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의 수많은 국가에선


망접속료라는걸 받음



넷플 트위치 유튜브 등등

유명 플랫폼들이

자국 인터넷망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에


그 인터넷망 사용을 위한 망접속료를 받고 있음




근데 일부 인구가 많거나

선진국 국가에선 망안정화를 위한 명목으로


망접속료외에 망사용료를 따로 받음


다만 이건 일부국가이고

그마저도 LTE망이 안정되고

5G망도 도입되며 사용료는 점점 줄고있음



하지만 느그나라 통신사는

거꾸로 망사용료를 매년 증가시키고 있고



이미 넷플릭스에서 한번 논란이 된 만큼


한국 망사용료 너무 비싸서 서비스제한하겠다

요금 인상하겠다


이런 이야기가 나온만큼


모든 피해는 소비자가 겪고 있는 상황 ...

(웃긴게 느그나라 통신비가 전세계에서

물가대비 가장 비쌈 ㅋㅋㅋ 기본요금제가

기기값 제외 월 49달러라니 ㅋㅋㅋㅋ

미국에선 아이폰14프로 기기값 더한 요금제수준임)





심지어 정치인들은 통신사편 들어서

외국플랫폼의 그놈의 K-플랫폼 장악을 

막겠다며 망사용료 의무화 법안을 통과시키며

통신사들은 개꿀을 외치고 있는 상황이기에



유튜브는 그나마 구글 덩치 + 한국 안드로이드시장

점유율 덕에 ㅅㅂ새끼들... 하고 참고있지만



그냥 제공만 하는 넷플 트위치 디즈니플러스 입장에선

진짜 역겨울 수 밖에 없는 상황



이미 넷플 포함해서 저렴했던 이용료

올라간지 오래고



아예 트위치는 2022년에 ㅋㅋㅋ

1080P 송출을 중단하고

앞으로 720P로 송출하겠다 밝혔음



이에 해외 래딧에선

전쟁중인 러시아에서도 1080P 시청이 가능한데


한국은 도대체 어떤 나라...? 하면서 

웃음벨 ON 된 상황ㅋㅋㅋㅋ




기술은 발전하고

통신기술과 IT 모두 발전하는데


그놈의 병신같은 정경유착 땜에

느그나라만 전세계 유일하게 역행중 ㅋㅋㅋㅋ




애초에 시총 3할이자 전세계급 기업인

자국기업 삼성을

규제하는 병신 느그나라는


ㄹㅇ 망하는게 맞는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