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군 인권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거의 매번, 맨 먼저 언급되는 사건으로,


1962년 7월 8일 육군 제15보병사단사령부에서


벌어진 최영오(당시 25세) 일병의 선임병 총기 살해사건이다.

군 위문공연이 예정돼 있던 그날,


최 일병은 연병장에 모인 같은 내무반 정방신 병장과 고한규 상병을 M1 소총으로 살해한


두 선임병이 최 일병의 연애편지를

상습적으로 뜯어보며 희롱한 게 발단이었다.

항의해도 소용이 없자


최 일병은 “사신 검열을 막아 달라”고 중대장에게 호소했고,


그 일로 최 일병은 중졸이던 정 병장과 고 상병의 눈 밖에 났다


서울대 천문학과 4학년 재학 중 18개월 단기 학보병으로

입대해,

3년 의무복무를 해야 하는 일반 병사들의 부러움과 미움을 받아오던 터였다.



범행 직후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다 제지 당한 최 일병은 ‘상관 살해죄’로

군법회의에 회부 되어 그 해 6월 사형을 선고 받았고,

이듬해 2월 대법원도 상고를 기각했다.



서울대 동문 등 각계의 탄원에도 불구,

63년 3월 18일 형이 집행됐다.

당시 보도에 따르면 처형 직전 유언으로 그는

“가슴에 붙은 죄수번호를 떼어달라”

말을 남겼다.



훈련병으로 강등된 그의 시신은 화장됐고,

당일 오후 전보를 통해 사실을 알게 된 그의

홀어머니(당시 60세)는 그날 밤 한강에 투신 자살했다.

‘피해자’인 두 선임병은 각각 일계급 추서돼

현충원에 묻혔다.


정방신의 묘지 정보

고한규의 묘지 정보


저 두놈한테 할말 추모글에다 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