 계속해 이어지며 연환한다.

그래서 이름이 이어질 면綿 자를 써서 면장인 것.

 

 

면벽굴面壁窟

-소림사의 경내에 있는 고승들이 자신들의 죄를 참회하기 위해 들어가는 굴. 평생토록 벽만 보다 죽은 고승도 있을 정도. 면벽수행을 하는 고승들은 끼니조차도 잊고 면벽에 몰두한다. 이런 면벽굴의 중심에는 장생굴張生窟이라 하는 장소가 있는데, 이름은 장생굴이지만 사실상 밖에서 잡아온 극악무도한 죄인들을 가두어두고 그들을 교화하는 장소다. 

즉 고승들이 참회하는 면벽의 장소임과 동시에, 악당들을 교화시키는 장소로서의 역할을 겸한다고 볼 수 있다. 

 

 

 

명교明敎

-본산은 광명정. 일곱 개의 산봉우리와 열세 곳의 절벽으로 막힌 천험의 요새라고 묘사된다. 문파의 신물은 성화령聖火令, 교주 전용의 무공인 건곤대나이乾坤大挪移가 존재한다.

마니교에서 발전한 비밀 종교조직. 의천도룡기의 명교에서 기반하며, 원래 대운광명교大雲光明敎, 마니교摩尼敎라 불리었다. 당나라 측천무후 시기에 전래되었다. 

모시는 신은 명존明尊이라 하며, 이는 곳 마니교의 교조인 마니를 가리킨다. 

명교라는 호칭은 대운광명교의 약어이며, 비밀교단이 된 후 모든 행사가 신비에 싸여 기괴한 모습을 보이자, 사람들이 마니교의 마摩를 마귀 마魔로 바꿔 부른 탓에 마교魔敎라 와전되어 불리게 되었다.

의천도룡기에서만 모습을 보이고, 그 이후에는 마교 등이 명교의 위치를 대체하였기에 대체로는 등장이 없는 편.

교주, 좌우광명사자, 사대호교법왕, 오산인 등의 간부 조직과 오행기, 천응기, 사문 등의 무력 조직이 존재한다. 

 

 

 

명왕明王

-불교에서 갈라져 나온 종파인 밀교에서 받드는 신격 가운데 하나. 정확하게는 보살의 화신이 이 명왕이라고 본다. 불교에 귀의하지 않는 이들을 제도하기 위해 대일여래가 모습을 바꾸어 나타난 것이 시초라고 한다.

밀교에서의 서열은 제석천帝釋天, 범천梵天, 화천火天, 풍천風天 등이 속한 삼십삼천三十三天으로 일컬어지는 천부天府와 같으며, 명왕부明王府라는 곳에 속해 있다.

즉, 부처와 보살의 바로 아래 서열. 넘버 2에 해당한다.

신들이 머무는 수미산須彌山을 수호하는 역할을 맡은 삼십삼천과는 달리 사바세계沙婆世界, 즉 인간계를 수호하는 역할을 한다.

분노존忿怒尊이라는 명칭이 있으며 그 이름답게 항상 화가 난 모습을 하고 있다. 이는 불법의 적을 굴복시키고, 번뇌를 무찌르며, 불법에 귀의하지 않은 자들을 제압하여 불법에 귀의시키는 일을 맡았기 때문이다.

오대명왕, 팔대명왕, 십대명왕 순으로 그 수가 왔다 갔다 한다.

가장 유명한 것은 대위덕大威德, 항삼세降三世, 군다리軍茶利, 부동不動, 금강야차명왕金剛夜叉明王의 오대존명왕五大尊明王.

팔대명왕은 대위덕, 항삼세, 군다리, 부동, 대륜大輪, 마두馬頭, 무능승無能勝, 보척명왕步擲明王. 

십대명왕은 대위덕, 항삼세, 군다리, 부동, 대륜, 마두, 무능승, 보척, 대원수大元帥, 애염명왕愛染明王을 가리킨다. 

불모대공작명왕佛母大孔雀明王은 공작명왕이라 불리기도 한다.

 

 

 

모矛

-창의 한 종류.

나무 손잡이에 뾰족하고 폭이 넓은 창날을 부착한 창. 서양의 파이크처럼 사용하는 무기이기 때문에 보병이 대 기병전에 사용했다.

무림에서 병장기로서 등장하는 경우는 아예 없다. 과와 마찬가지.

다만 유명한 무기로는 장비가 사용했다는 사모蛇矛가 있다. 물결치는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런 식으로 날을 만든 이유는 찔렀다가 뺄 때, 상대에게 깊고 회복하기 힘든 상처를 주기 위함이다.

 

 

 

모산파茅山派

-구파에는 들지 못하나 주문과 법술, 진법 쪽으로 조예가 깊은 것으로 묘사되는 문파. 다만 그 이외에는 큰 특징이 없기에 대부분의 무협소설에서 버림받다시피 한 비운의 문파.

주요 문파에도 꼽히지 못하고, 비중도 없어서 사실상 현대 무협에서는 거의 존재 자체가 잊혀진 수준이다. 애초에 무공으로 유명하지도 않고, 주문과 법술, 지법 쪽으로 조예가 깊다고 묘사된 것부터가 글러먹었다. 묵념.

 

 

 

모용세가慕容世家 

-요녕성에 기반을 두고 있다지만 근거지는 정해진 곳이 없어 작품마다 제각각인 경우가 많다. 남궁세가가 강남의 지주라면, 모용세가는 강북의 지주라고 할 만한 위치에 있다.

 가문의 비전무공 역시 딱히 정해진 것이 없어 대부분의 작품이 무공을 창작해서 사용하고 있을 정도고, 때로는 아예 출현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름만 언급되고 끝나는 경우도 나오는 편.

중국 쪽에서는 오랑캐에 해당하는 선비족이기 때문에 무림 전복 또는 무림제패를 꿈꾸는 사파로 나오거나, 군림천하처럼 아예 구파일방마저도 눈 아래로 보는 천하제일세가로 묘사되거나 하는 등 이미지는 극과 극을 달린다.

 

 

 

목내이木乃伊

-미이라. 보통 무협지에서 목내이가 출현하는 이유는 한 가지, 색공을 익힌 미친놈에게 기혈을 다 빨아먹혀서 삐쩍 말라비틀어지는 경우뿐이다. 아니면 사람의 피를 마시는 미친 무공을 익힌 놈이 다 빨아먹는 경우거나. 말 그대로 산송장인데 안에 든 게 없어 바싹 말라, 조금만 건드려도 부스러질 정도로 상태가 매우 좋지 않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어딘가에 갇혀서 죽은 사람의 시체가 바싹 말라붙은 경우 말곤 없다.

 

 

 

몰아취검沒我取劍

-검술의 경지 가운데 하나.

검을 휘두르다가 자신도 모르게 검무에 빠져들어 한없이 검을 휘두르게 되는 것이 보통. 자기 자신마저 잊고 검에 몰입할 정도로 검에 흠뻑 빠져들었다는 뜻이며, 신검합일의 초기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본다.

 

 

 

 

몽혼약曚昏藥

-미혼산처럼 사람의 정신을 쏙 빼놓는 약물의 한 가지. 이게 든 음식이나 물을 먹거나 마시면 약효가 순식간에 퍼져 정신을 잃는다. 먹은 양에 따라 깨어나는 시간이 달라진다. 기본적인 지속시간은 1시간에서 2시간 사이. 보통 이런 식으로 제압당한 경우 점혈이 걸리는 경우도 많다.

 

 

 

묘錨

-쇠닻. 배를 정박시키는데 사용하는 물건. 기문병기로, 사용자는 극히 드물거나 거의 없다. LOL의 노틸러스가 사용하는 것처럼 크고 아름다운 닻 형태를 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으로 힘으로 찍어 눌러서 파괴하는 것이 주된 용법.

다만 워낙 무거운 물건이다 보니 사용하려면 어마어마하게 체구가 크고 힘이 좋아야 한다는 것이 선결조건이 된다.

 

 

 

묘강苗疆

-자세한 지역적 위치는 불명. 작품에 따라 다르기도 하며, 묘강 지역 안에 십만대산이 있다고 설정하는 소설도 있을 만큼 위치가 제대로 정해져 있지 않은 지역. 보통은 남만 지역의 최남단 지방인 것으로 되어 있다.

독물, 독충이 우글거리는 남만 지방에 속해 있고, 이곳에는 오독교라던가 만독곡 같은 문파가 자리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이곳에 사는 토착민은 묘족이라고 한다.

 

 

 

묘족苗族

-베트남, 라오스, 태국, 중국 남부에 걸쳐 거주하는 소수민족.

무협에서 묘사할 때는 보통 묘강 일대에 거주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가무잡잡한 피부와 건강미 넘치는 신체를 가진 것으로 나오며, 독공에 능하고 독물을 다루는 데 매우 능숙하다. 남만과 동일시 되는 경우도 종종 있는 듯.

 

 

 

무주공산無主空山

-주인 없이 텅 빈 산. 상대가 집을 비우고 모조리 몰려나가 아무것도 없는 본거지에 유유히 입성할 때 가끔 사용하는 표현이다.

 

 

 

미염술美艶術, 미염공美艶功

-섭혼술, 미혼술 계열의 무공. 정확하게는 그보다도 좀 더 상위 개념인 색공色功에 속해 있다고 본다. 정확하게는 자신의 미모를 이용해서 사람을 홀리는 기술이며, 색공의 하위 개념에 속해 있어 옷을 벗어던진다거나 하는 식으로 에로틱함을 연출하며 주인공이나 엑스트라들을 홀리는 무공으로 나온다.

한 번 보기 시작하면 정심正心이 강하지 않은 한 반드시 빨려들어 색욕의 노예가 되도록 조종한다. 섭혼술, 미혼술과 마찬가지로 사람의 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무공. 

 

 

 

 

미약媚藥

-음약淫藥, 춘약春藥이라고도 한다. 이게 든 음식을 먹거나, 이 약을 복용당한 경우 양기나 음기가 폭주해서 정사를 치르지 않으면 혈맥이 터져 죽는다는 식으로 묘사된다. 구무협에서는 히로인이 이것에 당해 생사가 위험해지는 경우가 많아, 결국 정사를 치르고 주인공과 부부로 맺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미타성수彌陀聖水

-공청석유가 천지간의 정기가 어린 동굴에서 만들어진 것이라면, 미타성수는 극음지의 빙굴氷窟 내에서 발견되는 음陰을 대표하는 영약이다. 만년지극혈보가 양을 대표하고 극고온과 압력에 의해 지정地精이 녹아 만들어진 것이라면, 미타성수는 공청석유처럼 빙굴 천장에 달린 종유석 끝에 맺힌다.

생긴 것은 창백한 빛을 띄는 우유빛 액체이며 음기를 대표하는 영약답게 아무런 조치 없이 그냥 먹었다가는 온몸이 얼어서 죽는다. 양강진기를 익힌 이들에게 만년지극혈보가 보약과 같은 것처럼, 빙공 같은 한음기공을 익힌 자들에게는 값을 매기기 어려운 보물이다. 

만년지극혈보처럼 환골탈태와 임독양맥, 세맥의 타통 같은 부가 효과를 지니고 있다.

 

 

 

미혼약迷魂藥, 미혼산迷魂散 

-정신을 혼미하게 만드는 약. 이것이 들어간 음식을 먹으면 정신이 까마득해지다가 정신을 잃게 된다. 이것을 장기간에 걸쳐 복용하게 될 경우, 이성을 잃고 이것을 먹인 자가 특이한 대법을 베풀었다면 그것의 노예가 되는 등, 사람을 노예로 만드는 용도로 쓰인다.

 

 

미혼술迷魂術

-보통 섭심술攝心術, 섭혼술攝魂術과 동렬에 놓이는 경우가 많다. 사람을 홀리는 사공이자 마공이며, 보통 악역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다. 보통은 어둠 속에서 암약하고 있는 쪽의 악역들이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것에 당하면 눈이 풀리고 백치가 된 것처럼 미혼술의 시전자가 명령하는대로 따르는 경우가 많다.

 

 

미립타혈微粒打血

-쌀알 같이 작은 물체를 던져 상대를 상하게 하는 암기술, 또는 경지. 말 그대로 손에 잡히는 대부분의 물건을 암기로 쓸 수 있는 경지이며 심할 때는 젓가락을 던져 상대의 몸에 구멍을 낼 정도다. 적엽비화, 투골송침 같은 암기술과 같은 경지로 논해진다.

 

 

 

밀교密敎

-불문과는 다르게 표현되지만, 사실상 밀교와 불교의 차이점은 본존불로 모시는 여래가 대일여래大日如來로 다르다. 정확하게는 불교 속에 힌두교의 근간이 된 브라만교, 즉 바라문교婆羅門敎의 신들이 편입되면서 주술과 법문, 비의秘儀, 제사 등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로 변질이 일어나면서 사실상 무협지 내에서는 사교邪敎의 한 종파로 등장한다.

다만 밀종密宗으로 등장하며 사교가 아닌 종파로 나올 경우에는 나무비로자나불이라는 불호를 사용한다. 보통 불호가 나무아미타불인 것에 비하면 독특한 경우. 가끔은 서장에서 온 포달랍궁 출신의 라마승이 대일여래를 모시는 서원을 세웠다고 하면 같은 불호를 쓴다. 

 

 

 

밀마密摩, 암기暗記

-암호. 세력별로 다종다양하게 사용하지만 그 호칭은 밀마나 암기로 통일된다. 그냥 이해하기 쉽게 암호라고 쓰면 되니까 이런 게 있구나, 하고 넘겨라.

 

 

 

밀적금강密迹金剛

-금강저를 손에 들고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야차신夜叉神의 우두머리.

불타佛佗의 비밀스런 사적을 모두 듣겠다는 서원을 세웠다고 하여 밀적금강이라 불린다.

 

 

면도緬刀, 지도紙刀

-종잇장처럼 얇은 칼날을 가진 도刀. 중병기인 도 중에서도 가벼운 축에 들며, 도 계열 무기의 연검軟劍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얇고 날카로운 칼날을 갖고 있다. 

잘 휘어지고 면도날처럼 얇은 칼날을 갖고 있어 낭창낭창하게 휘어지는 성질을 가져, 어지간한 수련으로는 자신을 해치는 칼이 될 뿐이라 사용자는 극히 소수다. 구무협 시대에나 잠깐 등장하던 무기로, 신무협, 현대무협에 이른 현재로서는 거의 사장된 무기 가운데 하나.

 

 

면사面紗

-얼굴을 가리는 하늘하늘한 천. 보통 미모봉인구, 또는 미모광고구.

이걸 쓰고 나타나는 여성 캐릭터는 엄청난 미인인 경우가 많다. 보통은 이거 쓰고 맨얼굴을 안 보여주려고 하다가 면사 사이로 살짝 드러내거나, 면사가 강제로 뜯어지거나 잘려나가는 등의 이벤트를 통해 엄청난 미모를 드러내는 식으로 이용된다.

 

 

 

무경칠서武經七書

-손자병법, 오자병법, 육도, 삼략, 울료자, 사마법, 이위공문대의 일곱 병서를 총칭하는 말.

 

 

무력답수無力踏水

-상승 경공의 한 가지. 등평도수가 내공으로 수면을 박차고 날아가는 경공이라면, 이쪽은 물 위를 걷거나 자유롭게 움직이는 등 물 위에서의 움직임에 제약이 없어지는 단계다. 수상비水上飛라고 지칭하는 건 보통 이 경지.

 

 

 

무림세가武林世家

-구파일방과는 다르게 무공을 통해 일가를 이룬 씨족 기반의 무림세력을 통칭한다.일종의 집성촌이 발전한 형태라고 볼 수 있고, 한 지역을 통치하는 패자로 이름을 알리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경우가 안휘성 천주산에 둥지를 튼 남궁세가.

유명한 무림세가로는 하북팽가, 제갈세가, 남궁세가, 모용세가, 사천당가의 오대세가가 있고 산동악가, 광동진가, 하남진가 같이 한 지방이나 성城을 대표하는 이름을 가진 세가도 존재한다.

 

 

 

무림세가의 조직

-규모가 큰 세가는 당堂, 전殿, 각閣, 루樓, 원院, 대隊 같은 부속 조직을 거느리며, 세력이 클수록 이런 조직의 숫자는 엄청나게 불어난다. 

부속 조직은 무력조직과 그 외 조직으로 구분한다.

무력 조직은 조組, 대隊, 단團, 당黨, 그리고 승격되면 전殿으로 올라가는 게 일반적.

그 외의 부속 조직은 당堂, 각閣, 루樓라는 호칭을 사용하며 역시 승격하면 전殿으로 지위가 올라간다. 보통 세가에 속한 부속 조직은 루樓라는 호칭은 사용하지 않으며, 당堂과 각閣이 주로 쓰인다.

이와는 별개로 무림세가는 내외의 양당兩堂으로 구분하는데, 내당은 가문의 직계 혈족들만이 거주하는 구역이고 외당은 방계 및 가문의 호가무사, 잡일꾼 등이 거주하는 구역을 의미한다. 

 

 

 

무림세가의 구조

-무림세가는 가주에게 대부분의 권력이 집중되는 구조이다.

그렇기에 태상가주와 장로원이 가주의 전횡 및 폭주를 막기 위해서 존재하며 가주를 견제하는 역할을 맡는다.

