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셐챈 중간고사

실제로 1~3번에 내려고 했던 수록곡 문제임


출제하는 본인 스스로도 긴가민가해서 (1번이랑 3번 같은 문제 유형, 그리고 읽을 게 많다는 점)

반응 한 번 보려고 들고와 봄...

반응 안 좋으면 수록곡 부분 문제들을 아예 갈아 엎어 버리려고 함...


악곡은



※ 다음은 프로세카의 수록곡 중 하나의 가사이다. 보고 물음에 답하여라. (1~3)


涙が夜に溶けて 空が今日も遠くなる

나미다가 요루니 토케테 소라가 쿄-모 토오쿠나루

눈물이 밤에 녹아서 하늘이 오늘도 멀어져 가

未来じたように 暗闇ちている

미라이가 토지타 요-니 쿠라야미가 미치테이루

미래가 봉해진 것처럼 어둠이 가득해

あぁ、醜い心も 掠れそうな言葉も

아아, 미니쿠이 코코로모 카스레소-나 코토바모

아아, 못난 마음도 갈라질 듯한 말도

すべて見透かしたように 星が輝いていた

스베테 미스카시타 요-니 호시가 카가야이테이타

전부 꿰뚫어 본 것처럼 별이 빛나고 있었어

 

夜鷹のように高く 空を駆けて往けたら

[( ㉠ )노 요-니 타카쿠 소라오 카케테 유케타라

쏙독새처럼 높이 하늘을 달려나갔다면

綺麗だってされて 特別になれたのに」

키레-닫테 ( ㉡ ) 토쿠베츠니 나레타노니]

아름답다고 갈채받으며 특별해졌을텐데”

そう、いた目には 憧れしか映らない

소-, ( ㉢ ) 메니와 아코가레시카 우츠라나이

그렇게, 고개를 숙인 눈에는 동경밖에 비치지 않았어

かのいた地図じゃ 場所せない

다레카노 카이타 치즈자 토모루 바쇼와 사가세나이

다른 이가 그린 지도로는 빛나는 장소를 찾을 수 없어

あぁ、僕らの現状は いじらしくフラットして

아아, 보쿠라노 ( ㉣ ) 이지라시쿠 후랃토시테

아아, 우리들의 현재 상황은 애처롭고도 아찔해서

気を抜けば明日昨日になってしまう

키오누케바 아스가 키노-니 낫테 시마우

방심하면 내일이 어제가 되고 말아

これはそう 今日を諦めなかった故

코레와 소오 쿄오오 아키라메나칻타 유에노 스토-리-

이것은 그래, 오늘을 포기하지 않았기에 가능했던 이야기

風切羽響かせて 空を目指して

( ㉤ ) 히비카세테 소라오 메자시테

날개깃을 울리며 하늘을 향해

惨めになって嫌になったって

미지메니 낫테 이야니 낫탓테

비참해지고 싫어져버렸어도

輝いている夢を 叶える羽は

카가야이테루 유메오 카나에루 하네와

빛나는 꿈을 이루는 날개는

っくのうにえていた

톡쿠노 토-니 하에테이타

아주 이전부터 벌써 자라 있었어

吐き出す息が白冷めて 声も聞こえなくなって

하키다스 이키가 시라자메테 코에모 키코에나쿠 낟테

내뱉는 숨이 하얗게 식어 목소리도 들리지 않게 되고

がる体温が 夜空がすまで

모에아가루 타이옹가 요조라오 코가스마데

타오르는 체온이 밤하늘을 태울때까지

誰よりもっと もっと向こうへって

다레요리 몯토 몯토 무코-엗테

누구보다 멀리 멀리 저 너머로

羽ばたいた星の 一瞬を

하바타이타 호시노 잇슝오

날갯짓할 별의 한 순간을

あぁ、夜空はずっと待っている

아아 요조라와 즏토 맏테이루

아아 밤하늘은 계속 기다리고 있어

灯る日を、待っているずっとずっとずっと

토모루 히오, 맛테이루 즏토 즏토 즏토

빛날 날을, 기다리고 있어 계속 계속 계속

- Leo/need x 初音ミク, ステラ


1. 윗곡의 ㉠~㉤을 읽은 것으로 적절한 것은? [2.3점]

① ㉠: よだか

② ㉡: はまされて

③ ㉢: うつるいた

④ ㉣: けんじょう

⑤ ㉤: かざきりばね

 

2. 윗곡의 ⓐ~ⓔ 노랫말의 의미에 대한 분석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5점]

① ⓐ: 현재 화자가 처한 상황으로, 미래의 불확실성에 절망하고 있다.

② ⓑ: 자신의 미래를 밝히는 일은 자기 자신이 해야 한다.

③ ⓒ: 시간은 매우 빠른 것으로, 화자를 기다려주지 않는다.

④ ⓓ: 화자는 자신의 미래를 찾을 힘을 이미 갖고 있었으나 지금까지 눈치채지 못했다.

⑤ ⓔ: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자신의 미래를 갈망해야 한다.

 

3. 윗곡의 표현상 특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① 의인법을 사용하며 대상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② 선경후정의 방식으로 곡 내용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③ 도치법을 사용하여 곡의 내용을 강조하고 있다.

④ 반어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곡 내용의 깊이를 더하고 있다.

⑤ 먼 대상으로부터 가까운 대상으로 구상을 전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