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를 가장 많이 살린 과학자



프리츠 하버


- 독일 출신 화학자
- 노벨상 수상자
1909년
질소를 땅에 고정시키다
공기로 빵을 만드는 기적
인공 비료 발명


근대화 이후
위생, 의학 등이 발전해도
언제나 기근으로 굶어 죽는 인간들은 넘쳐났음


인류는 4000년간 농사를 지었고
농업 기술도 수천 년간 발전해서
콩을 이용한 자연 질소 합성이나
암모니아를 함유한 자연 비료 등
한정된 땅에 경작률을 최대한 올렸지만
한계가 있었음


전 지구의 땅에 농사를 지어도
인류의 인구 부양 한계치는 20억 명이 정설
그 이상은 아무리 분배해도 굶어 죽는다
- 맬서스 트랩



그 맬서스 인구론을 깬 것이
프리츠 하버임


공기 질소를 이용해
인공 암모니아의 합성 성공


땅에 질소가 고정되자



먼저, 
같은 면적 대비 농작물 수확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갔으며


소, 돼지, 염소, 닭 등 가축 역시
무한 사료 생산으로 고기 생산량 또한 늘어나며
인류는 굶주림에서 해방됨


그리고
똥오줌 등의 자연 비료를 안 쓰게 되니
인류의 고질병이었던
기생충에게도 해방되었음


또한 인공 질소의 합성법으로
자연 암모니아로 만들던 화약 또한
대량 생산이 가능해짐



하버는 독일의 애국자였음


1차 세계 대전에 돌입하자
국가를 위해 독가스를 발명함


전직 화학자였던
아내가 말렸지만 발명해 냈고
전장에서 독가스로 인해 2만 명이 순살 당했다는
소식을 듣자
하버의 아내는 자살함


1차 세계 대전 이후
대량 살상 무기 독가스를
금지하는 국제협약이 생김



하버는 큰 공을 세웠지만
얼마 후
독일에서 쫓겨나야 했음


유대인이었기 때문임




유대인 하버가 개발한 독가스는
유대인 600만 명을 죽임



화약의 대량 생산
독가스의 발명 등으로
많은 사람이 죽어 나갔지만


비료의 발명으로
1900년
16억 명이던 전 세계 인구는
80억을 돌파함


식량의 무한 생산으로 인한
인간의 무한 증가는 
수십억의 가능성을 낳았고


백 년 동안
19세기 이전
천 년을 집약한 것 같은
초스피드 고도 발전을 만듦




그리고 자연의 법칙을 벗어난
인류의 초고도 증가와 발전은
100년 동안
포화 고갈 오염 황폐를 거치며
동식물종의 30%를 멸종시키는 중이며
(지구 역사상 가장 빠른 멸종 단계)
끝내, 오존층을 파괴함




인류 종의 인구 자연 증가를
인공적으로 초월시켜
멸망으로 갈지
또 다른 무한동력으로 이어질지...


하버 프리츠의
스노우볼은
아직 굴러가는 중임



+

화학에 대해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여기 나온 새로운 암모니아 합성법은 어떤 원리로 합성되나요?


쇠구슬을 이용해 어떤 원리로 작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기존 하버-보슈법을 응용한거 같네. 

철 촉매에 질소를 흡착시키는 방법으로 쇠구슬을 계속 충돌시켜서 표면에 활성화된 철을 만들고 여기에 질소가 붙으면 그 이후는 하버-보슈법이랑 동일함. 

논문 대충 보니까 시간 대비 효율이랑 에너지 대비 수율이 별로 높아 보이지는 않네. 

그리고 이산화탄소는 수소 기체를 합성할 때 메탄을 사용하기 때문에 생기는 건데 이거랑 뭔 상관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공장에서 대량 생산되는 하버-보슈법을 대체한다기보다는 간단하고 안전하게(하버-보슈법은 초고온 초고압에서 진행되니까) 실온-대기압에서 합성되는 게 의의라고 보임


->

기존 하버-보슈법은 고온-고압 상태를 요구하기에 그 상태를 만들고 유지하기 위하여 에너지가 필요하고 그에 따라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고 규정한 듯 한데?


->

그런 거면 뭐 이해는 가네


근데 에너지 대비 생산량이 구리면 말짱 도루묵 아냐


->

아니지 기존 하버보슈법은 반응조건 달성을 위한 대규모 플랜트가 필수적인데 저 방식은 가성비가 좀 떨어지더라도 대규모 플랜트 투자가 필요 없다는 게 장점이지. 

예를 들어 소말리아에 기존 비료 공장을 짓거나 비료를 해상운송 하는 거 보다 저 반응을 이용한 소규모 시설을 만드는 게 경제적일 수 있다는 점이 핵심 같은데?


거기에 기존 수소연료전지에 수소를 순수수소나 메탄으로 공급해 왔을 건데 이제 암모니아도 선택지에 들어갈 만하고 태양광발전으로 저거 돌려서 암모니아 만들어뒀다가 수소 충전하는 식의 구상도 가능하지 않을까? 
근데 이런 용도라면 미국에서 개발한 바닷물에서 메탄 만들기가 나아보이는데 그건 내륙에선 못 쓰는구나




+ 관련 링크


100여년 만에 암모니아 새 합성법 개발…국내 연구진, '쇠구슬 충격' 활용 - 경향신문


100년 만의 신기술, 쇠 구슬 굴려 암모니아 만든다! - UNIST News Center


Mechanochemistry for ammonia synthesis under mild conditions - Nature Nano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