가주의 아래로는 가문의 주요조직의 우두머리들이 존재하고, 가주의 명만을 듣고 이행하는 총관, 대총관이 있다. 내당과 외당만을 따로 관리하는 내외총관을 따로 두기도 한다. 가문의 대소사를 관장하기 때문에 가장 스트레스에 시달리기 쉬운 자리다.

소가주는 총관, 대총관과 직위가 같다. 다만 권한은 다소 낮다. 아직 정식 가주가 아니기 때문. 다만 권한은 낮으나 대우는 가문 내 주요 조직의 우두머리들과 비슷하게 받는다. 항상 가문 내의 회의에 참석할 권한이 있다.

내당주와 외당주는 가문의 혈족이 거주하는 내당과 가문의 호가무사들이 머무르는 외당을 관장한다. 내당주는 보통 세가의 안주인, 즉 정실부인이 맡는다.

총당주는 이 두 당주로부터 보고를 받으며, 내외당의 업무를 맡아본다.(총관이 이 업무를 겸한다) 주요 업무로는 찾아오는 손님을 맞아 그들의 방문을 알리는 것, 내외당의 무사들이 다툼을 일으키면 그것을 중재하고 어르는 일 등이 있다.

그 외에는 직계 혈족이 가문 내의 회의에 참석하며, 특수한 경우 방계의 경우에도 참석이 허락된다. 다만 소가주와 달리 발언권은 거의 없는 편. 정확하게는 회의를 좌우할 정도의 권력을 가진 조직의 수장이 아닌 경우에는 회의의 향방을 결정할 정도로 큰 화두를 던지는 경우는 드물다.

세가의 조직 구조도는 대략 아래와 같다.

 

       태상가주

          │─ 원로원元老院, 장로원長老院

         가주

          │─ 가문 내 주요 조직의 우두머리(+소가주)

 총관, 대총관(+외총관, 내총관) 

          │─ 소가주

 내당주, 외당주, 총당주

          │

가문과 교류하는 호족, 상인 등등

          │

 가문의 일원, 직계&방계 포함.

 

 

 

 

무림 세력, 문파명의 특징

-무림에는 다종다양한 문파와 무림 세력이 존재한다. 

파, 당, 단, 문, 회, 방, 교, 성, 궁, 보, 세가 등등 다종다양한 특색을 가진 세력이 존재하고, 그에 대한 이야기를 일일이 항목으로 작성할 수 없으니 통틀어서 한꺼번에 정리하겠다.

 

 

궁宮

-궁궐 할때의 그 궁 자를 쓴다. 집 궁宮 자.

보통 무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거대 세력으로 묘사되는 일이 태반이다. 보통은 교처럼 엄청나게 거대한 세력으로 묘사되기 마련이며, 보통 근거지는 산중턱이나 끝자락에 있다. 세력이 엄청나게 크다고 묘사되는 일이 다반사이기 때문에 수입원 역시 다른 문파와 그다지 다르지 않다.

다만 보堡처럼 자급자족이 가능하다고 설정할 수도 있다. 정파든 마도든 사파든 가리지 않고 사용하는 세력명. 마도 쪽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마魔자가 들어가는 일이 많다. 

성과 마찬가지로 커다란 세력 가운데 하나.

 

 

교敎

-종교. 파派보다는 좀 더 광신적인 색채가 강하며, 이 명칭을 사용하는 조직은 거의 대부분 마교, 혈교, 배화교, 명교, 백련교 등등 마도 쪽으로 묘사되는 문파들이 대부분.

마교, 혈교, 명교, 배화교 등의 마도세력이 사용하는 세력명이며. 보통 사교邪敎라고 아예 못 박듯이 표현한다. 정파 쪽에서 교라는 세력명을 사용하는 단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대부분은 이런 세력이 뿌리내린 지역은 같은 교리에 물들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그런 자들로부터 전폭적인 지원을 받기 때문에 자금난에 시달리거나 하는 일은 없다. 

가장 호화롭게 사치를 부릴 수 있는 문파 유형 가운데 하나. 

 

 

 

도島

-섬 도島 자를 쓴다. 문파명보다는 지명으로 더 자주 등장하는 편.

설봉의 소설 마야에서 천멸도라는 이름으로 문둥병에 걸린 환자들이 사는 섬이 등장하는데, 천하에서 굉장히 이름 높은 살수집단이다. 그런데 문둥병 환자라는 게 아이러니.

이렇듯이 일반적으로 무림에서 배척받는 특성을 가진 이들이 모이는 지역으로서의 위치, 그리고 그런 버려진 자들이 모여드는 무림 세력이라는 점에서 굉장히 강하게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마야의 천멸도처럼.

물론 자주 등장하는 세력명은 아니다.

 

 

동洞

-골짜기 동洞 자를 쓴다. 문파명보다는 보통 수련동, 또는 삼국지의 은갱동처럼 특정한 장소나 지형을 가리키는 쪽으로 쓴다.

매우 마이너한 세력명 중 하나이며, 정파보다는 신비세력, 또는 사파나 마교 쪽의 전설적인 문파의 이름으로 간혹 등장한다. 물론 비중은 없고, 대부분 멸문했거나 망한지 오래인 문파일 때가 많다. 취급이 매우 박하다. 엄청나게.

이 세력의 주인은 동주洞主라고 불린다. 

 

 

 

 

당黨

-무리 당黨자를 쓴다. 말 그대로 무리. 다만 문파로서 등장하는 경우는 드문 편. 우각 소설의 북검전기에서 철기당이란 조직이 등장하기는 한다.

소규모의 무리를 이룬 문파를 뜻하며 보통은 해결사 조직처럼 그려진다. 문파의 규모가 작은 편이고, 근거지를 정해두지 않고 이동하며 먹고사는 듯한 이미지가 강하다.

 

 

 

 

단團

-둥글 단, 덩어리 단團 자를 쓴다. 당보다 조금 더 규모가 큰 조직을 의미한다. 보통은 문門에 밀려서 거의 등장하지 않는 개념이다. 당보다 규모가 조금 더 커졌기 때문에 근거지를 잡고 행동한다. 말하자면 특정한 목적을 갖고 조직된 무력 조직이란 분위기가 크다.

문파로 등장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사실상 없다고 봐도 좋을 정도.

보통은 무림맹 산하의 무력조직의 명칭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무림 문파의 이름으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 나는 이런 이름을 쓸 거야, 하고 쓰지 마라. 클리셰가 괜히 클리셰가 아니다.

 

 

림林

-잘 안 쓰이는 세력명 가운데 하나. 수풀 림林 자를 쓴다.

정파나 마도 쪽에서는 잘 안 쓰고, 사파 쪽에서 자주 사용하는 세력명. 사사천림死邪天林 , 환야림幻夜林 같은 식으로 사용하고, 도박장을 뜻하는 쾌활림快闊林이라는 단어에도 쓰인다. 

딱히 큰 특징은 없다. 사파 쪽에서나 등장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 보통은 이름만 언급되지, 별 비중도 없는 경우가 많다.

 

 

련聯

-사파가 가장 자주 쓴다. 특히 사도련, 사마련, 천사련 등등의 명칭에 쓴다.

무림맹이 정파를 상징하는 거대조직이라면, 사도련은 사파의 무림맹 같은 거대 조직이다. 그만큼 다수의 문파, 방회가 모여서 만들어지는 거대한 연맹체 성격을 띈다. 그렇지만 무림맹마냥 지랄판이 나진 않는다.

무림맹과는 달리 권력이 련주와 상급 간부들에게 집중되어 있기 때문. 보통 련주와 부련주가 자주 등장하고 사도련 총사 정도까지가 어느 정도 비중이 있는 편.

 

 

 

막幕

-보통 정규 문파에서 사용하지는 않고, 사용한다면 보통은 살수문파다. 살막이 대표적. 하지만 살막 이외의 문파가 사용하는 일은 그리 많지 않아, 사실상 살막 전용의 세력명이라고 여겨질 정도로 살막이 이 호칭을 독점하고 있다.

 

 

 

문門 

-문파할 때 문門자가 맞다.

보통 대규모 문파, 구파일방에 들어갈 정도로 세력이 큰 문파보다는 중소 규모의 작은 문파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구파의 속가제자가 문파를 만들거나 하면 그 문파에서 인력을 소규모 파견해서 뒤를 봐주는 경우도 많다. 

이런 특징 상 문門은 엄청나게 다종다양한 특색을 가지게 되며, 흑도문파든 백도문파든 간에 그 일대에서 명성을 좀 떨치게 되면 소문주쯤 되는 놈들이 사고를 치고 다니는 특징이 있다.

문파의 수입원은 문파가 자리 잡은 지역에 사업체를 내거나, 역사가 깊은 그 지역의 가게 등등을 보호해주며 보호비를 걷는 식으로 충당한다.

 

 

 

맹盟

-거대 세력의 호칭 중 하나. 보통은 정파 무림맹을 가리키는 세력명 가운데 하나로 쓰인다. 

사파 무림맹이 등장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 맹이라고 하면 구파일방이 각자의 세력을 일부씩 차출해서 만든 무림 전체의 평화와 안녕을 위해 조직한 거대 조직, 말하자면 국제 경찰 같은 위치에 있는 무림맹 정도가 메이저하고, 가끔은 그런 무림맹을 해체시키고 다른 맹이 출범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런 전개는 현대무협이나 한국무협에서는 꽤 드문 편이다.

보통은 정파 무림맹의 전용 세력명처럼 사용된다.

 

 

 

방幇 

-개방丐幇할 때 그 방자다. 패거리 방幇 자를 쓴다.

말 그대로 패거리. 특정한 이익이나 목표를 위해서 뭉친 조직을 뜻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거지들의 공동체인 개방. 혈혈단신에 갈 곳도 없는 거지들이 서로 뭉쳐 가족처럼 지내고, 친한 거지가 죽으면 우르르 달려가 복수를 하는 등의 행동을 한다. 

특정한 특색을 공유하는 자들이 모인 중소, 또는 대규모의 무력집단. 사파의 방幇도 이 개념에 속한다.

 

 

 

보堡

-작은 성을 지칭하는 단어다. 작은 성 보堡 자를 쓴다.

현대무협에서는 좀 찾아보기 힘든 단어. 그나마 찾아보려면 군림천하까지 가야 할 정도.

사전적 의미는 군사기지, 전초기지 같은 느낌. 무협에서는 한 곳에 터를 잡고 그곳을 기반으로 위세를 부리는 집단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방幇과의 차이점은 방은 인적 공동체란 점이고, 이쪽은 공간적 공동체라는 점. 자체적으로 하나의 지역, 촌락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자급자족이 가능한 몇 안 되는 무림세력이다.

 

 

벌閥

-제일 안 쓰이는 세력명 가운데 하나. 군벌을 의미하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다만, 이게 사용된 작품은 고故 서효원 작가의 작품 중에서도 딱 하나만 존재할 정도기 때문에 대충 이런 게 있다 수준. 메이저하지도 않고, 마이너 중에서도 극 마이너다. 정 써먹을 세력명이 없다면 선택지가 될 순 있겠다.

 

 

 

부府

-잘 안 쓰이는 세력명 가운데 하나. 보통 무림 문파의 세력명이라고 하기보다는 관청의 부속 기관 같은 식으로 사용되거나, 마도나 사파 쪽의 특이한 문파 정도나 사용하는 세력명으로 나온다. 독황부毒皇府라거나.

무림맹이나 사도련의 중요 조직에도 쓰이는 명칭이기 때문에 문파보다는 조직으로서의 부府의 위상이 좀더 높은 편.

 

 

 

성城

-궁처럼 규모가 큰 세력이 사용하는 세력명. 다만 궁에 비하면 마이너하며, 궁과는 대립하는 세력이라는 식으로 설정되기도 한다. 마도 쪽에서 종종 사용하는 세력명. 다만 지방을 가리키는 성城의 이름과도 혼용되기 때문에, 무림 세력으로서의 성의 인지도는 높지 않은 편.

 

 

 

 

세가世家

-혈족 공동체. 씨족 기반의 무림세력.

그 특성상 가문의 모든 혈족이 전멸해버리면 가문 자체가 역사에서 사라지는 약점이 있다. 그래서 무림세가는 결전에 나서더라도 반드시 아녀자와 어린아이들, 특히 후계자는 안전한 후방으로 빼는 경우가 많으며 강력한 무공을 지닌 세가의 맥을 끊어버리기 위해 후방을 기습해 후계자들을 모조리 죽여버리는 식으로 대응하는 경우도 많다. 

무림맹처럼 무림세가들이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 세력명.

 

 

장莊

-꽤 메이저한 세력명. 보통은 고관대작이나 황실이 소유하고 관리하는 넓은 토지, 그리고 별장이라는 두 가지 의미 중 무협에서는 후자에 무게를 더 둔다.

돈 많은 부자가 사서 경비를 두고 부리는 것을 작은 무력 조직처럼 묘사한 것이 세력명의 시초. 물론 실제 의미는 그냥 별장에 지나지 않는다.

○○산장, ○○장 같은 세력명으로 등장하며, 후계자는 보통 소장주라고 한다.

 

 

전殿

-큰 집, 궁궐 전殿 자를 쓴다. 전각殿閣할 때의 전 자다.

보통은 무림세력의 휘하에 있는 조직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지만, 세력명으로도 드물지 않게 등장한다. 메이저와 마이너 사이에 있다.

구무협 시대에는 0000전 같은 식으로 주인공의 적으로 설정되어, 끝까지 우려먹히다가 망하고 뒤지는 역할을 맡곤 했다.

정파보단 사파, 마교 쪽에서 등장하는 것이 대부분. 아니면 대부분은 무림 세력의 휘하 조직을 가리키는 용어로 쓰인다.

이 세력의 주인은 전주殿主로 불린다.

 

 

 

파派 

-구파일방할 때 그 파派자다.

보통은 종파, 즉 종교적인 색채가 강하다. 구파일방을 구성하는 구성원 대부분이 도교적인 색채를 강하게 띄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청성, 종남, 화산, 곤륜, 무당 따위가 그렇다. 도교 문파만 우글거리는 수준. 불교쪽은 아미, 소림이 끝이고 그나마 이런 종교적 색채가 덜한 해남파(남해검문)는 한국 무협에서는 구파에 잘 끼워주질 않는다.

 즉, 파派란 도교나 불교 등의 종교적 계통을 갖고, 거기에 맞는 자신들만의 무공과 개성, 문화 등을 보존하는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수입을 근처에 존재하는 촌락, 마을, 시진 등에게서 보호비나 공양을 받거나, 직접 관계자를 내세워 전장이나 사업체를 운영하는 식으로 충당한다.

 이 세력의 대표는 장문인, 장교진인(무당) 따위로 불리며, 속한 이들은 우사羽士, 도장道長, 진인眞人, 도인道人 등 다양한 호칭으로 불린다. 

 

 

 

회會

-○○회할 때 그 회會자다. 회동會同에도 쓰인다.

무리를 지어 모인 무리를 가리키는 단어다. 상인들의 자기방어조직에서 유래했고, 방과 거의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다. 단순 친목회부터 조폭 삼합회 등 폭넓게 포괄하는 개념. 종파나 세력 출신에 관계없이 모인 조직을 가리키기도 한다.

수입원이 불분명한 편. 학관 같은 배경이 등장하면 학관에서 편성한 예산, 또는 다른 문파들처럼 지역의 상인들로부터 보호비를 받거나 하는 등 기존 문파와 같은 방식으로 공생하는 경우가 많다.

 

 

 

무림맹武臨盟

-무림맹이라고 하면 보통 정파 쪽을 가리킨다. 사파 무림맹도 있긴 한데, 거긴 보통 사파연합이라고 해서 사도련, 사마련 이런 이름을 자주 쓴다. 애초에 메이저한 문파도 없는 사파에 뭘 바래.

보통 각 문파의 선임 장로급, 또는 장로급 인사들이 제자들 끌고 파견나와서 맨날 한숨 쉬고 정치질하고 쌈박질하다가 무림맹주가 소리 지르면 입 다물고 말 듣는 거 말곤 비중 없는 집단이다. 가끔 무림맹주 놈이 흑막일 때도 있다.

보통은 더러운 위선자 놈들의 집단일 경우가 많다. 정치병 말기 환자들 수용소라고 보면 편하다.

 

 

 

무림공적武林公敵

-말 그대로 강호 전체의 공통적인 적. 보통 살인에 미친 새끼, 익히면 안 되는 마공 익혀서 미쳐서 사람들 죽이고 다닌 새끼, 마교 출신인 새끼, 아무튼 무슨 무슨 죄 저지른 놈을 정파나 사파 무림맹에서 점찍고 죽이려고 할 때 나오는 단어.

일단 찍히면 주인공 빼곤 살아나가질 못한다. 물론 존나 짱센 마교 십대고수라던가, 사파 십대고수, 전대의 미친 새끼 같은 놈들은 잘 빠져나가는 편이다.

 

 

 

무림 세력의 직책

-무림세력에는 각종 다양한 직책이 존재한다.

군사, 총사, 장로, 단주, 영주, 부주, 총군사, 련주, 맹주, 가주, 향주 등등. 다종다양한 무림의 직책, 그리고 호칭에 대해서 정리한다.

