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대 들어서부터 본격적으로 피부로 체감되기 시작한 기후변화가 오고 있어 각종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음

 

하지만 그만큼 각 나라와 기업들이 놀고만 있는 건 아닌데 (종이빨대말고) 근 몇년간 있던 굵직한 이슈만 확인해보자

 

 

 

 

 

 

<나무와 벌목에 대해 바뀌고 있는 패러다임>

 


(2020년) 마이클 셀렌버그 曰 

'벌목은 개도국의 경제성장에 필수이며 오히려 부조리한 선진국의 보호무역주의가 경제를 악화시켜 화전 등의 더 많은 탄소배출을 야기시켰다

오히려 규제 보다 경기를 활성화시켜 선진국과 함께 탄소중립을 실천할수있게 해야한다'

 

 

 


 

(2021년) 국립산림과학원

 

'나무는 30년까지 폭풍성장하면서 탄소를 흡수하지만 그 뒤론 흡수량이 적어지므로 벌목하고 다시 심는게 낫다'

 

'님들 그동안 한국이 녹화사업한다고 심은 리기다소나무랑 아카시아나무 탄소포집에는 별 도움 안되더라고요 ㅈㅅ ㅎㅎ;;'

 


공익기업 리빙카본

 

(2022년) "저희가 유전자조작해서 이파리 훨씬 더 많이 생기는 (53%) 나무 개발했습니다

 

근데 저희가 연구하다보니까 나무가 광합성 과정에서 당 사슬을 잘못만들면 버려지는 양이 좀 있더라고요?

 

이것도 자체적으로 재활용해서 더빨리 성장하고 탄소포집하게 품종개량했습니다 ㅎㅎ"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산림청 산하)

 

(2023년) '리빙카본이 유전자개량한 나무를 만들었다고?

 

그보다 저희가 찾아보니 팽나무랑 느티나무가 탄소흡수율이 개쩔던데 (년간68Kg) 굳이 왜래종 들이지말고 토착종 쓰십쇼'

 

 

 


<탄소포집>

 

미국 국립탄소포집센터

(2009) "님들우리가 보니까 탄소포집안하면 앞으로 저희 좆될거같은데요? 2025년까지 1톤 포집당 50달러 밑으로 끌어내려야됨"

 


 

헤얼룸카본테크

(2023년) "님들 우리가 톤당 10-50달러로 끌어내리는데 성공함 ㅎㅎ;;"

 

(세계의 주요 탄소포집기업도 톤당 100달러 근처 진입한 곳 많은상황)

 

 

 


"예정보다 빠르다니 개쩌네요 근데 기후변화도 생각보다 빨리 오고 있습니다 서둘러 착수해야하는..."

 

 

 

 

 

"잠깐"

 

 

 

" ? "

 

 




"너희의 노력, 감동했다"

 

 



애리조나주립대학

 

"맞습니다 더 지체할 수 없으니 여기서부턴 돈 부어서 규모의경제로 가야함 근데 님들 돈 존나많네요"

 

 

 



(서밋카본솔루션) 

 

"안녕하세요? 저희는 세계최대의 탄소포집 프로젝트입니다

 

탄소 포집할 시설을 짓기 시작해서 그냥 존나 많이 지었습니다 내년부터 탄소 다 뒤졌습니다"

 

 

 

'개쩌네요(존버는 승리한다) 그런데 용량이 얼마길래?'

 

 


"년 1200만톤"

 

 

 

"......"

 

"근데 그만큼 뽑고 어떻게 처리하게요?"

 

 

 


"ㄱㅊ 땅굴 다 파놓음"

 

 

 

 

 

<해양탄소포집>

 

 



MIT
 

(2023) '님들 저희가 보니까 바닷물이 대기보다 탄소농도 100배 많은데 덕분에 바다도 산성화되고있네요

 

조류가 광합성 많이하는거 알잖슴 땅위에서만 고생하지말고 그냥 여기서 탄소뽑으면 안됨?'

 

 



"????"

 

 


"하는김에 해수담수화도 좀 하고 니네 물 없다며"

 

 


"(시발 왜 그생각을 못햇지)"

 

 


캡츄라 스타트업

 

"저희가 해보니까 촉매필요없고 태양광만으로 되네요 개꿀 ㅎㅎ"

 




"바닷물에서 이산화탄소뽑아서 필요한건 쓰고 안쓰는건 심해에 처박을라고요 그러니까 투자좀해주셈 ㅎㅎ;;"

 

 

 

 

(해수탄소포집은 너무 이른소식이라 이 이상의 본격적인건 없는듯)

 

 

 

 

 

 

<한국의 탄소포집>

 

 

 

IEA: "사우스코리아 님들 왜이렇게 탄소배출량 많음??"

 

 


"엥 저희가요? 그럴리가 ㅎㅎ"

 

 



 


"이거보셈 GDP당 탄소배출량인데 중동 러시아 미국 호주 캐나다 빼곤 다 니네 아래임 

아무리 그래도 유럽중국일본보다 많은게 말이 됨?"

 

 


"??????"

 

 


하지만 사실 우리나라의 규모대비 탄소배출량은 전기쓰고 차몰고 다녀서라기보다는(그럴리가있나)

 

 

시멘트공업


철강


정유 

 

 

 

이 세가지 분야가 우리나라 탄소배출의 75%를 먹고 들어가는게 크다 (발전은 10%정도)

 

 

 

그래도 어쨋든 국제사회에서 놀려면 탄소중립을 하는 척이라도 해야하니

 

카본코(DL이앤씨 자회사)

탄소포집전문사 출범이라던가

 


 과기부 주도로 탄소포집사업을 밀고있는데 대부분 롯데케미칼이 끼여서 굴러가는 중임

 국내 탄소포집기는 2025년 이후부터 가동 예정

 

 



그리고 서해갯벌이 년간 이산화탄소 26만톤을 제거하는 만만치 않은 수준이라 앞으로 갯벌관련 규제가 빡세지지않을까 생각됨

 

 


참고로 증발법 해수담수화 분야에서 세계최고 기술력을 달리는 곳은 두산중공업인데

 

아직까지는 해수담수화 겸 탄소포집을 한다는 말은 못들어봤지만

 

중동지역의 탄소배출이 워낙 심하고 두산에너빌리티의 최대 담수화플랜트도 사우디에 있기 때문에

 

탄소포집이 세계적 대세가 된다면 흐름에 끼지 않을 수 없는 기업이 되지 않을까 생각만 하는중임

 

 

 

 

 

 


마무리 요약

 

1. 기후변화 이미 와서 못막는데 보기와는 달리 좆빠지게 구르고있음

 

2. 우리나라 GDP당 탄소배출량 상위권인데 산업특성이 그래서 어쩔수없음 그래도 탄소중립은 참여해야지

 

3. 가장 중요한건데, 지구온난화 억제가 외계행성 테라포밍보다 훨씬 쉽다

 

이미 현재 기술력은 돈 부으면 안될거 없는 정도까진 왔고 차근차근 준비되는중이다

 

마이클 셀렌버그가 말했듯 환경오염을 억제하기위해 인간이 죽을 필요 없고 오히려 준수한 경제활동으로 탄소중립에 참여하는것이 더 유익함

 

그러니 미래에 대해 너무 비관적으로 생각하지 말고 힘내서 살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