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행이 이달부터 기업금융지원 특별 공개시장조작(회사채나 CP를 담보로 그 담보가치 범위 내에서 기업에게 자금을 공급하여 통화량을 늘리는 정책)을 시행하고, 기존 양적완화 정책의 틀 안에서 회사채와 CP 매수액을 각각 10조엔씩 추가하고, 상장투자신탁과 부동산투자신탁을 두배(12조엔-1800억엔)로 늘리는 등 대대적인 금융완화에 나섰습니다. 재정정책을 보면 지난 4월 7일 발표한 아베 내각의 코로나 경제대책이 일본 GDP의 20% 규모인 108조엔(정부 재정지출액은 39조 5천억엔)의 사업을 편성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코로나 경제대책의 효과에 대해서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겠지만, 현재의 금융-재정정책은 일본(기업과 국민)이 코로나 사태에 따른 당면 문제를 해소하는 데는 어느 정도 유용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간 아베노믹스로 해결하지 못한 만성적인 수요 부족과 같은 일본 경제의 구조 문제를 장기과제로 미뤄놓을 수밖에 없게 된 점은 자명해 보입니다.


아베노믹스의 디플레 탈출이 끝내 실패하고 코로나가 중첩되면서 버블 붕괴나 리먼 사태 때와는 비교할 수 없는 전후 최대의 위기 국면으로 들어서고 있으며,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되어 금값 오르듯 엔화 강세가 재현된다면 '최악의 전망' 이상의 위기로 갈 가능성이 큽니다. 새 내각이 세계 불황의 틈 속에서 긴급경제대책을 얼마나 즉각적이고 실효적으로 실행에 옮길 수 있는지 주목해야 할 부분입니다. 현재로서는 코로나의 경제적 파괴력이 금년이나 내년 초 중에 백신 개발로 수습되고 2021년에는 도쿄 올림픽 개최(경제효과는 없음;) 등으로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낙관론도 존재하지만 전망은 그렇게 밝아 보이지 않습니다.


다만, 이번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글로벌 공급망의 디커플링 문제가 표면 위로 부상함에 따라 일본 사회 전반이 이른바 ‘차이나 플러스 원(China+1; 중국 외 지역에 생산기지를 하나 더 구축한다)’과 같은 정책을 어떻게 구체화할 것인지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는 점, 원격, 재택(원격진료, 온라인 교육)과 같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는 새로운 산업 육성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점은 플러스 효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