 

 

 

가주家主

-무림세가의 주인. 더 큰 설명이 필요한가?

무림세가에서 가장 강력한 권력을 갖는 존재이며, 그런 직책인 탓에 항상 후계구도가 불분명하게 정해지면 가문 내의 암투 및 경쟁의 원인이 되는 자리이기도 하다. 정작 가주 자리에 오르면 장로원 견제, 가문 내 분쟁 해결 등 할 일이 산더미인 게 함정. 괜히 뒷방으로 물러난 태상가주가 더 센 게 아니다.

 

 

 

감찰監察

-무림맹, 마교, 그리고 규모가 큰 세가나 문파에 존재하는 직책 가운데 하나. 보통은 감찰부라는 기관에 소속되어, 세력 내의 인사들을 살피고 관찰하는 것이 주된 업무. 즉 세력 내부를 감시하는 것이 기본적인 업무이다.

세력 내의 첩자(=세작細作, 간자間者) 색출, 직책에 걸맞지 않은 일을 행하는 자, 월권, 직권 남용 등 세력 내의 모든 인사를 살피고 관찰하는 직책.

인사부에 가까운 권한을 가지고 있어서 의외로 끗발이 높다. 조직 내의 경비를 담당하는 순찰巡察과는 맡은 영역이 다르나 거의 동급으로 취급한다.

상위 직책으로는 감찰부주, 그 아래의 총감찰이 있으며 감찰은 그 다음. 

감찰부주와 총감찰은 보통 무림맹이나 마교 등, 거대한 세력만 두고 있다.

 

 

 

군사軍師

-무림맹, 세가, 온갖 무림세력에서 머리 쓰는 양반들이 맡는 직책. 참모라는 호칭은 거의 안 나오고도 머리 쓰는 양반의 호칭과 직책은 이걸로 고정이다. 클리셰 수준으로 굳어진 명칭.

 

 

 

궁주宮主

-자주 나오는 궁주는 북해빙궁주. 궁宮이란 세력명을 쓰는 무림세력의 수장이자, 가장 무공이 강력한 존재로 묘사되는 것이 대부분.

휘하에 부궁주, 대총관, 대호법 등등 수많은 강자를 거느리며 문파의 운명 자체를 좌우하는 매우 무거운 직책.

 

 

 

교주敎主

-마교, 혈교, 명교, 배화교의 주인. 보통은 마교와 혈교의 주인을 뜻하는 직책.

마교의 교주와 혈교의 교주 모두 공통적으로 교 전체를 좌지우지할 정도로 강력한 권력을 지니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마교는 내부에 악재가 겹쳐 있거나 교주에게 복종하지 않는 고수들이 다수 존재하는 상황일 때가 많은 반면 혈교는 권력이 집중됨에도 혈교주에게 거역하는 자들이 없다는 점에서 내부 상황은 극과 극을 달린다.

부교주, 대호법, 대장로 외에도 기라성 같은 고수들을 거느리는 직책.

 

 

 

각주閣主

-각閣을 관리하는 간부. 중하급 관리직에 해당하며, 보통은 아래에 여러 개의 향을 거느린다. 당堂보다 약간 낮거나 같은 위치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으며, 보통은 개와 원숭이 사이. 보통은 당堂 쪽이 규모가 좀 더 크다. 

이쪽은 특정한 업무만을 전담하는 개별, 독립의 특수한 조직으로 자주 등장한다. 가장 비중 있게 등장하는 각주는 소림의 장경각주, 무림맹의 장서고를 관리하는 장서각주, 정보 및 첩보 등을 전담하는 ○○각주 등등이 있다.

 

 

 

당주堂主

-당堂을 관리하는 간부. 중하급 관리직에 해당한다. 향주香主라 해서 하급 간부들을 거느린다. 각閣과 거의 동급에 놓이는 위치라 서로 물고 뜯는 등 신경전을 벌이는 모습도 간혹 연출된다. 

전殿의 하부 조직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독립 조직에 가까운 각과는 동급에 가까운 대우를 받지만 무림맹의 핵심 조직인 경우도 은근히 많다.

 

 

 

당주黨主

-최상급 무력단체의 대장. 청룡당, 백호당 같은 식으로 작명한 단체의 수장.

당黨이란 무력조직을 이끄는 수장이기 때문에 단주, 대주, 조장 등 여러 명의 하급 간부를 거느린다. 최상급 무력조직의 수장인 만큼 전투력은 보장되지만, 어째서인지 직접 부대를 이끌고 전장에 나서는 일은 잘 나오지 않는다. 

 

 

 

단주團主

-상급 무력단체의 대장. 당주黨主의 휘하에 들어가는 상급 간부 가운데 하나.

밑에 부단주, 대주, 조장 등을 둔다. 대주보다 상급에 놓이지만, 이 직책에 있는 놈 치고 제정신 박힌 놈이 드물거나 시비 터는 데 도가 튼 놈만 잔뜩 있는 등 뭔가 취급이 묘하게 이상하다.

 

 

 

대주隊主

-중하급 무력단체의 대장. 또는 독립된 전투부대의 대장. 그럴 경우에는 지위가 나름대로 높아서 맹주로부터 직접 명령을 받거나, 독단으로 지시를 무시하고 움직이는 권한이 있을 정도로 대접받는다. 

사실상 무림맹 전투부대의 주축을 맡으며, 무림맹 전투부대의 근간. 무림맹뿐만 아니라 사파와 마교 쪽에서도 주력군으로 등장하는 빈도가 높은 직책.

 

 

대사大師

-소림뿐만 아니라 무협 소설에서 등장하는 승려들에 대한 존칭. 덕이 높은 고승을 부르는 선사禪師와 함께 혼용되나, 대사 쪽이 더 자주 사용된다.

 

 

 

도장道長

-도가의 도사들에 대한 존칭.

구무협 시절에는 도인道人, 우사羽士, 진인眞人, 상인上人 등의 호칭과 혼용되었으나 지금은 도장 정도밖에 사용되지 않는다.

 

 

 

련주聯主

-보통은 사도련, 천사련 등 사파연합세력의 수장을 가리킨다. 사파쪽은 맹盟보다 련聯이라는 단어를 더 자주 사용하기 때문.

말 그대로 사도련의 절대자를 뜻하며, 그 권력은 절대권력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 종사宗師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보통은 련주라는 명칭을 더 자주 쓴다. 밑에는 부련주, 그리고 자신이 뒷짐지고 노는 동안 련을 관리할 총사, 군사 등을 둔다.

 

 

 

령주令主

-명령을 전달하는 위치, 또는 령令이라는 특수한 조직을 관리하는 관리직. 보통 전자보다는 후자의 직책인 경우가 많고, 나름 상급 관리직에 속하는지 젊은 령주가 성질을 부려도 늙은 간부가 입하나 제대로 벙긋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곤 한다.

 

 

루주樓主

-기루, 다루, 혹은 무림세력의 세력명으로도 사용하는 루樓의 주인을 뜻하는 직책.

보통은 기루와 다루의 주인을 가리키지만, 후자의 루주인 경우는 대부분이 살수 쪽 직업을 가진 경우가 많다. 귀루, 사루, 사혼루 등의 명칭을 사용하며 대놓고 살수라고 티를 내지는 않지만 주인공에게 발각되는 것도 빠른 편.

그나마 살막주보다는 그럭저럭 나은 형편이다. 매번 몰살당하는 살막보단 살아남을 확률이 높다.

 

 

맹주盟主

-보통 정파무림맹의 수장을 가리키는 직책.

매우 강하거나, 매우 무능하거나, 매우 유능하거나, 혹은 흑막이거나 흑막에게 조종당하는 등 온갖 안 좋은 취급은 거의 다 당하던가 주인공의 강력한 조력자 역할을 하던가, 중간이 없는 직책.

높으신 분 치곤 장문인보다 무력이 강한 양반들이 많다. 맨날 정치싸움하는 장로들에게 질려서 고개를 절레절레 흔드는 게 이 양반들의 주된 업무 가운데 하나.

 

 

 

막주幕主

-보통 막주라고 하면 살막주를 가리킨다. 막이라는 세력명 자체가 살막의 독문칭호 같은 느낌이기 때문에, 막주라는 명칭 역시 살막주만이 사용하는 명칭이 된 것.

살막의 모든 것을 쥐고 있는 절대자인 경우가 많고, 이 인간이 의뢰 한번 잘못 받았다가 주인공에게 개털려서 살막도 풍비박산 나는 등 좋은 꼴을 본 적이 없는 그런 직책.

 

 

 

방장대사方丈大師

-소림사 장문인만의 호칭. 소림사의 주지住址가 사는 방의 크기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무당파의 장교진인처럼 소림사만의 독특한 호칭. 사실상 무림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소림이기에 존재하는 호칭이다.

 

 

 

부주府主

-각, 당보다 규모가 크고 중요도가 훨씬 높은 부府를 관리하는 직책. 상급 관리자에 해당하는 직책. 전과 비슷하거나 조금 작은 규모의 조직인 경우가 많고, 정보를 관리하거나 중요한 것을 관리하는 조직으로도 묘사되기 때문에 부주의 권력은 조직 내에서도 상당히 큰 편. 

아예 무림 문파로 묘사되는 경우(ex.천황부, 독황부 등등)에도 수장, 부주府主 역할을 맡는다.

 

 

 

보주堡主

-보堡의 주인. 장莊처럼 틈만 나면 몰살당하는 정도는 아니지만, 중소문파 정도의 규모로 묘사되는 일이 잦다. 그래도 나름 한 지역에서 잘 나가는 무림문파일 때도 많은지라, 의외로 끔살당하는 빈도는 적은 편.

물론 보堡 자체가 그다지 자주 등장하는 무림세력은 아니기 때문에, 요즘은 찾아보기 힘든 명칭.

 

 

 

봉공奉公

-무림맹, 또는 신비세력에 존재하는 직책. 마교에 장로원(+원로원)이 있다면, 무림맹에는 봉공이 있다. 다만 마교의 장로원, 원로원과는 달리 따로 무림맹 내의 다른 조직에 속해 있지는 않고, 보통 구파에 속하지 않은 무공이 강한 재야고수들이 주로 봉공의 자리를 맡는다.

무림맹 내의 법칙에 그다지 얽매이지 않으며 자유로운 행동이 가능한 것이 특징. 또한 권한 역시 막강하다.

어지간한 일로는 전투에 나서지 않는다. 무림맹 최후의 보루, 최후의 전력 같은 느낌.

보통 봉공의 수는 열을 넘지 않는다. 많아야 10명, 적게는 3명에서 5명, 또는 7명 정도가 존재.

 

 

 

사자使者

-보통은 마교에서 자주 사용되는 직책. 전령사자, 호법사자, 집행사자 같은 식으로 작명한다. 앞에 직책이 붙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자라는 직책 자체에 큰 의미가 있지는 않다.

일반적으로는 교주의 말을 전하는 입장이거나 감시자 등의 직책인 것처럼 나오곤 한다. 

 

 

사태師太

-아미파의 여승 중에서 직위가 높은 이, 또는 늙은 비구니를 칭하는 말. 아미파의 장문인이 여자일 경우 사태라는 존칭을 붙이기도 하는 등 명확하게 역할이 정해져 있지는 않다. 

주로 아미파의 장로, 직위가 높은 이, 늙은 비구니 등의 뜻으로 혼용되곤 한다. 

 

 

 

순찰巡察, 순검巡檢

-무림맹, 마교 등 거대 세력뿐 아니라 중소규모의 문파에도 존재하는 직책. 

경비대장으로서의 업무와 세력을 순행巡行하며 감찰과 마찬가지로의 업무를 수행하기도 하는 등 꽤 다양한 능력이 필요한 자리.

일반적으로는 경비대장에 가깝다. 맹 내의 치안을 유지하는 직책이며, 따로 순찰부라고 하여 이것만을 전담하는 부서를 두기도 한다.

그럴 경우 수장은 순찰부주가 되며, 상급 관리자는 총순찰이 된다.

수문 위사 같은 경우는 보통 이쪽에 소속되어 있다. 순검은 보통 관청의 순찰조를 가리킨다. 세력 내부를 돌면서 감찰단과 마찬가지로 내부점검을 하기도 하는 등 권한이 나름 막강하다.

 

 

 

 

왕사王師, 황사皇師

-왕의 스승, 군주, 또는 황제의 스승. 어지간해서는 무협 소설에서는 잘 안 나온다, 구무협 시절에는 은근히 자주 나왔던 직책. 주인공이 황궁 출신의 황족이거나, 기억을 잊어버린 황족, 황제가 아꼈지만 역모로 몰려 박살난 가문의 자식 등등 황궁과 관련이 있는 존재인 경우가 은근히 많았기 때문.

 

 

 

원주院主

-중추 기관 가운데 하나인 원院을 관리하는 관리직. 보통 원의 경우는 호법원, 장로원, 원로원, 계율원 등 중요한 기관으로 배정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중요한 인사가 배정되곤 한다. 무게감 있는 관리직.

독립조직으로 자주 등장하는 각과 마찬가지로 원院도 독자적인 권한을 가진 조직으로 자주 등장한다.

 

 

위사衛士

-보통은 수문위사, 수문무사 등으로 나오는 최하급 직책. 말단 중의 말단. 엑스트라 1 정도의 비중을 가지며, 그런 탓에 끔살당하는 빈도가 가장 높다.

무림의 3d 업종이 있다면 100% 들어갈 정도로 죽는 빈도가 높은 직책.

 

 

 

장교진인掌敎眞人

-무당파의 장문인. 다른 문파의 장문인들과 구분해서 장교진인, 무당의 장교라고 한다. 소림과 마찬가지로 오랜 시간 무림의 두 기둥으로 존재해 온 무당파 장문인에 대한 존칭에 가깝다.

 

 

 

장로長老

-세가, 문파, 방회 등 어딜 가도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직책. 문파에서 제법 오래되고 경력이 길며, 좀 늙은 고수들은 대부분 장로 직책을 달고 있다. 나름 문파의 중책인데 주책바가지인 양반들이 태반이거나, 성질을 주체 못하고 무기부터 휘두르는 인간까지 각양각색의 주접을 떠는 인간들이 몰려있는 직책. 

 

 

 

장주莊主

-보통은 ○○산장, ○○장, ○가장 같은 약소무림세력의 주인을 가리키는 직책.

약소문파의 주인인만큼 매 번 굴욕을 당하는 게 일이며, 운이 나쁘면 툭하면 가족들과 함께 흔적도 없이 몰살되는 등 취급이 매우 안습하다. 구무협 시절에는 보주堡主와 함께 주인공의 집안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물론 그때도 몰살당하는 건 일상다반사.

이쯤 되면 운명이다.

 

 

 

조장組長

-무력조직 단체의 수장 중 최하급. 말단 관리직. 나름 하급 간부이기는 하지만 큰 비중은 없고, 보통은 끔살당하는 게 업무라고 할 정도로 취급이 좋지 않다.

 

 

 

전주殿主

-가장 높은 위치의 관리직. 가장 큰 규모의 조직인 전殿을 총괄하는 위치. 서열 3~4위쯤 되는 인간이 맡는 게 보통이다.

최상위 관리자이기 때문에 권한 역시 가장 크다. 

 

 

 

총관摠官

-무림세가, 무림맹 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직책.

무림맹 및 가문 내의 잡다한 일 및 대소사를 전부 관장하는 직책으로 등장하기 마련이며 적당히 유능하고 적당히 비중없는 등 지금 시대를 살아가는 소시민 같은 직책.

물론 총관이라고 무공이 없는 건 아니기 때문에 얕보고 덤볐다가 작살나는 등신 같은 놈들도 간혹 있다. 급이 높은 총관은 대총관이라고 하며, 내부의 일을 전담해서 맡아 보는 자는 대내총관, 외부를 총괄하면 대외총관 등등의 직책이 있다. 좌우총관으로도 나누는 듯 하다.

 

 

총사摠士

-정파 쪽이나 마도 쪽에서는 잘 등장하지 않는 직위. 보통 나올 경우, 사도련의 중요 직책으로서 등장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련주가 두 손 놓고 노는 동안 사도련을 굴러가게 하느라 뼈 빠지게 군사와 개고생하는 불쌍한 직책인 경우가 많다.

련주를 대신해서 사실상 사도련을 굴러가게 하는 핵심부품. 유능한 건 물론이고 무공이 강한 경우 정돈 비일비재하다.

사실상 사도련의 살림을 관장하는 직책. 어찌 보면 련주 대리에 가까우며, 그런 탓인지 련주의 최측근이나 련주 후보 등의 중요 인사가 맡는 경우가 많다. 가끔은 군사 자리도 겸임하는 경우가 있다.

 

 

호교법사護敎法師, 호교사자護敎使者

-보통은 마교나 혈교 등의 세력에만 존재하는 직책.

교를 보호하는 법사 또는 사자 직책. 상당히 높은 직책이며 권한 또한 높다. 호법원과 거의 동급으로 치거나 호법원보다 높이 두기도 한다. 보통은 교주 직속이거나 다른 조직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별개의 인원으로 등장하며, 권한이 없는 명예직일 때도 있다.

