겁나 참신한 이그노벨상


이그노벨상은 노벨상 시상식 1~2주 전에 (시상식 장소가 무려 하버드 대학교임) 발표하는 상이다.

엉뚱하지만 신기한 연구를 한 사람에게 주는 상임.




시상식에도 재밌는 부분이 있는데 만약 수상 소감이 1분을 넘을 경우 8살 남짓의 여자아이가 다가와서 “Please Stop, I am bored!(그만둬요, 너무 지루하다고요!)” 라는 말을 반복한다고 함. (재밌게도 뇌물을 줘서 발표 시간을 늘릴 수 있음)




수상 조건에는 2가지가 있다.

1. 다시는 할 수도 없고 해서는 안 되는 연구를 한 사람에게 준다.

2. 뭔가 웃기고 바보 같으면서도 생각할 거리를 줘야 한다.


그럼 이러한 이그노벨상은 어떤 연구들이 받았는지 알아보자.

 

1. 마이클 스미스

벌에 쏘였을 때 가장 아픈 부분이 어디인지를 연구해 2015년에 이그노벨상을 받음.

그의 연구에 따르면 가장 아픈 곳은 콧구멍, 윗입술

가장 안 아픈 곳은 머리, 가운뎃발가락, 팔 윗부분이었다고...



2. 툴리오 괴달루페

몸을 왼쪽으로 기울이면 사물이 작게 보인다는 것을 연구해 2012년에 이그노벨상을 받음.






3. 애너 윌킨슨

하품을 하면 공감 능력 때문에 하품이 전염되는 것을 연구해 2011년에 이그노벨상을 받음.





4.  아트라스 주오카스(리투아니아의 수도 시장임)


불법 주차된 메르세데스 벤츠 차량을 장갑차로 뭉개버려서 2011년에 평화상을 받음



5. 데이비드 후 

대다수 포유류의 오줌 누는 시간이 21초라는 것을 밝혀내 이그노벨상을 받음.




6. 구스타노 피조 

비행기 납치범을 낙하산에 묶어 경찰에게 보내는 방법을 고안해 이그노벨상 안전 공학상 부문에 뽑힘.




7.  캐서린 위트컴

임산부가 잘 안 넘어지는 이유가 여성의 척추가 남자와 다른 동물들보다 더 유연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연구로

2010년에 물리학상을 받음.


 8. 라파엘 리

접으면 방독면으로 쓸 수 있는 브래지어를 발명해 2009년에 이그노벨상을 받음.



9. 닉 스베슨 

20명 이하 사람들이 사진 찍을 때 밝은 곳에서는 사람 수를 3으로 나눈 수만큼, 어두운 곳에서는 2로 나눈 수만큼 사진 찍어야 한다고 주장해 2006년에 이그노벨상을 받음.


10. 이반 슈왑 박사

딱따구리가 두통을 앓지 않는 이유를 연구해 2006년에 조류학상을 받음.

그의 주장에 따르면 딱따구리가 나무를 쪼기 1000분의 1초 전에 눈을 감기 때문이라고.


11. 이장림 목사(휴거설 주장한 그 사람 맞음)


무려 50년 동안 인류 멸망의 날을 틀리게 예측했다는 이유로 2011년 수학상을 받음.


12. 문선명 통일교 교주 

2000년에 대규모 합동 결혼을 성사시켜서 경제학상을 받음.



13. 토머스 트워이츠 

가짜 염소 다리를 부착하고 알프스 초원에서 3일간 염소로 살아봐서 2017년 생물학상을 받음.


14. 한지원

컵의 윗부분을 잡고 걸으면 공명진동수가 낮아져서 커피를 쏟지 않게 된다고 주장해 2018년에 유체역학상을 받음.


15. 파르딘 마크 앙투앙 박사


그 유명한 고양이 액체 설의 주인공.

액체란 담는 용기에 따라 모양이 변하고 고양이도 마찬가지임으로 고양이 액체 설을 주장해 2017년 유체역학상을 받음.


15. 코오롱 소속의 권혁호

1999년 향기 나는 양복을 개발해 환경보호상을 받음.


16. 익명의 소비자


제조일로부터 54년이나 지난 햄을 먹고 멀쩡해 1992년에 영양학상을 받음.




17. 로버트 로페즈(겨울왕국 노래 만든 그 사람은 아님)

고양이의 귀 진드기를 자기 귀에 넣고 반응을 관찰해 1994년에 곤충학상을 받음.


18. 인도 케랄라농업대학교 소속 K.P. 스리쿠마

무려 인도코끼리의 전체 표면적을 수학적으로 계산해서 2002년에 수학상을 받음.



19. 미국 남부 침례부 교회

엘라바마 주에 사는 주민 중 몇 사람이나 지옥에 가게 될지를 수학적으로 계산해 2002년에 수학상을 받음.




20. 아일랜드 경찰청

아일랜드 경찰청이 '프라보 야르시'라는 교통법규 위반자에게 50차례나 범칙금 고지서를 발부해 2009년에 문학상을 받음.



공교롭게도 프라보 야르시는 폴란드어로 '운전면허'를 뜻한다고...



21. 익명의 연구진(사실 누구인지 못 찾겠음)

버려진 맥주병의 색깔과 모양 때문에 헷갈려서 비단벌레가 그 위에 올라가 교미를 시도한다는 것을 밝혀내 2011년에 생물학상을 받음. (실제 비단벌레 생태계에 큰 영향을 준다고...)


+

안드레 가임 - 2000년 당시 '자석을 이용한 개구리 공중부양'을 연구하여 이그노벨상[물리학상]을 받았음.그리고 2010년 그래핀 연구로 이그가 빠진 진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함.


제프리 밀러: 스트리퍼 수입과 배란일과 관계가 있음을 발견


도널드 엉거: 60년간 왼손가락만 접어 관절 꺾기(뚜둑 소리 나는 거)가 관절염과 상관이 없음을 증명.


이그 노벨 평화상 첫 수상자는 원자폭탄 개발자


벨라루스 대통령도 이그노벨상을 받은 적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