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은 무한하던 안하던 상관없음.

잘 알다시피 빅뱅으로 생긴 우리 우주는 팽창하고 있음. 

 

빅뱅은 140억년전에 일어난 사건이고  그래서 현재 지구에서 140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온 빛이 현재의 지구에 막 도착하고 있음.

그래서 흔히 "관측가능한" 우주는 직경이 140억 광년이라고 말함.

보통 우주의 크기라고 말하면 이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를 말함

 

그럼 지금 140억 광년의 관측가능한 우주 바깥에는 뭐가 있는가?

그냥 텅빈 공간인가? 아니면 공간조차도 없는 건가?

아니면 산타 할배가 아이들이 착한일을 하는지 나쁜짓하는지 매일 스토킹하고 있나?

무지개색 유니콘이 뛰어다니고 있나?

 

만약 앞으로 100억년이 더 흐르면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240억 광년 크기로 더 커짐.  즉 관측가능한 우주는 광속으로 커지고 있음.

그러면 우리는 이때까지 보지못한 더 많은 별을 볼 수 있게 되는가?

그건아님.

 

빅뱅으로 생긴 우주의 경계부는  빛보다 더빨리 팽창해서 이 240억 광년 바깥으로 

달아나 버리기 때문에 오히려 지금 보이는 별 중에서도 멀리있는 건 

240억 광년 크기의 관측가능 우주보다 더 멀어져 안보이게  됨. 

이 은하가 있는 우주의 팽창 속도 즉 지구에서의 거리와 속도의 비례 관계가 허블 상수 인 것임.

애당초 우주의 나이나 관측가능 우주의 크기가 바로 허블상수값에서 나온 것임. 

 

아니 빛보다 빠른 물체는 없다고 아인시타인이 말하지 않았나?

그건 맞음. 

그런데 그건 물질의 속도의 한계이지 시공간의 이동 속도가 아님.

우주의 팽창은 물체가 이동하는게 아니라 시공간 자체가 늘어나는 거라 

이건 속도에 제한이 없음. 그러니 광속보다 빨리 거리가 멀리질 수는 있음.

그러니 미래로 갈수록 볼수 있는 별의 거리는 확대되고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광속으로 팽창하지만 

그안에 들어있는  별의 수는 적어짐.

 

그러니 지금 140억 광년 거리 바깥에 있는 별은 앞으로도 영원히 

우주가 없어질 때 까지 기다려도 결코 그 빛이 지구에 도달할 수 없고 

그래서 영원히 우리가 볼 수 없기 때문에 관측이 불가능한 우주가 되는 것임.

그러니 관측가능한 우주 바로 바깥에는 빅뱅 이후 과거에 

 관측가능한 우주의 크기가 작았을 때  관측가능한 우주에 속했지만 

세월이 흘러가며 관측가능우주에서 빠져나간  은하나 물질들이 있을 것임. 

 

지금 그럼 은하나 별이 있는 우주 말고 우주의 시공간자체가 

얼마나 빠르게 확대되는가  하는 것은 아직 우리가 알고 있지 못함.

인기 있는 인플레이션 이론 에 따르면 빅뱅 직후에는 그속도가

빛보다 비교도 안되게 빠르게  확대되었다는 건 분명하지만 

지금도 확대가 계속 되는지 확대가 느려진거지 멈춘건지 현재로는 알 수 없음.

다만 시공간 자체가 빅뱅으로 부터 생겨난 건 분명하니 

시간이 유한하듯 시공간도 무한은 아닌 어떤 유한한 크기일 거라고 여겨지고 있음.

 

어쨋거나 시공간의 팽창이 딱히 멈추었다는 증거나  확대의 한계를 가져야 할 이유를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에 지금도 엄청난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고 여기고 있음.

물론 이에 대한 이론은 분분하지만 어느것도 증거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