 

 

 

호법護法

-세력 내에서 규율을 집행하거나, 중요 요인을 수행하거나 호위하는 등 요인들과 붙어있을 수밖에 없는 위치. 이 직책을 맡았다는 건 그만큼 문파의 수장으로부터 신뢰받는다는 뜻이다. 대호법, 좌호법, 우호법 등의 직책이 있다. 이 직책을 맡은 자는 문주 직속으로 취급되어, 사실상 지휘계통 구조에 구애받지 않게 된다.

 

 

 

회주會主

-세력명으로 회會를 사용할 경우 등장하는 명칭. 보통 ○○회의 주인, 수장격 존재. 

보통 신비세력의 명칭으로 나오거나 오대세가의 연맹체 같은 방식으로 등장. 적대세력의 수장이라면 굉장히 강한 적으로 나올 때가 종종 있다.

다만 ○○회가 신비세력, 주적으로 나오는 경우는 줄어든지라 등장이 적어진 편.

 

 

 

향주香主

-보통 정보를 관리하는 조직, 또는 조직 내에서 가장 아래 단계의, 지방에 넓게 흩어져 있는 조직인 향香을 관리하는 관리직. 관리직 중에서도 최말단이다.

 

 

 

 

무림의 돈 개념

-동전銅錢, 은자銀子, 금자金子로 구분한다.

구리 동전 1문이 최저 단위이며, 명나라 때를 기준으로 구리동전 1000~1500문 = 은 1냥, 청나라 때를 기준으로 하면 구리 동전 1000문 = 은 1냥. 즉 1관(=3.75kg) 무게.

정리하자면,

구리동전 1000문 = 은 1냥.

은 10냥 = 금 1냥.

 

으로 볼 수 있다.

구리 동전은 문, 은자와 금자는 냥을 단위로 쓰지만 요즘은 그런 구분도 없이 그냥 대충 몇 냥이오 하고 끝난다. 이런 거까지 디테일하게 신경 쓰는 작품은 요즘 본 기억이 없다.

 

 

 

무협의 길이, 거리, 무게 단위

-다양한 단위를 사용하지만, 대부분은 이게 얼마나 되는지 감도 안 올 것들이 대다수다.

 

 

길이 단위

치 = 촌

-3cm. 정확하게 3cm가 아니고 3.03cm 정도 된다.

 

자 = 척

-30cm. 손을 폈을 때 엄지에서 중지 끝까지의 길이.

척은 초기 18cm, 한나라때 23, 당나라때 24, 고려, 조선 초기에는 32cm였고 일제강점기에 들어서야 30cm로 정형화되었다.

 

 

-3m. 치=촌처럼 3.03m다. 성년 남성의 키를 1장으로 보았다. 한길이란 말도 여기서 나왔다고 한다.

 

 

 

거리 단위

 

-0.4km. 이 외에는 메이저하게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다루지 않는다.

 

 

 

무게 단위

 

푼 

-0.375g

 

-3.75g

 

-37.5g

 

관 

-3.75kg

 

-과일이나 야채 등은 375g, 그 외에는 600g을 정량으로 친다.

 

 

 

 

무림의 시간 – 열두시진, 십이시진

-초初, 말末로 구분한다. 

시간대는 아래와 같다. 십이시진十二時辰, 열두시진이라고 한다.

자시子時 - 삼경三更, 밤 11시 ~ 새벽 1시

자정子正 - 새벽 12시. 자시 정, 자정.

축시丑時 - 사경四更, 새벽 1시 ~ 새벽 3시

인시寅時 - 오경五更, 새벽 3시 ~ 새벽 5시

묘시卯時 - 새벽 5시 ~ 오전 7시

진시辰時 - 오전 7시 ~ 오전 9시

사시巳時 - 오전 9시 ~ 오전 11시

오시午時 - 오전 11시 ~ 오후 1시

정오亭午 - 12시. 오시 정, 정오. 

미시未時 - 오후 1시 ~ 오후 3시

신시申時 - 오후 3시 ~ 오후 5시

유시酉時 - 오후 5시 ~ 저녁 7시

술시戌時 - 초경初更, 밤 7시 ~ 밤 9시

해시亥時 - 이경二更, 밤 9시 ~ 밤 11시.

 

 

 

무림의 시간 단위

-십이시진과는 다르다. 말하자면 무협에서 자주 나오는 일수유, 찰나, 반 시진, 한 시진 같은 개념.

 

일수유一須臾 – 순식간에. 아주 짧은 시간. 눈 깜짝할 새. 찰나랑 비슷하다. 다만, 찰나보다 인지도가 떨어진다.

일다경一茶頃 - 차 한 잔 마실 정도의 시간. 15분.

일각一刻 - 15분. 일다경과 같은 시간. 보통 이쪽이 더 메이저하게 사용된다.

한식경一食頃 - 식사를 마칠 정도의 시간. 30분.

반시진半時辰 - 1시간. 한 시진은 2시간이다. 하루를 십이시진으로 갈랐기 때문에, 지금과는 개념이 다르다.

한시진一時辰 - 2시간.

촌각寸刻 - 매우 급함. 시각을 다툰다. 시간이 없음을 뜻하기도 한다. 즉 잠깐 동안을 의미.

반각半刻 - 15분의 절반. 7~8분 가량.

 

 

 

 

문파의 조직구조

-문파는 가주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세가와 달리, 무림맹처럼 수많은 이들이 발언권을 가지고 서로 견제하기 때문에, 권력구조가 난장판인 경우가 많다.

태상문주는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문주가 제대로 일을 하지 못할 정도의 권력을 쥐고 있는 경우도 있다. 문주의 영향력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물론 태상문주가 현명하게 문주를 밀어주기도 하지만, 골방 늙은이로 물러난다면서 할 건 다한다. 사실상 없어도 되는 양반들.

장문인 호칭은 구파에서, 문주 호칭은 그 외의 문파에서 사용한다. 가장 중요한 직책이며, 항상 쌈박질하는 간부들, 장로들 뜯어말리느라 정신이 없다. 그 와중에 독주할지 모른다고 장로원, 원로원에게 견제당한다.

문제는 문파를 대표하는 자리임에도 불구하고 인맥 관리, 자금 관리 등 온갖 업무에 시달리기 때문에 무공 증진은커녕 제자리 걸음만 하는 경우도 수두룩하다. 장문인보다 강한 사형이나 사제가 왕왕 나오는 것도 이 때문.

장로원은 대부분의 역사가 오래된 문파, 세가에는 반드시 존재하며, 원로원은 마교에 존재한다. 장로원은 노회한 고수들의 집단으로 묘사되며, 세가나 문파의 최후의 보루처럼 나온다. 마교의 원로원도 마찬가지.

호법원은 말 그대로 호법들의 조직. 이런 조직은 마교나 무림맹 등 거대세력에만 존재하며, 구파 같은 조직에는 거의 없다. 요인 호위가 주된 역할. 호위무사들을 길러내는 것도 이쪽에서 관할하는 경우가 있다.

군사부는 말 그대로 문파의 미래를 위해 작전을 짜고, 간언을 올리고, 문주가 엇나가는 걸 제어하는 등 책임이 막중한 조직이다. 보통 수장은 군사라고 불리며, 드물게는 부주라고도 호칭되곤 한다. 물론 대부분의 호칭은 군사로 고정.

차기 장문인 후보, 그리고 소문주는 문파의 미래를 짊어진 인재다. 그런 만큼 문파에서도 가장 신경 쓰는 존재이며, 문파 내의 회의에 반드시 참석하여 그 인물의 됨됨이를 알아보고 시험당하는 등 여러모로 골치 아픈 자리다. 황실의 황태자처럼 한없이 시험당한 끝에 문주 자리에 오르면 장로원의 견제가 기다린다.

대장로는 선임장로, 수석장로이며 장로들 가운데서도 가장 오래되고, 강한 사람이다. 그런만큼 온갖 술책을 일삼는 장로들 사이에서도 가장 노회한 인간이다. 장로원의 수장 자리를 꿰찬 인간일 때도 있다. 이런 인간을 아군으로 삼으면 좋지만, 보통은 적이다. 장로원의 책무는 문주의 폭주, 독주를 견제하는 것이기 때문.

장로는 문파에서 오랜 시간을 보낸, 그리고 무공이 강한 자들이다. 지휘관 역할을 할 줄 아는 노고수들이며, 사실상 문파 전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강하고 현명하며 적당히 진퇴를 결정할 줄 아는 사람들이다. 장로란 문파의 중책이자 허리이기도 하다. 물론 그런 거 신경 쓰는 장로를 본 기억은 딱히 없다.

기타 하부조직의 수장들은 말 그대로 맡은 일이나 잘하면 된다. 딱히 문파의 중요한 회의에 참석하는 것도 아니고, 자신들이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의견을 전달하면 끝이다. 

제자들의 경우는 촉망받는 기재가 아닌 이상 문파의 중요한 안건이 결정되는 회의에 발을 들이는 경우는 없다. 짬이 좀 찬 제자가 아니고서야. 그러니 열심히 무공을 갈고 닦는다. 장로의 눈에 들어 무공을 전수받는 경우도 있으니까.

문파의 조직 구조도는 대략 아래와 같다. 

 

     태상문주

        │

    장문인, 문주

        │─ 장로원, 원로원, 호법원

        │─ 군사부, 군사, 총사 

    차기 장문인(후계자)

        │      

      대장로(선임장로, 수석장로)

        │─기타 주요 조직의 우두머리들

       장로

        │

 기타 하부조직의 수장

        │

       제자들

 

 

 

문파의 후계자 호칭

-구파일방에서는 사용하는 특정한 호칭이 존재하지 않고, 차기 장문인 후보 같은 식의 호칭만 등장한다. 

중소규모 문파, 방회, 보堡, 성, 궁, 교, 당, 세가, 장莊 등의 후계자 호칭은 소小자를 붙여서 표기한다.

소문주, 소방주, 소회주, 소보주, 소성주, 소궁주, 소교주, 소당주, 소가주, 소장주 등의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별개로 개방은 후개後丐라는 호칭을 소방주와 혼용해서 사용한다.

 

 

 

 

 

-바 항목

 

 

박투술搏鬪術

-근거리에서 주먹과 발을 사용해 적을 공격하거나 방어하는 수법의 총칭. 체술.

어깨를 사용하는 고법靠法, 발을 사용하는 각법脚法과 퇴법腿法, 주먹과 손을 사용하는 권법과 수법, 손가락을 이용하는 지법指法, 손바닥을 사용하는 장법掌法 등을 통칭하기도 한다. 

 

 

 

반로환동返老還童

-무림의 경지 가운데 하나. 환골탈태를 통해 어린아이로 되돌아온 것을 의미한다. 보통 이런 식으로 어린 시절로 돌아가는 것은 노고수가 아닌 이상 일어나지 않는 일이다. 젊은 주인공이 환골탈태한다고 꼬맹이로 돌아가는 일은 없다. 그게 클리셰로 굳어져 있다.

단순히 주름 같은 게 사라지고 겉만 젊어지는 게 아니라 아예 몸 자체가 젊은 시절 그 자체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노강호의 경험은 그대로인데 몸은 젊은이라는 언밸런스한 조합이 탄생한다.

노회老獪(*늙고 교활함)한 강호 같다는 표현이 등장하는 이유가 반로환동 같은 반례가 있기 때문.

 

 

 

 

반박귀진返樸歸眞

-무림의 경지 가운데 하나. 지독하게 높은 경지를 이룩한 탓에, 높은 무공을 지녔음에도 오히려 평범한 사람처럼 보이는 경지. 이 경지에 들어서면 기의 수발이 자유로워진 탓에 자유자재로 사람 하나만을 압박해서 쫓아버리거나, 아무렇지도 않게 적의 뒤를 잡는 등 세계관에서 강자 반열에 들만한 짓거릴 태연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지에 이르렀다는 건 세계관 내에서 최강자 반열에 들어간다는 뜻이다.

 

 

 

발경發勁 

-기를 방출하여 상대에게 타격을 주는 방법.

거리에 따라 구분하는데, 척尺, 촌寸, 분分으로 가른다. 명경明勁 또는 암경暗勁이라는 분류로도 구분한다.

동작이 크고 거리가 멀면 척경, 상대와 가까이 붙은 상태에서 펼치는 것은 촌경, 상대와 완전히 밀착한 상태에서 펼쳐내는 것은 분경이라고 한다.

상대가 알아차리지 못할 정도로 은밀하게 펼치는 것은 암경, 상대가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명경이라고 한다.

축경畜勁 - 경력을 거두어 모으는 것.

발경發勁 - 모은 경력을 일거에 방출해 쏘아내는 것.

나선경螺旋勁 - 나선의 형태로 몰아치는 경력.

전사경纏絲勁 - 나선경이 일회성이라면, 이쪽은 지속성. 끊임없이 도는 소용돌이.

투경透勁 - 상대의 방어를 뚫고 스며드는 경력, 꿰뚫는 속성을 가졌다.

탄경彈勁 - 경력을 화살이나 총알처럼 쏘아 보내는 것.

십자경十字勁 - 십자의 형태로 쏘아보내는 경력.

 

 

 

발도술拔刀術

-쾌도, 쾌검의 고수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것. 검집에서 검을 뽑는 속도가 얼마나 빠르냐에 따라 승패가 갈리기 때문에, 쾌도, 쾌검의 고수는 발도술의 고수일 때가 많다. 선즉제인先卽制人, 즉 선빵필승이기 때문.

 

 

 

방문좌도方門左道, 방술方術

-주술, 기문둔갑술 등 정통적인 방법이 아닌 술수, 또는 술법. 정도를 벗어난 사악한 술수들을 통틀어 칭하기도 하기 때문에, 사술邪術이라는 이름으로 퉁쳐지는 경우도 많다.

 

 

 

발보등공拔步登空

-자신의 발등을 밟고 더 높은 곳으로 뛰어오르는, 본격 물리법칙 무시하는 경공. 공중에서 이런 식으로 몸을 틀면서 움직일 수 있는 경공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은 편이고, 허공답보를 익힌 게 아닌 이상 천상제, 발보등공 등과 비빌 수 있는 경공은 거의 없다.

 

 

 

방장대사方丈大師

-소림사의 주지승, 소림사의 장문인을 뜻하는 말. 방장실이라는 곳에 기거하기 때문에 이런 예칭으로 불린다. 무당의 장문인이 장교진인으로 불리는 것과 같은 경우.

 

 

 

방중술房中術

-그냥 간단하게 요약하면 섹스하는 기술. 남자를 기분 좋게 하거나, 여자의 기분을 좋게 하는 방법 전체를 통틀어 칭한다. 이것으로 유명한 문파는 남자를 색에 빠지게 만들어 노예로 만든다고 할 정도로, 무협 쪽에서 이것과 관련되어서 이미지가 좋은 문파는 하나도 없다.

 

 

 

방편산方便鏟

-삽처럼 생긴 무기. 수호지의 노지심이 사용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가장 비슷한 형태를 현대에서 찾아본다면 블리치의 용문귀등환 정도가 있다.

소림의 무승들이 사용하는 방편산은 날의 크기가 크지 않고 계도처럼 날이 없으며, 상대를 제압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것을 사용하는 무공은 산법鏾法이라고 한다.

 

 

 

번幡

-깃발 형태의 무기. 기문병기.

보통 장대나 창에 달아서 사용하며, 깃폭 자체와 깃발 자체가 내공을 머금어 상대를 휘감아 상대의 전신을 박살낸다는 묘사가 있다. 

다만 사용자는 극히 소수이며, 우각 작가의 환영무인에서 주인공 환사영이 마지막에 창에 자신의 장포를 휘감아 번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 적이 있다.

 

 

 

 

벌모세수伐毛洗髓, 역근세수易筋洗髓

-막대한 내공을 통해 신체 내부에 축적된 노폐물을 완전히 몰아내어, 무공을 익히기 쉬운 신체로 바꾸는 것. 말하자면 인공적인 환골탈태에 가깝다. 다만 환골탈태와 달리 완전히 몸이 바뀌는 건 아니기 때문에 어느 정도 한계점은 있다.

보통 시전자의 내공은 1갑자 이상이어야 하며, 시전 대상은 아직 몸 안에 노폐물이 없을 시기인 어린 아이일 경우가 많다. 보통 벌모세수를 받은 아이는 빠르게 무공이 늘며 기재로 자라나는 경우가 많다.

 

 

범패梵唄, 범음梵音

-부처, 불타佛陀의 공덕功德을 찬양하는 전통 형식의 노래. 범음梵音, 성명聲明, 여래패如來唄라고도 한다.

이런 범패의 일종으로는 소림의 2대 음공 중 하나인 천룡선창을 들 수 있으며, 법문을 따라 암송하는 형식인지라 무협 소설 내에서는 사마邪魔의 힘을 물리치고 마기를 뿌리 뽑는 힘이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백귀야행百鬼夜行

-밤에 온갖 요괴가 나돌아다니는 것을 일컫는다. 서양판의 백귀야행으로는 망령, 악마, 요정 무리로 이루어진 사냥단이 지상을 떠돌아다닌다는 와일드헌트가 존재한다.

괴상한 꼴을 하고 해괴한 짓을 하는 무리가 돌아다닌다는 것을 이르는 말. 법과 질서가 무너져 온갖 범법행위가 난무하는 난세를 의미하기도 한다.

