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앱 붙들다가 GPS겨우 끄고 만듬.,  나머진 오후에

제주특별자치도 광역교통공사는 원래 제주항에 철도 전용 새 터미널을 만들고 제주항인근에 제주광역차량기지를 만들 계획이었으나 @래커형 철도운영주식회사의 수남선 제주연장 요청으로 인해 제주항허브 계획을 버리고 수남선확장계획을 새로 수립하였다 이에 따라 제주항을 이용하지 않고 제주공항 인근에 해저터널을 뚫어 제주광역차량기지로 이용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 광역1호선(CHEJU Wide area raliway 1)(CW1호선)은 당초 협궤로(한라산 횡단편의) 기획하였으나 수남선직결이 확정되면서 표준궤로 확정되었다 수남선직결과 차후 수남준고속철 직결을 위한 선로용량을 마련하기 위하여 전구간 복복선으로 준공되었다 차량과 운용전력은 본선인 수남선에서 가져온다 원래 현2호선보다 늦게 착공이 될 예정이었으나 래커형 철도운영주식회사의 요청으로 수남선 직결을 위해 최순위로 착공하여 1호선이 되었다   


 

전체모습 역이 10개이고 제주의 대표 종단노선



GW101: 제주국제공항역

Gw102: 지하상가역

Gw103: 제주시청역

수남선과 직결운행되는 역이다


GW104: 제주대학교 입구역

GW105: 국제대학교역


GW106: 성판악역


GW107: 토평역

GW108: 서귀포동문로터리역

GW109: 서귀포시청1청사역

GW110: 서귀포터미널역

 

아 너무 힘들다 나머지는 자고나서 오후에할게

 

GW1호선은 10개의 역으로 이루어져있다

GW101: 제주국제공항역(cheju int' airport) 제주국제공항 국제,국내선과 연결, 역번호가 1번인건 서쪽 연장계획이 없기때문, 현 제주도 최북단 역이다, 수남선 직결운행역

GW102: 전자상가역 기존의 지하상가를 역으로 활용하여 지하상가 출구를 지하철 출구로 활용하였다, 수남선 직결운행역

GW103: 제주시청 제1청사역 향후 GW2호선과의 환승을 위한 3단선(단선병열+단선) 플랫폼을 만들어 두었다 수남선 직결운행 마지막역이다 

GW104: 제주대학교 입구역 제주시 버스 허브인 제주대학교 근처에 있는역이다 제주대 등교에 사용된다 중산간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이용한다

GW105: 국제대학교역 국제대학교 등교, 중산간지역 거주민이용

GW106: 성판악역 한라산을 오르는 등반객들이 오가는역이다

GW107: 토평역 서귀포시 중산간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이용한다

GW108: 중문로터리역 서귀포시에서 버스 환승을 편하게 하기 위한 역이다 현재 대한민국 최남단 역이다

GW109: 서귀포시청 제1청사역 서귀포시청역이다 

GW110: 서귀포터미널역 서귀포시 버스환승을 편하게 하기 위한역이다 서귀포차량기지가 위치하고있다 향후 연장이 가능하다

 

이노선이 완공되면서 제주버스 281번이 폐지되고 수많은 버스노선이 변경되었다 과거 제주버스 281처럼 택배를 운송할 계획이 있으며 제주터미널-서귀포터미널 구간을 배달하던 281과는 다르게 해저터널을 지나 서울까지 택배를 배송하기 위해 래커형 철도운영주식회사와 협상중에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광역요금체계를 따르지 않는다 수남선과 직결이기 때문에 수남선의 요금을 따라간다 현재 해저터널 구간과 제주구간의 수남선요금은 협상중에있다

 

수남선 직결은 제주시청역 까지만 운행하기 때문에 제주시청-서귀포터미널 역구간은 선로용량이 남아도는데 이거 사용할 사람? 복복선이라 선로용량은 충분함

 

제주특별자치도 광역교통공사는 국가도, 주주도, 개인도 아닌 모든 시민의 것입니다 노선 변형/연장, 역추가, 역명변경등은 여러분의 의견을 받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