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상 이렇게 대놓고 병신이라고 몰아가는 짤들 뒤편엔 애지간하면 음해가 있었어 가지고 혹시 하는 마음에 함 찾아봤다.


This quote originated with a 17 November 1998 speech that Hillary Clinton (as First Lady) delivered at a conference on domestic violence in El Salvador. One of the central themes of Clinton's speech was the effect that war had had on that country (the Salvadoran Civil War had ended a few years earlier), specifically in regards to women and children. Clinton referred to women as the "primary victims of war" not just in the literal sense of being injured or killed themselves (as civilian non-combatants), but also as being left without the support and care of their male family members and seeing their own children suffer and die:

이 인용문은 1998년 11월 17일 힐러리 클린턴(영부인)이 엘살바도르에서 열린 가정폭력 회의에서 한 연설에서 비롯되었다. 클린턴 연설의 중심 주제 중 하나는 전쟁이 엘살바도르에 미친 영향(엘살바도르 내전은 몇 년 전에 끝났다), 특히 여성과 어린이에 관한 것이었다. 클린턴은 여성을 "전쟁의 주요 희생자"라고 불렀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민간인 비전투원으로서) 다치거나 자살하는 것뿐만 아니라, 남성 가족 구성원의 지원과 보살핌을 받지 못한 채 자신의 아이들이 고통받고 죽어가는 것을 지켜보는 의미에서도 마찬가지였다.


The experience that you have gone through is in many ways comparable to what happens with domestic violence. Women have always been the primary victims of war. Women lose their husbands, their fathers, their sons in combat. Women often have to flee from the only homes they have ever known. Women are often the refugees from conflict and sometimes, more frequently in today's warfare, victims. Women are often left with the responsibility, alone, of raising the children. Women are again the victims in crime and domestic violence as well. Throughout our hemisphere we have an epidemic of violence against women, even though there is no longer any organized warfare that puts women in the direct line of combat. But domestic violence is now recognized as being the most pervasive human rights violation in the world. Here in El Salvador, according to the statistics gathered by your government, 1 in 6 women have been sexually assaulted and the number of domestic abuse complaints at just one agency topped 10,000 last year. Between 25 and 50 percent of women throughout Latin America have reportedly be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당신이 겪은 경험은 여러 면에서 가정 폭력과 비슷하다. 여성은 언제나 전쟁의 주요 희생자였다. 여성들은 전쟁터에서 남편, 아버지, 아들을 잃는다. 여성들은 종종 그들이 알고 있는 유일한 집에서 도망쳐야 한다. 여성들은 종종 분쟁으로 인한 난민이 되며, 때로는 오늘날의 전쟁에서 더 빈번하게 희생자가 된다. 흔히 여성은 혼자서 자녀를 양육할 책임을 진다. 여성들은 또다시 범죄와 가정폭력의 피해자가 되고 있다. 우리 반구 전역에 걸쳐 여성에 대한 폭력이 만연해 있지만, 여성을 전투의 직접적인 전선에 배치하는 조직적인 전쟁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가정 폭력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만연한 인권 침해로 인식되고 있다. 이곳 엘살바도르에서 정부가 수집한 통계에 따르면, 여성 6명 중 1명이 성폭행을 당했으며, 지난해 한 기관에서 접수된 가정폭력 신고 건수가 1만 건을 넘어섰습니다. 라틴 아메리카 전역에서 여성의 25 내지 50퍼센트가 가정 폭력의 피해자가 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사실 굳이 번역하자면 '주요 피해자'라고 번역하는게 맞지 '1차적 피해자'라고 번역하는건 좀 의도가 다분하다고 해야될듯. 짤에서 인용한 문장이 나온 연설 자체는 1998년 11월 17일 엘살바도르에서 열린 회의에서 이루어졌다고 함.


글 전체의 맥락을 짚어보면 가정폭력의 심각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한 표현임.

가정폭력으로 인해 가족을 잃고 쫓겨나야 하는 사람들의 심각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여자들은 전쟁으로 인해 가족을 잃고 살던 곳에서도 쫓겨나야 했고, 가정폭력은 이와 같다.' 대충 이정도 뉘앙스로 얘기한거라 생각하는게 맞는듯.


연설 전문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음.

Untitled Document (archives.gov)



근데 노망들어서 헛짓거리하다가 트럼프한테 개처발린거 생각하면 딱히 쉴드쳐주고 싶진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