무협에서는 잘 다루지 않고, 영능력자를 다루는 퇴마록 같은 소설이나 요괴를 주로 다루는 일본의 만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으로, 요괴가 창궐하는 현상, 100에 이르는 거대한 요괴무리를 일컫는다.

 

 

 

백리세가百里世家

-마이너 무림세가 가운데 하나.

독고세가나 구양세가 등의 세가와 마찬가지로 자료가 거의 없는 세가. 그렇기 때문에 어떤 가문으로 등장시킬지는 작가의 요량에 달려 있으며, 소재지 또한 정확하게 정해진 곳이 없어 어디에 등장하든 문제가 없다.

종리세가 등이 그나마 꾸준히 이름을 비치는데 반해, 백리세가는 북궁, 북리와 마찬가지로 출현 빈도가 적은 편.

 

 

 

백련교白蓮敎

-불교에 기반을 둔 중국의 민간종교. 송나라 시절에 창건되었으며, 교조는 모자원.

현세를 부정하고 내세를 지향하는 미륵신앙적인 면모가 강했으며 모든 것이 비밀에 싸여 있었기에 정보가 굉장히 부족한 편.

송나라 시기부터 청나라 시기까지 존속했으며, 대부분의 정보는 백련교도를 고문하여 알아낸 것이 전부라고 할 정도로 결속력이 대단하다.

주원장을 도와 명을 건국한 세력이며, 홍건적의 난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무협 소설에서 등장할 때는 주원장을 도와 명을 건국한 이후 버림받고 흑화하여 명교, 마교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왕조를 전복시키고 백련교를 위한, 백련교에 의한 국가를 세우려는 야심가 집단으로 등장한다. 악역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벽곡단劈穀丹

-무림인의 비상식량. 다만, 맛은 없거나 혹은 무미무취인 경우가 많다. 곡기를 끊고 선도에 들기 위해 수련하는 도사들의 식량으로 선식이기 때문에 아무런 맛도 없는 게 특징. 소설의 설정에 따라 다르지만 벽곡단 한 알이면 반나절이나 하루, 길게는 사나흘을 버티는 경우도 있다. 식수와 이것만 충분하다면 수련을 하는 동굴 안에서 몇 년을 버티기도 한다. 

 

 

 

벽공장劈空掌

-권풍, 장풍으로 불리는 기술. 말 그대로 장력이나 권력을 쏘아내어 상대에게 타격을 주는 기술이다. 격공장과의 차이점은 격공장이 중간에 있는 장애물을 무시하고 상대에게 직접 닿는 반면, 벽공장은 장애물을 통과하거나 그 뒤의 적을 공격할 수는 없다는 점.

 

 

 

별호別號, 명호名號

-무림인으로서 이름을 떨쳤다는 증거. 사람들의 눈에 들 정도의 활약을 했다는 증명이며, 이름 높은 무림인들은 이름만 대도 주위에서 찰떡 같이 알아듣고 별호를 외쳐줄 정도로 무림에서는 출세의 척도나 다름없다.

 

 

 

보표保票

-경호원, 수행원. 보통 표국에서 보표업을 겸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보표는 거의 없다. 호위무사 같은 역할이기는 하지만 돈을 받고 고용된 경우이기 때문에 호위무사하고는 취급이 좀 다르다.

 

 

 

보타암寶陀庵

-남해에 있다는 문파. 위치는 절강성 주산열도의 보타산이며, 문파의 최고수는 검후라 불린다. 검각이라는 이름으로 불릴 정도로 검에 능한 문파이며, 보통은 여인문파로 나오기보다는 비구니들, 즉 여승들의 문파로 유명하다.

보타산은 관음보살의 성지로도 유명하며, 신비문파로 설정되는 보타암의 설정상, 정파임에도 불구하고 정파의 일에 자주 개입하려 들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본원진기本原眞氣

-진원진기, 선천진기라고 부르는 것. 본원진기라는 표현은 잘 쓰이지 않는다. 말 그대로 최후의 최후까지 쓰는 것이 금지되는 기운으로 말 그대로 자신의 수명을 깎아내는 짓거리이기 때문. 적이나 엑스트라가 쓰면 쓰고 자폭이나 자멸하고 끝, 주인공이 쓰면 그러고도 잘만 살아서 아들딸 낳고 해피엔딩이다. 

 

 

 

본좌本座

-잘 나간다는 놈들, 보통 늙은 무림의 고수들이 자신을 지칭할 때 쓰는 말. 보통 이런 거 쓰는 놈 치고 인격적으로 도야가 잘 된 놈 하나 없다. 보통은 마교 쪽 고수들이 자신을 높이는 어조로 사용하는데, 인성이 개차반인 경우가 대다수다.

 

 

 

봉棒

-곤과 봉은 비슷하게 생겼지만, 미세한 차이로 다르다. 곤의 경우에는 끝부분에 둔기를 달거나, 끝부분에 쇠 같은 것을 감아서 타격력을 높이는 둔기이고, 봉은 창에서 창날만 떼어낸 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

창과 운용법이 비슷하지만 찌르기 같은 행위로 상대에게 치명상을 주기 어렵기 때문에 보통 긴 사거리를 살려 상대를 후드려 패는 식으로 운용한다.

 

 

 

봉문封門, 봉파封派

-공식적으로 문파가 활동을 중지하는 행위.

문파 내부에 중대한 사태가 발생하여 자발적으로 봉문하는 경우가 있고, 외부세력과의 싸움에서 패배한 결과 봉문을 하는 경우가 있다. 보통 후자는 마교나 새외세력의 침공에 의해 패배하여 강요당해 봉문하는 경우가 많다.

대체로 기간을 정해서 봉문하는 경우가 많고, 무기한 봉문은 매우 드물다.

봉문하는 동안에는 문파의 모든 행동이 중지되고, 문파 전체가 일종의 근신에 들어간다. 대외적인 활동이 정지되는 것은 물론이고 문도들의 강호 출입도 금해진다. 봉문 중인 문파에 대한 문제 제기 또한 암묵적으로는 금지되어 있다.

 

 

부공삼매浮空三昧

-운기조식 도중에 어떤 깨달음을 얻어 한 순간 경지가 진일보 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 내공이 한 순간에 급속하게 늘어나기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몸이 허공에 뜨게 된다.

 

 

 

부동명왕보不動明王步

-소림의 독문 보법 가운데 하나. 최상승 보법인 연대구품의 바로 아랫줄에 놓인다.

이정제동以靜制動이라는 무림에서나 통용되는 논리로 움직이지 않는데 가장 빠르게 움직인다는 특징을 지녔고, 자신보다 빠르게 움직이는 상대보다 한 발 빨리 움직이는 기묘한 움직임을 보이는 보법.

상대가 나보다 빠르면 오히려 내가 더 빨리 움직일 수 있는 이상한 보법이다.

 

 

 

부동심결不動心訣

-소림의 심법. 정확하게는 부동심, 흔들리지 않는 평정심을 유지하는 법문에 해당한다.

소림의 상위심법으로 등장하기도 하고, 금강부동심법, 금강부동공 등등의 이름으로 나오기도 하는 등 변형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잦다.

이우혁 작가의 퇴마록에서 이현암이 사용하는 절기 중 하나로 등장.

발동하면 온몸에서 새하얀 빛을 내뿜어 주위의 사마의 힘을 지우고, 잡령을 성불시켜버리는 등의 활약을 선보였다.

 

 

 

부신수형附身隨形, 부신약영浮身掠影, 부광약영浮光掠影

-최상위 경공. 공통적으로 그림자도 보이지 않을 정도의 빠르기를 지녔다는 공통점이 있다. 비교적 단거리를 주파하는데 사용된다. 먼 거리를 갈 수 있으면 능공허도나 육지비행술의 경지에 속한다.

 

 

 

부운답월浮雲踏月

-경공의 일종.

떠가는 구름을 밟고 달에 닿는다는 의미의 경공. 허공답보나 능공허도처럼 허공을 밟고 움직이는 경공으로 추정된다. 자세한 묘사가 나온 적은 없다.

 

 

 

부채, 선扇

-무기로 나오기보다는 군사의 상징처럼 쓰이는 경우가 많다. 만약 이걸 무기로 쓰는 놈이 나오면 보통은 적이든 아군이든 전부 미남이다. 사용자의 외모를 가리는 치사한 무기.

부채라는 무기의 특성상 보통 근접전은 하지 않고 멀리서 치사하게 바람 같은 기운을 날려서 승부하거나, 부채 자체에 기운을 불어넣어서 운용하거나, 아예 쇠로 만든 철선을 쓰는 등의 변화를 준다. 메이저한 무기가 아니기 때문에 운용법이 한정되어 있는 게 단점.

애초에 이거 무기로 쓰는 놈은 잘 보이지도 않는다.

본래 선扇은 매체에 자주 나오는 쥘부채를 가리킨다기보다는 제갈량의 백우선처럼 둥글부채 타입의 부채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쥘부채는 섭선攝扇이라고 해서 따로 분류한다.

 

 

 

북숭소림北崇小林 남존무당南尊武黨

-소림사와 무당파를 이를 때 꽤 자주 거론되는 단어.

북쪽에는 소림이 있어 높이 받들어지고, 남쪽에는 무당이 있어 큰 존경을 받는다라는 의미의 경구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 정도로 무림에서 이 두 문파가 끼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의미.

 

 

 

북궁세가北宮世家

-마이너 무림세가 중 하나. 남궁세가와는 대척점에 있는 세가. 하지만 인지도는 한참 남궁세가에 밀린다.

소재지는 호남성 경산 정도로 추정. 남궁세가와는 정반대의 위치에 있고, 남궁세가의 라이벌 격으로 등장하지만 보통은 남궁세가만 나오는 편이 많아 그리 위상이 높지는 않은 편.

대표적인 무공이랄 것도 존재하지 않는 것이 독고세가나 백리세가 등 정보가 없는 세가들과 그리 다를 것 없는 처지다.

 

 

 

북리세가北里世家

-무림세가의 하나. 공기급 비중을 가진 세가 가운데 하나.

동방, 서문, 남궁, 북리의 사방세가 가운데 하나다. 메이저급 세가로 자주 등장하는 남궁세가나 그나마 인지도가 어느 정도 있는 서문세가에 비하면, 사실상 인지도가 심해에 처박힌 수준. 동방세가와 비슷한 처지다. 

북리세가 자체가 인지도가 바닥을 기기 때문에 사파 쪽의 중심 가문으로 그려지는 경우(*무한 레벨업 in 무림의 북리경혼)가 아니면 좀처럼 등장이 없다.

 

 

 

북해北海

-바이칼 호 인근의 지역을 지칭한다. 역시 장성 너머의 자리 잡고 있는 새외 세력 중 하나이며, 극음의 빙지에서 살기 때문에 빙공이 발달해 있고 얼음을 가공해서 건물을 짓는 등 전체적으로 얼음과 관련한 이미지가 강하다. 

보통 만년한철은 이 지방의 특산품인데, 북해 지방 근처의 큰 호수와 바다가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 바닷속에서 건져 올린 한철 중에서도 그 강도가 지독하게 높은 것을 만년한철이라고 하며 신병이기의 주재료로 사용된다.

 

 

 

북해빙궁北海氷宮

-북해 지방에 있다는 문파. 이름대로 빙공, 한기 계열의 무공에 있어서는 본좌급의 강함을 자랑하는 문파로 여기서 온 사람들읜 피부가 새하얗고 머리색도 은색이거나 중원에서는 보기 힘든 색을 하고 있는 등 꽤 이채로운 특징을 지니고 있다.

중국의 어디에 이런 지방이 있는지는 알 수 없지만 큰 호수가 근거지 근처에 있다는 걸 보면 위치는 러시아의 바이칼 호 근방인 듯 싶다.

특징은 추운 지방이고, 한기 계열 무공을 특기로 삼으며, 보통 이곳 출신 여자들은 세상물정을 영 모르거나 주인공에게 콩깍지가 끼어서 하렘 멤버가 된다는 것이다. 

 

 

 

분수자分水刺

-아미자로부터 변형되어 파생된 무기. 마치 클로처럼 날카로운 날을 지니고 있으며, 가운데 있는 손잡이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칼날이 뻗어 나온 듯한 기묘한 형태를 하고 있다. 분수아미자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들은 대부분 장강수로맹, 수적 등등이다.

 

 

 

분수아미자分水蛾眉刺

-아미자에서 파생된 무기. 아미자의 길이는 보통 1척이 넘지 않으나, 이것은 끝부분에 작살을 달아 길이를 오척으로 늘린 무기. 일반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 기병奇兵에 속한다. 보통 사용하는 세력은 수적, 장강수로맹 정도로 정해져 있다.

 

 

분타分舵

-문파의 지부를 뜻한다. 무림맹의 지부를 뜻하기도 하는 등, 여러 의미로 혼용되고 있다. 그냥 특정 세력에서 세운 지부를 의미하는 말. 원래는 수적 같은 수상 세력들의 지부라는 의미로 쓰였으나 지금은 의미가 확장되어 모든 세력의 지부를 뜻하는 말로 쓰이고 있다. 

 

 

 

불가십계佛家十戒

-말 그대로 출가인, 불문의 승려가 지켜야 할 열 개의 계율을 의미한다.

불살생계不殺生戒 - 살아있는 것을 죽이지 말라.

불투도계不偸盜戒 - 훔치지 말라.

불사음계不邪淫戒 - 음행하지 말라.

불망어계不妄語戒 - 거짓말하지 말라.

불음주계不飮酒戒 - 술 마시지 말라.

부도식향만계不塗飾香鬘戒 - 향유(香油)를 바르거나 머리를 꾸미지 말라.

불가무관청계不歌舞觀廳戒 - 노래하고 춤추는 것을 보지도 듣지도 말라.

부좌고광대상계不坐高廣大床戒 - 높고 넓은 큰 평상에 앉지 말라.

불비시식계不非時食戒 - 때가 아니면 먹지 말라. 곧, 정오가 지나면 먹지 말라.

불측금은보계不蓄金銀寶戒 - 금은보화를 지니지 말라

 

 

불가십선佛家十善

-몸과 말, 그리고 마음으로 공덕을 짓는다는 10가지 종류의 선업을 의미한다.

 

삼신업三身業 

불살생不殺生 - 살아있는 것을 죽이지 않음

불투도不偸盜 - 도둑질하지 않음

불사음不邪婬 - 아내가 아닌 사람과 부정한 정교를 맺지 않음

 

사구업四口業

불망어不妄語 - 망어, 거짓말하지 않음

불양설不兩舌 - 양설兩舌, 이간질하는 말을 하지 않음

불악구不惡口 - 악구惡口,  남을 괴롭히는 나쁜 말을 하지 않음

불기어不綺語 - 기어綺語, 진실이 없는 꾸민 말을 하지 않음

 

삼의업三意業

불탐욕不貪欲 - 탐욕貪欲, 어리석음을 바탕하여 구하고 원하는 것을 하지 않음

불진에不瞋恚 - 진에瞋恚, 성내지 않음

불사견不邪見 - 사견邪見, 그릇된 견해, 특히 인과법을 부정하는 견해를 일으키지 않음

 

 

불모대공작명왕佛母大孔雀明王

-밀교에서 주신으로 믿는 대일여래의 화신.

불모금강佛母金剛이라 달리 불리기도 하는 명왕. 어떤 재액도 물리치고 비를 내리는 능력을 지녔다고 여겨졌다.

공작왕모보살孔雀王母菩薩과 같은 존재. 인도 신화의 마하마유리라는 여신이 불교로 편입되면서 남자로 묘사된 것이 불모대공작명왕, 즉 공작명왕인 것.

관을 쓴 일면사비一面四臂, 얼굴은 하나에 팔이 네 개이며 금색의 공작을 탄다. 오른손에 연화와 구연과俱緣果, 왼손에는 길상과吉祥菓(*석류)와 5장의 공작 깃털을 들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분노존으로 형상화되는 명왕 중에서 유일하게 분노의 상으로 묘사되지 않고 자애로운 모습으로 많이 묘사되는 이례적인 명왕.

 

 

 

불호佛號

-무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림의 승려들이 내뱉는 말.

나무아미타불이 대표적이며, 밀교나 서장의 장승, 라마승이 등장하면 나무비로자나불 같은 불호가 등장하기도 한다. 보통은 나무아미타불로 끝. 이거 말고 나오는 경우는 정말 손 꼽을 정도로 적다.

 

 

 

붕검崩劍, 붕권崩拳

-진각의 형을 취하면서 움직이면서 공격하여 무게 이동, 무게의 집중, 속도, 타격 위치를 모두 조화하여 내지르는, 빠르면서도 강하며 빈틈이 없는 일격.

이것을 기조로 삼는 무공을 붕검, 또는 붕권이라고 부른다. 진각에서 발생한 힘을 실어 공격하기 때문에 위력은 절륜하며, 상대의 공세나 자세를 붕괴시킬 지경에 이르기 때문에 붕崩자를 붙였다.

붕검은 잘 나오지 않고, 나온다면 붕권이 주류.

 

 

 

붕조鵬鳥

-상상 속의 새. 장자 소요유 편에 나오는 곤鯤이 변한 새로, 날개를 펼치면 그 크기가 삼천 리나 되고 한 번 날갯짓을 하면 구만리를 난다고 한다. 대붕, 붕조라고 불리기도 한다.

