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tablewidth=600><tablealign=right><table bordercolor=#c29f6d><colcolor=#000><#c29f6d><tablebgcolor=#fff,#1f2023><:> '''{{{+1 임진왜란 · 정유재란}}}[br]壬辰倭亂 · 丁酉再亂'''[br]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1592[br]Imjin War ||

||<:><#c29f6d> '''기간''' ||<-2> '''임진왜란'''[br][[1592년]] [[5월 23일]](음력 4월 13일)[br]~ [[1598년]] [[12월 16일]](음력 11월 19일)[br]'''정유재란'''[br][[1597년]] [[8월 27일]](음력 7월 15일)[br]~ [[1598년]] [[12월 16일]](음력 11월 19일) ||

||<:><#c29f6d> '''장소''' ||<-2> 평안도를 제외한 한반도, 만주 [[용정시]] ||

||<:><#c29f6d> '''원인''' ||<-2>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대륙 침략 야욕 ||

||<:><#c29f6d><width=20%> '''교전국''' ||<width=40%> 조선 [br] 명 ||<width=40%> 일본(도요토미 정권) ||

||<:><#c29f6d> '''지휘관'''[* †표는 전사, ‡표는 처형 혹은 옥사, +표는 병사. 조선 측 수뇌부의 관등은 개인의 상징적 관등이 있는 이순신, 류성룡, 권율을 제외하면 모두 1593년 1월 올라온 장계의 기준임.]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0.95em; text-align: left"

국왕 선조 [br]왕세자 광해군 [br]영의정/도체찰사 류성룡 [br]도원수 권율 [br]삼도순변사 신립 [br]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 [br]경상 우수사 원균 [br]전라 우수사 이억기 [br] 충청수사 권율 [br]강화전라절도사 최원[br] 경기도순찰사 권징[br] 창의사 김천일[br] 의병장 우성전[br] 양주방어사 고언백[br] 양근군의병장 이일[br] 여주경기순찰사 성영[br] 안성군조방장 홍계남[br] 직산절도사 이옥[br] 경상좌안동부순찰사 한효순[br] 창녕현의병장 성안[br] 영산현의병장 신갑[br] 경상우진주순찰사 김성일[br] 창원부절도사 김시민[br] 합천군의병장 정인홍[br] 의령현의병장 곽재우[br] 거창현의병장 김면[br] 함흥절도사 성윤문[br] 경성평사 정문부[br] 안변부별장 김우고[br] 조방장 김신원[br] 인제순찰사 강신[br] 순안절도사 이일[br] 평안좌방어사 정희운[br] 의병장 이주[br] 소모관 조호익[br] 용강현우방어사 김응서[br] 조방장이사명[br] 대동수군장 김억추[br] 황주좌방어사 이시언[br] 재령군우방어사 김경로[br] 연안부순찰사 이정암[br]

}}}}}}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0.95em; text-align: left"

태합 도요토미 히데요시[br] 관백 도요토미 히데쓰구[br] 1군대장 고니시 유키나가[br] 소 요시토시[br] 마쓰라 시게노부[br] 아리마 하루노부[br] 고토 스미하루[br] 2군대장 가토 기요마사[br] 나베시마 나오시게[br] 사가라 요리후사[br] 제3군대장 구로다 나가마사[br] 오토모 요시무네[br] 제4군대장 모리 요시나리[br] 시마즈 요시히로[br] 아키즈키 다네나가[br] 이토 스케타카[br] 다카하시 누로[br] 다카하시 모토타네[br] 시마즈 다다토요[br] 5군대장 후쿠시마 마사노리[br] 토다 카츠타카[br] 쵸소카베 모토치카[br] 이코마 치카마사[br] 하치스카 이에마사[br] 6군대장 고바야카와 다카카게[br] 고바야카와 히데카네[br] 다치바나 무네시게[br] 다치바나 나오쓰구[br] 츠쿠시 히로카도[br] 7군대장 모리 데루모토[br] 모리 히데모토[br] 제8군대장 우키다 히데이에[br] 나카가와 히데마사[br] 우키다 타데이에[br] 제9군대장 도요토미 히데카츠[br] 호소카와 타다오키[br] 수군대장 도도 다카도라[br] 구키 요시타카[br] 와키자카 야스하루[br] 가토 요시아키[br] 구루시마 마치후사[br] 구와야마 마사하루[br] 스가이 에몬쇼[br] 호리우치 요지오사[br] 스기와카 덴사부로[br] 와키자카 사헤에[br] 와타나베 시치에몬[br] 마나베 사마노조[br] [br] 이하 예비대[br] 10군대장 난쵸 모토키요[br] 오오타니 요시츠쿠[br] 기무라 시게코레[br] 오오다 카즈노리[br] 11군대장 아사노 나가요시[br] 오오타니 요시츠쿠[br] 기무라 시게코레[br] 12군대장 마에다 토시이에[br] 마에다 도시나가[br] 13번대 오카모토 시게마사[br] 히토츠야나기 가유[br] 하토리 카즈타다[br] 오다 노부카네[br] 14군대장 하시바 히데카츠[br] 이토 모리카게[br] 이바나 가즈마사[br] 센코쿠 히데하사[br] 16군대장 도쿠가와 이에야스[br] 다테 마사무네[br] 사타케 요시노부[br] 난부 도시나오[br]

}}}}}} ||

||<:><#c29f6d> '''병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text-align: left"

'''동원 병력'''[br]조선 188,000여 명[br]명 220,000여 명[br][br]'''임진왜란 참전 병력'''[br]조선 19,000여 명[br]명 92,100여 명[br][br]'''정유재란 참전 병력'''[br]조선 : 37,600여 명[br]명 : 117,000여 명}}}}}}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text-align: left"

'''동원 병력'''[br]470,000여 명[br][br]'''임진왜란 침공 병력'''[br]158,700여 명[br][br]'''정유재란 침공 병력'''[br]141,400여 명}}}}}} ||

||<:><#c29f6d> '''피해'''[* 임진왜란의 정확한 사상자 규모는 알 수 없다. 다만, 추정치는 자료에 따라 조선 측 사상자는 10만에서 100만, 일본 측 사상자는 2만에서 20만 이상으로 차이가 크다. 일반적으로 한국 측 자료에서는 조선의 인명피해를 크게, 일본 측 자료에서는 일본군 사상자를 낮게 잡는 경향이 있다. 자료마다, 심지어는 학자들마다 사상자 수가 다르니 참고할 것. ] || '''조선''' : 최대 1,000,000명[* 민간인 포함][br]'''명''' : 약 30,000여 명[br]'''[[조선인]] 피랍자'''[br]약 100,000여 명 || 20,000~170,000명 ||

||<:><#c29f6d> '''결과''' ||<-2> '''조명연합군의 승리''' ||

||<:><#c29f6d> '''영향''' ||<-2> 조선의 정치적 혼란 가속·사회경제적 기반 초토화[br]명나라의 쇠퇴와 [[청나라|후금]]의 성장[br]도요토미 정권 붕괴 및 [[에도 막부]] 수립 ||


복붙앙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