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에 야전이 벌어지면 그 형태는 대강 정형화되어 있었음


양군이 서로 조우한 뒤 그 군대의 특징을 잘 살리는 대열을 형성하고 적에게 접근해서 맞붙어 싸우는 것




그리고 로마군의 경우에도 그 전개는 비슷해서 진영에서 나와 특유의 체커보드식 지그재그 포진을 하고, 적에게 접근한 뒤, 각 백인대별로 마주한 적들에게 투창을 던지며 접근전을 펼치는 것으로 전투가 시작되었음





이런 전투 상황에서 사람들이 가지는 가장 큰 오해는 로마군이 사용한 타원형, 혹은 장방형 방패인 스큐툼을 보고 로마군이 방패와 방패를 맞대어 벽을 만든 뒤 그 사이로 검을 내지르며 싸웠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임


이런 식으로


보통 이런 밀집대형(피크노시스)은 팔랑크스처럼 방패벽을 만들고 창을 내지르며 적을 질량으로 밀어붙이는 전술(오티스모스)에 주로 사용됨


하지만 그 외견과 달리 스큐툼은 오티스모스같은 전술에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방패였음


팔뚝이나 어깨에 고정되어 체중을 싣고 밀어붙일 수 있는 아스피스(그리스 방패)와 달리 스큐툼은 가로로 놓인 손잡이를 쥐는, 즉 좀 더 방패를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싸움에 특화된 형태였기 때문임




방패가 적극적으로 다루는데 적합한 구조였다는 점, 그리고 사비스 전투 당시 카이사르가 휘하의 12군단에 '검을 더 잘 휘두를 수 있도록 간격을 넓히라'고 명령한 기록 등을 보면


실제로는 각각의 병사 사이에 못해도 1m의 간격을 두어 방패와 검을 이용한 각개전투가 수월하도록 하였을 것임


이에 대해서는 그리스 출신으로 당대 로마의 역사를 기록한 폴리비오스의 저술에서 135cm 정도의 간격을 두었다는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음





이제 본격적인 전투로 넘어가서, 흔히 고대 시대의 전투는 단위 부대의 병력이 한 덩어리로 적과 맞붙어서 싸우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움


하지만 폴리비오스의 저술에 따르면 실제 전투는 단위부대의 맨 앞 1~2열만이 본대에서 공간을 두고 돌격해나와 적과 접전을 펼친 뒤 돌아가는 것을 반복하였음





이 점으로 인해서 전투는 꽤 유동적이었음


돌격해서 싸우던 최전열의 병력이 적의 기세에 눌려 밀려나게 되면 서로 뒤엉키지 않고 싸울 여유 공간을 마련해주기 위해 뒤의 아군이 약간 물러났고


반대로 적을 밀어붙이면 너무 아군과 떨어졌다가 봉변을 당하는 불상사를 막도록 대열이 약간 전진해서 따라붙어 주었음


이런 식으로 전투가 벌어지는 영역이 후열의 병력에서 분리되는 것은 이들이 쓸데없이 피로나 사기 저하 등 전투의 직접적인 영향에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었고


돌격해서 싸우던 양측의 최전열이 복귀한 뒤 부상자나 지친 인원을 후열의 쌩쌩한 병사들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전투 효율을 끌어올림


그렇기에 이런 전투는 돌격과 접전 뒤, 양측이 욕설과 투창을 주고받다가 한쪽이 다시 돌격을 가하면서 양측이 다시 돌격과 접전을 벌이는 것을 몇 시간 동안, 둘 중 하나가 먼저 패주할 때까지 반복하기 일쑤였음





로마군은 각 병사들 사이뿐만 아니라 백인대와 백인대 사이, 코호르스와 코호르스 사이에도 충분한 간격을 두도록 하였음


이는 지휘관들이나 전령들이 명령을 내리고 전달하기 위해 전선을 뛰어다니며 아군 대열을 헤집지 않도록, 그리고 무엇보다 사기 저하로 패주하는 병력이 후방의 아군과 뒤엉켜 군대열을 무너트리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임


또한, 각 백인대 사이에 간격을 두면서 하나의 백인대가 무너지더라도 그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이 주변의 백인대를 잠식하고 사기를 떨어트리는 일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음





갈리아 전쟁기 등 로마군의 전투를 기록한 저술에서는 자주 코호르스 단위의 병력 운용을 묘사하곤 하지만 특이하게도 전투 상황에서 대대장이 코호르스를 지휘한 기록은 많지 않음



오히려 코호르스를 구성하는 6개의 백인대는 전투 상황에서 개별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인 편이었는데, 대대급 지휘가 없이 이런 유연한 기동이 가능했던 이유는 백인대마다 3명의 장교가 있었기 때문임



백인대장은 각 백인대에 소속된 80명(코호르스 프라이마(1대대) 소속 백인대는 160명)의 군단병을 지휘하여 돌격을 선도하고 병력을 독려하는 역할을 맡았음


옵티오라고 불리는 부백인대장은 백인대의 후열에 서서 사기가 떨어진 아군을 독려하고 설득해 다시 전투가 가능하도록 사기를 고양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기수는 백인대의 한가운데에 서서 대열을 유지시키고 부대가 무너졌을 때 아군이 다시 집결할 수 있도록 백인대의 구심점을 지정해주는 역할을 맡았음





이러한 장교진들의 존재로 인해 로마군은 적들에 비해 돌격을 더 자주, 더 강력하게 반복할 수 있었음


그리고 이는 흔한 통념과 달리 갈리아인들과 같은 야만족들이 족장들과 원로들의 지휘 아래 소부대를 구성해서 체계적인 돌격을 수행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로마군이 수월하게 이들을 제압한 원동력이 됨




체커보드식 포진의 2열로 깊숙하게 파고든 적을 후방 백인대 지휘관들의 판단으로 빠르게 포위해낼 수 있고


대기병전 상황에서 전위는 백인대장이, 후위는 옵티오가 인솔해 빠른 속도로 기수를 중심으로 한 밀집방진을 형성할 수 있었으며



전방의 백인대가 수적으로 열세에 놓여 불안정하다 싶으면 후방의 백인대장이 자의적 판단으로 자기 백인대 병력의 일부를 옵티오에게 맡겨서 파견하는 등 온갖 기상천외한 병력 운용이 가능했으니까




https://youtu.be/9hCbGJCee04?si=jwA2_ftFs_Tv8L0c

https://youtu.be/9hCbGJCee04?si=jwA2_ftFs_Tv8L0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