 

 

 

백건아白乾兒

-일명 빼갈. 그나마 죽엽청, 금존청 말고 이름이라도 언급되는 술. 요즘 무협에서는 본 기억이 없다.

 

 

 

배분配分

-무림인들 사이, 특히 동문 간의 서열을 의미하거나 무림에서 앞서 활동한 이들, 전대 고인의 제자 같은 이들의 서열을 의미한다. 이전 시대에 높은 무명을 이름을 알렸거나, 한 문파의 전전대 장문인 같은 이들의 제자 같은 경우는 나이가 어려도 한 문파의 높은 신분이 되거나 심지어는 장문인과 동렬에 놓이는 경우도 있다.

아래는 각각의 호칭.

사조師祖 - 스승의 사부. 할아버지.

사숙조師叔祖 - 스승의 사부와 동렬의 어르신. 당숙.

사부師父 - 자신, 보통 주인공의 스승. 

사모師母 - 스승의 부인.

사부師夫 - 스승이 여자일 경우 남편을 뜻함.

사백師伯 - 스승의 사형. 백부.

사숙師叔 - 스승의 사제. 숙부.

사고師姑 - 스승의 사매 / 사저. 이모.

사저師姐 - 같은 스승을 모시는 제자 가운데 입문이 빠른 여제자. 누님.

사자師姉 - 여제자 중 서열이 낮은 쪽이 높은 쪽을 부를 때 사용.

사형師兄 - 같은 스승을 보시는 제자 가운데 입문이 빠른 제자. 형.  

사제師弟 - 같은 스승을 모시는 제자 가운데 입문이 낮은 제자. 남동생. 

사매師妹 - 같은 스승을 모시는 제자 가운데 입문이 늦은 여제자. 여동생. 

사질師姪 - 자신보다 항렬이 높은 제자의 제자. 사형, 사저, 사매, 사제의 제자를 가리키기도 한다. 

사손師孫 - 제자의 제자. 손자.

 

 

백화주百花酒

-백 가지 꽃으로 만들었다는 말로 유명한 중국의 명주. 검남춘, 옥호춘 같은 명주 반열에 들어가는 술이다. 백화로百花露라는 술도 있는데 비슷한 이름의 다른 술인지는 불명.

 

 

 

비구니比丘尼

-십계를 받고 출가한 여승. 보통 아미파나 남해 보타암 같은 곳에 많다. 악당들에게 당하면 보통 그들에게 겁탈당하는 비운의 포지션. 가끔은 히로인이 비구니로 출가하려는 경우도 종종 생긴다.

 

 

비룡재천飛龍在天

-경공의 일종. 용이 하늘에서 꿈틀댄다는 이름 그대로 하늘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경공으로 추측된다. 자세한 묘사가 없다.

 

 

 

비도飛刀

-들고 던지는 그 비도 맞다. 기문병기라기 보다는 암기의 일종.

이걸 주력으로 쓰는 인물은 보통 엑스트라일 때가 많고, 레귤러급 인물이더라도 어느 순간 그 비중이 증발하는 그런 무기다.

소설 비뢰도에서는 이 비도와 사검을 융합한 무공, 비뢰도가 등장한다. 

 

 

비수匕首

-암살용, 또는 자살용으로도 나오는 무기. 은장도 같은 느낌. 보통 단검처럼 암살자 전용의 무기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사용하는 인물은 여성일 경우가 은근히 많고, 이걸 비도처럼 던지며 싸우는 경우도 있는 듯. 아예 무공이름에 비匕가 들어가는 경우 이걸 주력으로 쓴다고 봐야 한다. 

 

 

 

비무比武

-말 그대로 무공을 견주어보는 것. 살상을 목적으로 하는 게 아니라 서로의 실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겨루는 겨루기, 또는 친선경기에 가깝기 때문에 살상력 높은 초식은 서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상식이다.

대무對武라고 하기도 하지만, 보통은 비무가 더 많이 쓰인다.

 

 

 

비무대회比武大會

-수많은 무림인들이 모여서 비무를 벌이는 대회. 규모가 엄청나게 크기 마련이고, 상품도 빵빵한 경우가 많다. 다만 무림인들이 수백명이나 모여 있기 때문에 피를 안 보는 날이 없고, 사파나 마교의 무사들이 끼어들어서 분탕질을 치는 경우가 많다. 

소설의 배경이 무관이나 학원 같은 시설을 채택하고 있을 때는 분탕질보다는 주인공이 파란을 불러오는 식으로도 사용되는 빅 이벤트.

 

 

 

비무행比武行

-강해지기 위해 각지의 강자를 찾아 돌아다니며 그들과 비무를 하는 행위를 뜻한다. 이 과정에서 비무 상대가 죽는 경우도 있다. 보통 사람을 죽이는 비무행은 백인참百人斬이라고 하며, 그 위로는 천인참과 만인참이 있다고 한다. 

 

 

 

 

비파琵琶

-비파. 음공 전용 무기 가운데 하나.

옥소, 철적, 고금古琴, 고, 종과 함께 음공의 매개체로 사용되는 무기. 다만 메이저하게 이걸 다루는 등장인물은 보통 없고 악사들이 연주하는 악기로 가끔 등장하면 다행일 정도로 비중이 현저히 떨어지는 무기. 사실 고금, 옥소, 철적이 음공 매개체로 분량을 다 해쳐먹기 때문에 생긴 일이다.

타원형의 열배를 반으로 쪼개어 속을 파내고 그 위에 뚜껑을 씌워 현을 대어 만든 기타에 가까운 악기. 고대 중국의 기타 포지션에 들어가는 악기로 구무협이든 신무협이든 현대무협이든 비파를 사용하는 레귤러급 등장인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비표飛鏢

-수리검. 표창이라고 흔히 알고 있는 그것이지만, 비표는 검형 수리검이다. 다만 일반적인 검형 수리검에 비해 짧고 휴대하기 편하도록 개량이 이루어져 있다. 

 

 

 

비황석飛蝗石

-메뚜기나 풀무치의 형상을 닮은 돌. 정확하게는 그 형상을 본뜬 당문 비전의 암기.

 

 

 

 

-사 항목

 

 

사검絲劍

-사람도 베어낼 정도로 예리한 실. 기문병기.

상대가 알아채지도 못할 정도로 얇고 예리한 실이기 때문에 이걸 미리 설치해둔 곳으로 유인해서 상대를 작살내버리거나 썰어버린다던가 하는 식으로 쓸 수도 있지만, 보통은 이거 쓰는 놈들은 무슨 바람의 화신이라도 되는지 사람 작살내는 검풍 같은 걸 펑펑 쏴댄다.

보통 이걸 만지는 놈이나 쓰는 놈도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엄청나게 섬세하게 다루거나 손이나 팔자체를 강철처럼 만들어서 이거에 안 베이게 조치를 하고 쓰기 마련이며, 특수한 심법으로 실에 걸리는 내공의 성질을 바꾸는 등의 기법도 쓴다.

다루기가 엄청나게 까다로운 무기.

 

 

 

사공세가司公世家

-마이너 무림세가 중 하나. 드물게 등장하는 편이지만, 그다지 비중은 없다.

전생검신에서 사공린과 함께 사공세가가 등장하지만 비중은 공기. 수많은 무림세가 가운데 하나에 지나지 않고 메이저도 아니기 때문에, 따로 대우 받는 것도 없다.

흔한 공기 비중의 무림세가 가운데 하나.

 

 

 

 

사도세가司徒世家

-마이너 무림세가 중 하나. 사공세가보다도 등장이 적은 편. 

정확하게는 사도씨를 사용하는 등장인물은 나오나 사도세가 자체는 등장하지 않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 환영무인, 십전제, 파멸왕으로 이어지는 우각의 십지신마록에서 악역 집단인 마해의 책사 역할을 하는 사도광천이라는 등장인물이 등장한다.

 

 

 

 

사량발천근四量發千斤

-차력미기에 해당하는 무공. 말하자면 기예에 가깝다.

넉 냥의 힘으로 천근의 힘을 발휘한다는 개념으로, 적의 힘을 역이용해서 오히려 상대에게 더 큰 피해를 입히는 기예이자 절예. 상대의 공격의 궤도를 틀어버리는데는 큰 힘이 필요하지 않게 때문에, 보통 이걸 쓰는 쪽은 유능제강으로 유명한 무당파 소속일 경우가 많다.

 

 

 

사마세가司馬世家

-소재지는 하북, 하남 일대. 사마의의 출생지가 하북성이란 말이 있다고 한다.

삼국지 시대에 조조의 모사로 활약한 사마의부터 시작해서 악역, 마교 등의 군사 역할을 자주 맡는 마교, 사파 세력의 두뇌 정도로 이미지가 굳어져 있다.

지략으로 유명한 제갈세가가 정파인 만큼, 사마세가 쪽은 마교, 사파 쪽에 두어 밸런스를 맞춘 듯. 지략으로 활약하는 가문이기 때문에 알려진 무공은 그리 많지 않다.

대표적인 무공은 무결검법無缺劍法, 뇌력검결雷力劍訣.

심법 뇌력심법雷力心法.

도법 심극일분도心極一分刀

장법 용혈구장龍血九掌, 보제천인장법普濟天印掌法

보법 용산무영보龍散無影步, 허무변환보虛無變幻步 등이 있다. 

 

 

 

 

사미승沙彌僧

-불문에 입문한지 얼마 안 된 어린 중. 불가십계를 받고 수행하는 20세 이하, 16세 이상의 어린 중을 말한다.

 

 

 

사복검蛇復劍

-뱀처럼 길게 늘어나는 검. 기문병기.

어떻게 되어먹은 원리인지는 모르겠지만 채찍처럼 쭉 뻗어서 그 궤적이 닿는 거리 안에 있는 모든 걸 작살내고 나선 아무렇지도 않게 주인이 손에 든 본체로 되돌아오는, 작동원리를 알 수 없는 미친 무기.

게다가 검이 늘어나는 궤도도 자유자재이기 때문에 연검만큼이나 상대하기 어렵다. 이게 검이야 뱀이야? 

 

 

 

사서삼경四書三經, 사서오경四書五經 

-유교의 근본과 원리를 담고 있는 가장 근본이 되는 책. 

사서는 논어論語, 맹자孟子, 대학大學, 중용中庸.

삼경은 시경詩經, 서경書經, 주역籀繹을 말한다.

오경은 시경, 서경, 주역에 예기禮記와 춘추春秋를 더한다.

 

 

 

사일검법射日劍法

-점창파의 독문무공이자 가장 대표적인 무공.

점창파의 문도는 검극이 좁은 형태로 찌르기에 특화되어있는 검인 협봉검狹鋒劍을 주 무기로 삼는데, 그런 특징이 생긴 이유가 바로 이 사일검법 때문이다.

영웅 후예后羿가 태양을 쏘아 떨어뜨렸다는 이야기에서 무공의 연원이 유래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점창파의 검은 찌르기로 시작해서 찌르기로 끝나며, 그중에서도 화려함 같은 것은 모조리 절제한 쾌속의 검으로 이름 높다. 

정반대로 점창파의 다른 검법인 회풍무류사십팔검은 화려한 환검의 극치. 한 문파에서 이런 양극성이 나타나는 이유는 알 수 없다.

 

 

 

 

사부師父

-말 그대로 주인공의 스승. 만약 주인공의 수련이 주로 그려지는 초반부라면 사부의 비중이 높지만, 주인공이 어느 정도 성장하여 하산하고 무림에 출도하게 되면 그 비중이 극도로 줄어든다.

수명이 얼마 남지 않은 사부라면 주인공에게 격체전력으로 자신이 평생 쌓아놓은 내공을 전해주고 잠자는 것처럼 죽는 것이 보편적인 클리셰. 사실 후에 사부를 등장시켜서 사부에게 비중을 더 줄 게 아니라면 그냥 죽여 없애는 게 다루기 편하다.

 

 

 

사술邪術

-주인공의 능력을 의심하는 악역, 또는 엑스트라들이 자주 내뱉는 대사. 주인공의 무력을 믿지 못하거나 주인공의 무공이 그들의 상식선에서 벗어난 것일 경우 사술이라고 소리치며 손가락질 하는 건 흔한 클리셰다.

 

 

 

사자후獅子吼

-천룡선창과 함께 소림의 2대 음공 중 하나.

천룡선창이 항마범음, 범패항마의 힘을 지닌 것처럼 불가의 내공을 지닌 이가 시전하면 사마의 힘을 몰아내고, 그렇지 않은 자가 사용하면 커다란 소리를 통해 주위를 제압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구무협 시절에는 사자후, 창룡후, 장소성 같은 식으로 표현되었으며 주인공이 등장할 때 내는 BGM 정도로 사용되었다. 더구나 사자후가 소림의 음공이라는 설정도 종종 무시되는 경우가 많다. 그 정도로 널리 알려졌기 때문.

이우혁 작가의 퇴마록에서는 이현암이 사용하는 절기 가운데 하나로 등장한다.

 

 

 

 

사파邪派

-무림을 구성하는 삼대세력, 정사마 중 두 번째.

구성원과 문파, 클리셰 등이 그대로 정해져서 굳어져 있는 정파와는 다르게 사파는 정해진 클리셰가 거의 없다. 대표적으로 나오는 문파는 거의 대부분 천하사파연합, 사파흑도연합 같은 연합체 성격을 띈 무림맹과 비슷한 단체뿐이며 그 이외의 구성원은 항상 천차만별인 경우가 많다.

정파처럼 공명정대한 무공보다는 사술, 환술 같은 잡술에 능하고 무공 자체도 독특하거나 기이하고 괴이한 게 많아서 정파 엑스트라들이 상대할 때 엿먹는 상대들이기도 하다.

사파의 특징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꼬우면 이기던가. 마교가 강자존의 세상이라면 사파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승리하는 것이 미덕이다.

주인공이 사파 출신인 경우 인간이 덜된 놈일 경우가 많고, 그의 사부는 괴팍한 미친놈인 경우가 대다수다. 수단 방법을 안 가리기 때문에 모래뿌리기, 몰래 독 쓰기, 상대랑 붙기 전에 산공독 써서 내공 못 쓰게 만들기 등등 온갖 치사한 수법은 다 쓴다. 이런 사파 특유의 수작 부리기를 흑수黑手, 검은 손이라고 한다.

 

 

 

삭朔 

-창의 한 종류. 마상창이며, 일반적인 창보다 길이가 한참 긴 것이 특징.

기병용이며 그 길이가 너무 길고 무거워 한손으로 제대로 다루기 어려웠으므로 어깨에 끈을 걸어 무게를 분산시켰다. 총 길이는 1장 8척, 시대에 따라 오차가 약간 존재하기는 하지만 이거 4미터가 넘는 무식한 창이다.

워낙 무거워서 휘두르기는커녕 한쪽 어깨에 끈을 걸고 한손으로 고정하여 말의 달리는 힘을 이용해 상대를 공격하는 식으로 썼다.

 

 

 

산鏟

-기문병기의 일종.

삽처럼 생긴 날과 월아가 양 끝에 한쪽씩 부착되어있는 물건. 수호지의 노지심이 사용하던 방편산도 이 산鏟의 일종이다.

월아산은 삽처럼 생긴 날을 떼어버리고 월아만 남겼으며, 끝에 창날 같은 부분인 준을 달았다. 양끝의 날을 이용해 찌르거나 베는 식으로 사용하며 승려들이 주로 사용하여 선장禪杖이라 달리 부르기도 한다.

 

 

 

산동악가山東岳家

-소재지는 산동성 동평.

산동 지방의 패주로 군림하는 무림세가. 황보세가나 진주언가처럼 메이저와 마이너 사이를 오가는 세가 가운데 하나다. 정작 웃기게도 악비는 하남성 출신이고, 악왕묘 역시 하남에 있으며, 악비의 후손 역시 하남성에 살고 있다.

궁귀검신에서 상당한 비중으로 등장한 바 있지만 상대가 을지가문이어서 그런지 탈탈 털렸다.

남송시대의 명장인 악비를 가문의 시조로 한다. 군문과 연관이 깊으며, 대부분의 무공은 군졸들을 가르칠 때 악비가 창안한 것이란 설정이 붙는다. 악가창법과 악가산수 등의 무공이 유명하며, 응조권과 응조수 등의 무공에도 능하다.

대표적인 무공은 악가창법岳家槍法, 악가산수岳家散手.

심법 봉황신공鳳凰神功, 열화비상신공熱火飛翔神功, 묵천암뢰신공墨天暗雷神功.

창법 봉황비상창鳳凰飛翔槍, 묵운섬전창墨雲閃電槍, 비화창飛火槍, 암천화광창暗天火光槍

권법 봉황신권鳳凰神拳

장법 봉황비천장鳳凰飛天掌, 열화장熱火掌

조법 섬전곤천조閃電崑天爪

수법 봉황조풍수鳳凰條風手

지법 봉황지鳳凰指

경공 봉황비상보鳳凰飛翔步, 묵뢰섬전신법墨雷閃電身法, 흑뢰열화신법黑雷熱火身法, 묵천묵뢰보墨天墨雷步 등이 있다.

 

 

 

산공독散功毒

-내공을 새어나가게 하는 종류와 내공을 쓸 수 없게 하는 작용을 하는 독을 통틀어 이르는 말. 전자의 종류는 신선폐, 후자의 종류는 군자산 부류로 분류된다. 일단 먹고 나서 증상이 바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알아차리기 어려우며, 음식물 따위에 타서 흡입할 경우 급작스럽게 독기가 발작해 내공이 전폐되거나 내공을 잃어버리고 급격하게 힘을 잃어버리는 등 고수를 무력화시키는 수단으로도 등장한다.

 

 

 

산공분散功粉

-이름 그대로 내공을 흩어버리는 분말가루. 산공독의 일종이다. 다만 가루 형식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보통 술이나 차에 타서 먹여 약효를 발휘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살수殺手

-암살자. 어새신. 돈을 받고 사람을 죽이는 살인청부업자, 말하자면 살인의 프로다. 

아무리 암살자들이 뛰어나다고 해도 정면승부에서는 상대가 안 되기 때문에 지나가는 잡졸 1처럼 쓰고 버려지는 경우도 많다.

주로 등장하는 단체는 살막 같은 곳이며, 작품마다 다양한 살수 문파가 등장하기 때문에 공통적인 특징만을 꼽자면 이들과는 만나고자 해서 바로 찾아가 만날 수 있을 정도로 허술한 집단이 아니라는 것이다.

살수집단은 그 은밀함과 은닉성에 있어서 최고의 집단이어야 하기 때문에 이들을 만나고자 한다면 찾아가 만난다고 하기보다는 이들과 접선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곳에 가서 자신의 의사를 비추고, 오히려 살수집단 쪽에서 찾아와 만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마교나 주인공쯤 되면 그런 거 없고 닥치고 쳐들어가서 대장 나오라고 깽판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삼청三淸

-태청太淸, 상청上淸, 옥청玉淸.

무당파의 무공에 자주 붙는 이름이며, 도가의 용어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삼청은 각각 도교의 최고위 신들을 가리킨다.

옥청은 원시천존元始天尊, 상청은 영보천존靈寶天尊 또는 태상도군太上道君, 태청은 도덕천존道德天尊 또는 태상노군太上老君을 각각 가리킨다. 

 

 

 

 

삼매진화三昧眞火

-내공을 통해 일으키는 불꽃. 화염 계통, 양강 계열의 불꽃과는 경우가 다르다. 오로지 순수한 내공을 통해서 일으키는 불꽃이며, 내공 운용의 섬세함을 알려주는 지표이자 이 기술의 사용자가 고수라는 것을 알려주는 지표 가운데 하나.

체내의 양기를 손 끝에 집중시키거나 장심, 즉 손바닥 가운데에 집중시켜 불길을 뿜어내는 기술. 그냥 양강 계열 무공을 익혀서 내뿜는 불꽃하고는 다른 내공의 정화이기 때문에 태울 것만 가볍게 태우고 순식간에 꺼진다. 심지어 잔불이 남지도 않는다.

 

 

 

삼재검법三才劍法

-하급 무공 중에서도 기초 중의 기초. 가로베기, 세로베기, 찌르기라는 심플한 구성의 무공.

주인공이 사용하지 않을 때는 그냥 건달패나 진짜 하급 무사나 사용하는 개쓰레기 무공이지만 주인공이 쓰는 삼재검법은 무슨 우주의 묘리가 담겨있고 천지의 정화를 담아서 쓰는 그런 무공이라는 거창한 설정이 따라붙으면서 천하무적의 검법으로 변모한다. 아니면 무엇이든 기초가 중요한 것이다! 라는 말과 함께 고급 검법도 작살내는 깡패검법이 된다.

이딴 게 어딨어 미친

 

 

 

삼십육계三十六計 주위상계走爲上計

-강적을 만나거나 곤경에 처했을 때는 맞대응하거나 맞서기보다는 회피하거나 떠나버리는 것이 낫다. 전략적 후퇴를 해야 할 경우에 사용한다.

 

 

 

상관세가上官世家

-마이너 무림세가 중 하나. 구무협 시절에는 제법 많이 보였으나, 신무협, 현대 무협에 이르면서 그 존재가 거의 소실된 무림세가 가운데 하나.

도혼상관세가刀魂上官世家. 검풍단목세가와 견주어지는 세가라고 한다. 상계에 뿌리가 깊은 가문으로, 분타는 은장銀莊, 향香은 표국驃國의 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고 할 정도로 건실한 세력을 갖추고 있는 가문. 

대표적인 무공은 광풍십팔도狂風十八刀.

도법 무극팔도세無極八刀勢

심법 일월신기공日月神氣公 등이 있다.

 

 

 

상단商團

-상인들로 이루어진 단체. 이 안에도 직급이 있다.

대방大房은 상단의 총책임자, 말하자면 경영자. CEO에 해당한다. 회장직.

도방都房은 상단의 부책임자, 사장직이며 경영을 도맡는다. 

대행수大行首는 상단 전 구성원의 진급, 퇴직, 상벌을 도맡아 관리하며 상단의 간부가 참석한 회의에서 과반수 이상의 찬성을 얻은 자만이 될 수 있었고, 중임이 금지되는 중요한 직책이다.

행수行首는 대행수를 보좌하는 직책이며, 하급 관리자 직책에 해당한다.

서기序記는 상행에 나가는 상단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을 기록하며, 행수를 보좌하는 직책.

사환使喚은 상단의 가장 말단 직위이다. 

 

 

 

상문봉喪門棒

-상문신이 들고 있다는 봉. 기문병기의 하나. 다만 기문병기라는 언급만 있지 어떻게 생겨먹었는지 묘사된 적이 없는 무기다. 봉의 형태인 듯 하고, 해골의 형상을 양 끝에 새겼다는 묘사가 있는 작품도 있지만 묘사가 잘 안 나온다.

 

 

 

상산조가常山趙家

-소재지는 하북 기주의 상산. 마이너 무림세가 가운데 하나.

삼국지 시대의 유명한 무장인 조운, 조자룡을 시조로 삼는 세가. 그렇기 때문에 조가창법으로 유명하다. 양가창법과 견주어지는 조가창법으로 유명하기 때문에 이 가문 출신들은 대부분 가문의 창법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다.

조운의 후예라 그런지 담대하고, 그 어떤 위기에도 굴하지 않는 정신력을 지녔다고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이런 설정은 작가 나름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바꿀 수 있다.

대표적인 무공은 조가창법. 

 

 

상피공象皮功

-외공의 하나. 상피라는 건 코끼리의 가죽이란 뜻이다.

코끼리의 가죽처럼 피부를 질기게 만들어 도검으로부터 상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하는 외공. 물론 급이 낮기 때문에 여전히 조문이란 약점을 갖고 있으며, 조문을 찔리면 격파당한다. 외공 특성상 내가중수법에 취약한 것은 덤.

 

 

 

쌍륙雙六

-주사위 노름. 도박의 한 가지. 악삭握槊, 상륙象陸, 육채六采라고도 달리 부른다. 중국에서 유래되어 백제에서 유행, 이후 일본으로 넘어가 스고로쿠가 되었다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쌍록雙鹿, 박륙博陸, 악소握塑, 십이기十二技, 육채六采, 선채選采, 육갑六甲, 장행長行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12개 ~ 16개의 말을 가지고 시작하는 것이 기본이며, 주사위를 굴려 나온 수만큼 말을 전진시켜, 자신이 가진 말을 모두 내보내면 이긴다. 윷놀이와 마찬가지로 상대의 말을 잡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잡힌 상대의 말은 다시 시작점으로 돌아간다.

 

 

 

서경書經

-중국 유교의 오경 가운데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사서. 중국 고대 국가의 정사에 관한 문서를 공자가 편찬했다고 한다. 주나라의 정치 철학을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기록한 최고의 자료.

우서虞書, 하서夏書, 상서商書, 주서周書의 4부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 요순시대, 하나라, 상나라, 주나라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서장西藏

-티벳. 흔히 새외라 일컬어지는 장성 옥문관 너머의 지역의 무림 세력을 가리키는 용어 가운데 하나. 홍모교, 황모교, 포달랍궁 등의 종파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대충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대표 문파는 포달랍궁. 티벳의 최고수는 달뢰대라마인 경우가 많다.

서장 최고의 고수는 대부분 포달랍궁 출신인 경우가 많고, 홍모교나 황모교는 비중조차 없는 경우가 많다.

 

 

 

서문세가西門世家

-무림세가의 하나. 그나마 인지도가 어느 정도 있다.

동방, 서문, 남궁, 북리의 사방세가 가운데 하나. 인상적인 출현은 묵향에서 등장한 서문세가이며, 그 덕분에 풍운전신에서 주인공의 가문으로 낙점되기도 하는 등 동방세가나 북리세가에 비하면 인지도가 제법 있는 편.

다만 각 매체마다 묘사가 전부 달라서 정해진 틀이 없는 건 똑같다. 등장하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제법 센 가문으로 묘사되고 화경급 고수를 배출한 가문(*묵향)으로 나오거나, 주인공의 가문(*풍운전신)으로 선택되는 경우도 있다.

메이저급인 남궁세가보다는 인지도가 떨어지기는 하나, 동방세가나 북리세가보다는 사정이 나은 편.

 

 

 

선우세가單于世家

-마이너 무림세가의 하나. 공기급 비중을 가진 가문 가운데 하나.

선우세가라는 이름이 어디서부터 나왔는지는 알 수 없지만 어느 순간 무협 소설에 조금씩 보이기 시작한 세가. 다만 무공의 연원도, 가문의 연원도 알 수 없다. 선비족으로부터 비롯된 것 같으나, 자세한 것은 불명.

대표적인 무공이 나오는 일도 없이 가끔 이름만 비출뿐인 그저 그런 무림세가.

 

 

 

 

섭선攝扇

-쥘부채. 기문병기의 일종.

일반적으로 무협지에서 선扇이라고 하면 이쪽을 가리킨다.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둥글부채와는 다른 종류. 웃기게도 고대 중국에서 선扇이라는 한자는 둥글부채를 가리키는 것이었다.

외모 가리는 치사한 무기이며, 이걸 쓰면 간지가 나기 때문인지 공인된 미남 포지션의 아군 캐릭터나 여캐가 주력으로 쓴다. 근데 철선이란 언급도 없는데 잘 찢어지지도 않는다. 이쯤 되면 내공은 무림의 만능물질이 맞다.

 

 

 

 

섭혼술攝魂術, 섭심술攝心術

-미혼술과 마찬가지로 사람의 정신에 간섭하는 기술. 미혼술이 사람을 홀리는데 특화되어 있는 최면술이라면, 이쪽은 사람의 정신을 파괴할 정도로 간섭할 수 있는 극악한 수법이다. 사람의 정신을 제어하며, 무의식까지 침범하여 특정한 행동을 각인시키고 기억을 지우기도 하는 등 사실상 무협에서 등장하는 정신간섭계 무공 가운데 최고봉이라고 할 정도의 수준을 자랑한다.

하지만 사람의 정신을 만진다는 특성상 사공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것을 눈으로 펼쳐 사람을 제압하는 기술은 섭혼안이라고 해서 안공眼功, 눈을 사용하는 무공으로 따로 분류된다. 

 

 

 

성동격서聲東擊西

-동쪽에서 소리를 내고, 서쪽에서 친다. 다른 행동을 통해서 상대의 주의를 끌고, 상대가 예측하지 못한 방면으로 공격을 가해 승리를 거두는 계책을 말한다.

 

 

 

 

설려총雪麗寵

-몸과 갈기가 하얀 백마의 일종.

 

 

설리총雪裏寵 

-온몸과 갈기가 하얀 백마의 일종.

 

 

세맥細脈, 전신세맥全身細脈

-기경팔맥이 보이지 않는 커다란 줄기라면, 세맥은 인간의 몸 곳곳까지 뻗치지 않은 곳이 없는 혈관을 가리킨다. 경맥이나 동맥처럼 큰 줄기가 아닌 미세혈관들을 가리키는 말이며, 세맥이 타통되었다 같은 표현은 이 세맥의 끝부분까지 즉, 전신으로 내공이 빈틈없이 닿게 되었다는 말이다.

보통은 이런 세세한 설정까지는 건드리지 않는 게 좋다. 머리 깨지니까.

 

 

 

색공色功

-구무협 주인공들의 필수코스. 

무협이란 장르에서 성적인 판타지를 책임지는 요소이며, 성적인 행위 전반을 매개로 삼고 있지만 그 전단계인 유혹 또한 색공에 포함되어 있다. 하위 개념으로는 이성을 유혹하는 기술의 전반을 가리키는 미염술, 미염공이 있다.

이성을 유혹하는 미염술, 이성의 성욕을 폭발적으로 불러일으키는 최음공催陰功, 그리고 상대와 정사를 나누며 기를 단련하거나 상대로부터 기를 빼앗는 기공술 따위가 색공의 진체.

상대의 기를 빼앗아 자신의 내공을 불리는 채음보양採陰補陽, 채양보음採陽補陰 따위가 색공에 속해 있다. 

90년대 이전의 한국무협은 무협지라기보다는 색협지, 소위 말하는 떡협지에 가까웠기 때문에 주인공이 색공에 대항할 기술을 알아야 한다면서 어지간한 색공의 고수를 복상사시킬 정도의 색공을 갖춘 경우가 많았다. 미친.

 

 

 

색마色魔

-말 그대로 섹스에 미친놈. 강간마. 겁탈에 미쳐서 여자를 덮쳐 강간하고 죽이거나 기혈을 다 빨아먹고 목내이, 미라로 만들어버리는 개쓰레기 새끼를 지칭한다.

참고로 주인공이 덮어쓰는 누명 중에 가장 더러운 누명이며, 억울한 누명이기도 하고. 그냥 아랫도리 지좆대로 놀리는 새끼 치고 좋은 꼴 못 본다는 반면교사에 해당하는 놈이 아닐까.

 

 

 

색목인色目人

-양산형 무협에는 등장할 일이 없는 인종. 보통 나오면 100% 여자인 경우가 많다. 보통은 금발벽안인 경우가 많고, 그나마 이런 색목인이 등장할 만한 지역은 새외의 북해에서 온 인간들 정도밖에 없다. 아니면 진짜 사막 건너서 온 파사국, 페르시아 출신이거나. 

 

 

 

시경詩經

-사서오경의 하나. 시문에 대한 것을 다룬 책.

중국 최초의 시문집이며, 공자가 문하제자를 교육할 때 주 왕조의 정치적 형태와 민중의 수용 태도를 가르치고 문학, 교육에 힘쓰기 위해 편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한 시대에 제시齊詩. 노시魯詩, 한시韓詩, 모시毛詩라는 네 종류의 책이 나왔지만 남은 것은 모시뿐이어서 모시라고 달리 부르기도 한다.

 

 

 

신검합일身劍合一, 검신합일劍身合一

-검술이 일정 경지에 다다르면 검과 몸을 하나처럼 여기는 경지에 이르게 되는데, 그것을 일러 신검합일이라고 한다. 구무협에서는 꽤 높은 경지처럼 여겨졌지만 신무협, 현대무협에 이르는 동안 사장된 개념.

이 경지에 이르면 검을 말 그대로 자기 수족처럼 부리는 경지에 이르게 되며, 이보다 높은 경지는 이기어검, 심검 같은 검술의 최고봉에 달한 경지가 대부분이다.

 

 

 

신검합일神劍合一, 검심일체劍心一體

-정신이 검과 하나되는 경지. 사실상 심검경心劍境에 발을 들였다고 보면 된다. 검과 자신의 정신이 연결되어 있기에 검을 생각만으로 움직이는 경지이며, 이것보다 더 나아가면 단순히 사람을 생각만으로 죽이는 의형살意形殺, 의형상인意形傷人의 경지에 이른다.

어검술의 극치, 심어검心馭劍의 단계에 해당한다. 

 

 

 

신강新疆

-대표 도시는 오로목제烏魯木濟.

신강 남부의 탑리목 분지 중심에는 탑극랍마간塔克拉瑪干(*타클라마칸) 사막이 펼쳐지며, 천산, 곤륜, 아얼진, 카라코람 등등의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는 지역.

청해 지역을 넘어야 갈 수 있는 곳으로, 청해성만 하더라도 새외로 취급될 지경인데 그보다도 더 밖에 있어서 무협에서 흔히 말하는 서역 지방에 발을 걸치고 있는 지방이다. 신무협, 현대무협 이전에는 십만대산이 아니라 이곳이 마교의 근거지였던 적이 있다. 

정확하게는 신강의 천산산맥이 십만대산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실제 십만대산은 중국 남단의 광동성, 광서성의 경계에  걸쳐 있는 거대한 산맥이다.

 

 

 

신물信物, 신표信標

-보통 문파의 장문영부를 뜻한다.

소림사의 녹옥불장, 개방의 타구봉, 십절죽부 같이 문파와 장문인의 권위 자체를 나타내는 문파에서 가장 중요한 보물이자 기물.

문파의 모든 제자들은 이 장문영부를 든 사람, 또는 장문영부를 통해 내려지는 명령에 절대복종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악당들에게 이게 넘어가면 애먼 주인공만 이거 찾으러 다니느라 엿 먹는 경우가 매우 많다. 그 사이에 들어오는 방해는 덤.

 

 

 

 

 

신비세력神祕勢力

-구무협부터 신무협, 현대무협에 이르기까지 계속되어 통용되고 있는 클리셰 중의 클리셰.

정사마로 대표되는 삼대세력 중에서 주인공이 마교, 마도 쪽 출신이거나 그쪽을 포용하는 쪽으로까지 표현되면서부터 마교 쪽을 적으로 삼기 부적합한 상황이 왔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등장한 세력. 

이름 그대로 실력을 행사하건, 아니면 무림의 일에 개입하건 비밀스럽게 이들의 입김이 닿아 있는 경우가 많으며 심할 경우에는 무림을 멸망시킬 지경까지 가거나, 무림을 거의 손에 넣고 천하제패를 외치기 직전까지 가는 등 꽤 유능한 듯 보이다가도 주인공 보정 한 방에 개작살나고 리타이어해서 주인공 영웅 만들어주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하는 놈들이다.

보통 정파든 마교든 이제는 글러먹은 악역으로 묘사되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이 새끼가 정파인지, 저 새끼가 마교인지 모호해지는 상황이 온 게 한국무협 상황이기 때문 대체재 쪽으로 각광 받으며 이쪽 출신인 놈들은 수단방법 안 가리고 주인공 엿먹이려고 드는 게 특징이다.

물론 주인공 보정에 작살나서 기연의 재료가 되던가, 주인공 고속성장의 제물, 주인공이 명성 떨치는데 일조하는데서 끝나고 끝에 가면 주인공 영웅화의 가장 큰 원인이 되는 머저리들이므로 큰 신경 쓸 필요 없다.

신비세력의 공통점을 꼽자면

1. 일단 주인공이 홀로 대적하기 어려울 정도로 강한 고수가 무수히 많다.

2. 세력이 커서 주인공이 혼자 깨부수기 힘들다.

3. 무림을 멸망시킬 정도의 경지에 이른 미친놈이 대장. 초반에는 주인공이 대적하기 힘들 정도로 그냥 세다.

4. 무림맹이고 마교고 다 스며들어서 내부 다 파먹다가 주인공에게 걸린다. 

5. 그리고 역설계당해서 개털리고 나중에는 자기 세력 밑천 다 털리고 주인공에게 대장이 죽고 세력 박살나고 끝난다. 

6. 와 해피엔딩! (feat.주인공)

등이 있겠다.

 

 

신선폐神仙廢

-산공독의 일종. 내공을 끌어올리기 전까지는 기미를 알 수 없는 것이 가장 큰 특징. 일단 내공을 끌어올리면 급속도로 잠복해있던 독기가 발작을 일으켜 내공이 새어나간다. 군자산은 내공을 사용할 수 없게 하지만, 이쪽은 내공을 아예 흩어버리는 게 특징.

 

 

 

심검합일心劍合一

-검심일체劍心一體. 검이 없어도 검법을 펼칠 수 있는 단계이며, 나뭇가지로도 명검보도를 두부 자르듯 자를 수 있다. 손에서 검을 버렸으나, 마음 속에 검을 품었으니 그 몸 자체가 이미 명검보도를 넘어서는 신검이란 의미. 

말하자면 진정한 심검의 경지에 해당한다.

이 경지에 이르렀으면 사실상 사람보다는 신선에 가까워진다. 

 

 

 

십단금十段錦

-면장綿掌, 태극검太極劍과 함께 무당파를 대표하는 무공 가운데 하나. 천하에서 가장 부드러우면서도 강맹한 장법. 또한 가장 파괴적인 장법으로도 이름 높다.

 

 

 

십만대산十萬大山

-마교의 총본산이 있는 산. 무협지에서는 새외, 즉 신강 지역의 천산 산맥 일대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기본이지만 실제 십만대산은 중국 남단의 광동성-광서성의 경계에 걸쳐 있는 방대한 산봉우리다.

곤륜산맥과 맞닿아있는 지점은 천산산맥 정도뿐이기 때문에, 곤륜파의 설정을 지켜주기 위해서라도 보통 신강 지역이 마교의 본거지인 경우가 많다. 실제 지명이 존재하는 십만대산과 무협 소설 속의 십만대산의 위치가 다른 것은 이 때문.

천산산맥 일대에 비정된 십만대산일 경우 마교가 정말로 죽자 살자 중원을 침공하는 이유는 참으로 심플한데, 이동거리가 더럽게 멀기 때문이다. 왕복하기 싫으면 죽어라 싸울 수밖에 없다.

 

 

 

십삼태보횡련十三太保橫練

-외공의 한 가지. 피부를 단단하게 할 수는 있지만, 내장을 보호하지 못해 내가중수법을 만나면 간단하게 파훼당한다. 금종조와 마찬가지로 치명적인 약점인 조문이 있다.

 

 

 

소환단小還丹

-소림이 비장하고 있는 이대성약 중 하나. 대환단과 함께 소림의 보물로 일컬어지며, 함부로 내어주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나마 대환단보다는 희귀성이 덜하고, 대환단은 소실되어도 이것의 제조법은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이것을 섭취하면 내공이 늘어나고 내상이 치유되는 영약 특유의 공능이 있다.

 

 

 

수궁사守宮砂

-여인의 팔목에 찍혀 있는 특수한 문양이나 문장을 의미한다. 아직 여자가 한 번도 관계를 한 적이 없다는, 말 그대로 생체기록 정보를 공개적으로 드러내는 일종의 인증 시스템. 한 번이라도 여자가 관계를 맺었다면 사라지고, 무림세가에서 혼약자의 정조를 드러내는 용도로도 사용하는 등 그냥 여자를 하등하게 여기던 시절의 잔재나 다름없다.

보통 제조 방법은 도마뱀에게 주사朱砂를 먹여서 기른 다음 죽여서 말려, 곱게 빻아 여인의 팔목에 붉은 점을 찍는다고 한다. 가끔은 인면지주 같은 영물에게 손목을 물리는 방법으로도 만들어내는 듯.

 

 

 

수검袖劍

-기문병기에 속한다. 말하자면 내공을 불어넣어서 빳빳하게 일어선 옷소매를 검처럼 사용하는 것인데, 이런 재질로 만든 옷은 옷 자체도 굉장히 질긴 경우가 많아서 방어력이 엄청나다.

무기가 손에 없어도 언제든지 옷에 내공을 먹여 검처럼 쓸 수 있기 때문에 기습적으로 상대를 제압하거나 방심한 상대를 쓰러뜨리는데 이만한 게 없다.

 

 

 

수갑手鉀, 수투手套

-말 그대로 손을 감싸는 장갑. 우리가 아는 은팔찌가 아니다.

물론 무림인들은 이딴 거 없이도 바위도 부수고 사람도 작살내고 대문도 박살내지만, 있으면 좋은 물건이다.

서양의 건틀렛 같은 방어구를 연상하면 좋지만 그것보다 훨씬 가볍고 튼튼하다. 손가락 마디에서 팔목까지 덮는 것, 손가락까지 드러내지 않고 전부 덮는 것, 심지어는 어깨까지 보호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와 디자인이 존재한다.

손을 덮는 덮개라는 의미로 수투手套라고도 쓴다. 보통은 당가의 인물들이 독물을 사용하거나, 독에 중독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손을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수노手弩

-손목에 차는 작은 노궁弩弓. 은닉이 쉽고, 손목 안쪽에 차거나 바깥에 차서 상대가 방심한 사이에 쏘아 죽이는 암기로 사용한다. 다만 크기가 작기 때문에 투사체를 큰 것을 사용하기 힘들어 가까이 근접해서 쏘거나 독을 바른 것을 사용해 상대를 무력화시키는 게 주된 용법.

 

 

 

수전袖箭

-일종의 다트에 가까운 암기, 기문병기의 일종. 

휴대하기 간편하고, 소매 속에 숨길 수 있어 암기로도 쓰인다. 다만 메이저한 무기는 아니기 때문에 이걸 사용하는 무공 따위는 알려진 게 없다. 등장빈도도 매우 적은 편.

소매 속에 은닉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암기로 적합하며, 용수철을 이용해 작은 화살을 상대에게 날려 치명상을 입힌다. 팔힘을 사용하지 않고 발사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큰 힘 들이지 않고 표적에게 치명상을 입힐 수 있으며, 그 사정거리는 100미터에 이른다.

단발형과 연발형이 있으며, 단발형은 단통수전이라고 하고 연발형은 발사할 수 있는 숫자에 따라 명칭이 다르다. 두 발이면 쌍통수전, 세 발이면 삼재수전, 네 발이면 사상수전이며, 여섯 발은 매화수전, 일곱 발은 칠성수전, 아홉 발은 구궁수전이라고 한다. 

화살 한 발이 1세트인 단통수전, 단발형과 달리 연발형은 화살 수가 곧 1세트였다. 사상수전이면 4발이 1세트인 것. 미리 장전한 것만 사용하는 게 아니라 예비도 준비하는 등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수중무검手中無劍 심중유검心中有劍

-심검이라는 경지를 나타내는 말. 심검이란 경지 자체를 나타내는 말로도 쓰인다. 해석하자만 손 안에는 검이 없어도 마음 속에는 검이 있다는 뜻. 검이 없어도 무공을 펼치는데 제약이 없어지는 등, 사실상 거의 무림인이 오를 수 있는 경지의 끝자락에 해당한다.

 

 

소簫

-퉁소. 음공 전용 무기 가운데 하나.

철적, 옥소, 고금, 비파琵琶, 고鼓, 종鐘이 대부분인 음공을 위한 매개체 가운데 하나. 사실 무기로 펼치는 음공은 이 세 가지 이외의 무기로 펼쳐지는 건 잘 안 나온다. 끽해야 소림의 사자후라던가 천룡선창 같은 떼로 고함을 지르는 음공이나 나오는 정도.

보통 쇳덩이로 만들어지는 피리와는 다르게 퉁소는 대부분 옥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특징. 근데 안 부서진다. 내구도가 정신이 나간 수준. 검이랑 맞대고 온갖 지랄발광을 다 해도 안 부서진다. 물론 주인공이 잡졸이 쓰는 퉁소 하나 뺏어다 한 곡조 불어주면 퉁소가 버티질 못하고 작살나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소림小林

-무림의 태산북두, 정파의 태두, 천년소림.

근거지는 숭산崇山.

구파일방하면 절대로 빠지지 않는 대표적인 문파. 무협에 나오는 온갖 불가무공의 근원이자, 천하공부출소림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중원 무공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한 문파.

달마대사가 가져온 무학이 이곳을 중심으로 중원 전역으로 퍼지며 사실상 무림이란 세계를 성립시켰기 때문에 그 중요도는 그 어떤 문파와 비교해도 딸리지 않는다.

정파의 기둥으로 생각되는 문파라 그런지 무당파와 함께 깨질 때는 정말 개박살이 난다. 천하의 악당이란 악당 놈들이 갈아마시려고 작정을 하고 있는 문파인지라 깨질 때는 정말 처절하게 박살나는 경우가 많다. 멸문당하는 경우도 있고 봉문하겠다는데도 몰살당하는 등. 취급이 안 좋다.

하렘 건설이 불가능하다는 불교 속성, 거기에 주인공 외모 디버프인 빡빡이 속성까지 있기 때문에 주인공이 이곳 소속일 경우 환속하거나 애초부터 속가제자일 경우가 많다. 그럴 경우에는 네놈은 도화살이 있어서 솰라솰라하면서 너는 속가로 남을 수밖에 없다 하고 복선을 깔아준다.

대표적인 무공은 백보신권, 나한권 등의 권각술과 나한진 같은 진법.

심법은 따로 알려진 게 없어 작품들마다 다르다.

 

 

 

소야옥사자마消夜玉獅子馬

-백마의 일종이며, 수호지에서 조개에게 바쳐지려다가 조개가 죽어 송강이 타게 된 말. 명마라고 한다.

 

 

소주천小周天

-대추천처럼 체내의 내공을 돌리는 걸 의미한다. 하지만 소주천으로 흡수할 수 있는 내공의 양은 한정되어 있고, 그 양이 그리 많지도 않기 때문에 그리 효율이 좋지 않다. 그래서 보통 경지에 든 이들이 오랜 시간 운기행공을 하다가 깨어나는 듯한 묘사가 있으면 그건 대주천을 돌렸단 소리다.

 

 

소흥주紹興酒

-샤오싱주. 중국 절강성 소흥 지방에서 생산되는 명주. 그래봐야 죽엽청에 밀려서 잘 안 나온다. 

 

 

 

송문검松紋劍, 송문고정검松紋古錠劍

-소나무 문양이 새겨진 검. 무당파에 소속된 도사들이 사용하는 전용 무기. 송문검이라고 나올 때도 있고, 송문고정검일 때도 있다.

 

 

 

송자주松子酒

-실백잣을 누룩가루에 섞어 빚은 술.

 

 

 

속가제자俗家弟子

-그 문파에 정식으로 입문해서 무공을 배우는 게 아니라, 문파의 본산이 있는 곳과 다른 곳에 자리를 잡고 해당 문파의 무공을 수련하는 제자를 말한다. 본래는 문파의 특성상 반드시 삭발을 하고 출가하는 아미파나 소림사 등에서 사용하던 말이었다. 지금은 구파일방쯤 되면 속가제자는 거의 반드시 있을 정도로 굳어진 클리셰.

속가제자는 문파의 무공을 일부 이어받고, 독립하여 다른 지역에 무관을 차리는 등 영향력을 끼치기 때문에 그 특성 상 완전히 무시할 수 없는 것 또한 특징. 이런 식으로 무관을 열고 제자를 받아들여 그 중 재질이 뛰어난 아이들은 본산으로 보내져 본산의 제자로 자라나기 때문에 구파일방은 속가제자가 차린 무관이나 표국 등의 뒷배를 봐주는 게 흔한 일이다. 

정식 제자가 아니기 때문에 문파의 진산무공을 이어받을 수 없고, 본산 제자와도 차등을 두는 등 꽤 홀대받는다. 다만,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 해당 문파의 대표임을 인정받고, 중요한 안건이 있으면 참석할 수 있는 권한 또한 주어지며, 문파의 위상을 측정하는 지표이기도 하기 때문에 홀대만 할 수 없는 존재이기도 하다.

 

 

 

 

승繩, 삭索

-밧줄. 마이너의 끝판왕에 가까운 기문병기.

승은 두꺼운 밧줄, 삭은 배를 댈 때 쓰는 동앗줄을 의미한다. 둘 다 무기로 쓰기에는 부적합하지만 내공을 머금은 밧줄은 그런 걸 무시할 정도로 무시무시한 무기가 된다. 

보통은 적을 포박하거나 조여서 제압, 또는 살상을 위해 사용한다. 이런 밧줄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은 봉신연의의 토행손이 사용하는 곤선승이 있다. 곤선색, 곤선삭이라고도 달리 부르는 물건이다. 

 

 

승표繩鏢 

-유성추처럼 수리검과 줄을 연결한 기문병기.

표창을 연결한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무림에서 상대에게 큰 상처를 입히기는 어려운 무기. 하지만 운용에 따라 채찍 끝에 칼을 단 것처럼 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또한 까다롭긴 마찬가지.

끝에 달린 표창은 손잡이가 없고 90% 가량이 날붙이이기 때문에 베거나 찌를 수 있다. 일반적인 무기와는 다르게 원심력을 실어서 휘두르는 무기이기 때문에 상대의 무기를 손쉽게 무력화시키거나 강탈하여 전투력을 상실시키는 식으로도 운용할 수 있다.

극 마이너 무기이기 때문에, 사실상 사료를 좀 뒤져보지 않는 한은 이런 거 쓰는 놈 없다.

 

승풍추랑昇風追浪

-경공의 일종.

바람에 올라 물결을 쫓는다는 말처럼 고급 경공으로 추정된다. 정확하게 어떻다는 묘사가 없기 때문에 단어에서 유추할 수밖에 없는 경공.

 

 

 

쇄겸鎖鎌, 쇄자겸鎖子鎌

-사슬 낫. 기문병기의 하나. 

낫의 손잡이 끝에 사슬을 달아서 길게 늘여 상대에게 던지거나 기오막측한 움직임으로 상대를 압박하는 등, 기괴한 움직임을 보이는 기문병기이기 때문에 상대하기가 보통 까다로운 게 아니다. 보통 낫과 다르게 사슬이 달려서 사슬로도 연계공격이 가능하고, 상대가 예측하기 힘든 궤도에서 공격이 날아든다는 묘사가 주를 이룬다. 정파 쪽에선 안 쓰고 보통 사파 쪽에서 쓴다.

 

 

신창양가神槍楊家

-소재지는 산서 지방. 양가창법은 유명하지만, 오히려 이 가문의 인지도는 바닥을 기고 있다. 어째서인지 잘 등장하지 않는다. 악가창법, 조가창법, 이가단창, 마가창법 등의 저명한 창법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유명한 창법이 태어난 가문인데도.

사실 그럴 수밖에 없는 게, 신창양가라는 지칭은 사용되기 시작한지 얼마 안 된 것으로 보인다. 이전의 수많은 무협지에서 양가창법이 나오면 보통은 그 사용자는 양가장이라는 작은 세가 출신으로 설정되었기 때문. 

신창양가란 이름보다 양가장이란 이름으로 더 많이 등장해서 인지도가 떨어지는 것.

창이란 무기 자체가 군과 많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군부와 연이 있다고 설정되는 경우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