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후 경기 파주시 탄현면 동화경모공원에서 열린 고 노태우 전 대통령 2주기 추모식에서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추모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최 측인 ‘보통사람들의시대 노태우센터’ 고문 자격으로 추도사를 낭독한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고인은 시대 변화를 인정하고 대화와 타협으로 문제를 풀려 노력했다”며 “고인이 대통령으로 재임하던 시기는 우리나라 경제 성장 목표를 달성하는 동시에 소득 분배까지 이룬,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유일한 시기였다”고 회상했다.


이어 고인의 업적인 ▶북방외교 ▶1기 신도시 건설 ▶KTX 건설 등을 언급한 후 “우리나라가 선진국 대열에 진입할 수 있는 든든한 기반을 만들었고, 국민 통합을 추진하는 일에도 모범을 보였다”며 “고인의 빈자리가 크다”고 했다. 김 전 위원장은 노태우 정부에서 보건사회부 장관과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냈다.


이어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스스로 ‘보통 사람’을 칭하면서 담담한 자세로 역사의 큰 물줄기를 기꺼이 수용한 대통령의 유연한 정치는 오늘과 같은 갈등·양극화 시대에 커다란 귀감이 되고 있다”고 했다. 노 전 대통령의 첫 번째 북방외교 수교국인 헝가리의 새르더해이 이슈트반 주한 대사는 “전환기 북방외교에 나선 고인의 큰 뜻을 기억하겠다”고 했다.


중앙일보 정치부 기자 시절 노 전 대통령을 취재했던 박보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고인의 생애를 오비추어리 형태로 소개했다. 박 전 장관은 “1987년 6·29 민주화 선언은 그에게 절정의 순간이다. 그날 그는 현충사로 이순신 장군 사당을 찾았다. 그는 영정에 참배하면서 역사와 대화를 했다”며 “그 장면은 세상을 뒤집는 승부사만이 연출할 수 있다. 민주화의 거대한 변곡점이었다”고 했다.

원본보기

26일 오후 경기 파주시 탄현면 동화경모공원에서 열린 고 노태우 전 대통령 2주기 추모식에서 노 전 대통령의 장남 노재헌 동아시아문화재단 이사장,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국민의힘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 등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뉴스1


또 ‘타협과 경청, 기다림’이 “노태우식 민주화 실천 수단”이었다며 재임 시절 ‘물태우’라는 비판을 듣던 당시 노 전 대통령이 했던 발언과 메모 내용을 소개했다. 박 전 장관에 따르면, 노 전 대통령은 “나의 귀가 큰데 들으라는 뜻 아닌가. 보통 사람의 시대라고 하지 않았나”라며 메모에 ‘참·용·기’를 적었다고 한다. “참고 용서하고 기다린다”는 뜻이다.


이날 추도식에는 국민의힘 김 대표·윤재옥 원내대표, 대통령실 이진복 정무수석이 참석했다.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 노영민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 등 야권 인사와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 등 해외 인사도 다수 자리했다. 고인의 자녀인 노재헌 동아시아문화센터 이사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을 비롯해 김현철 김영삼재단 이사장, 김홍업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 등 전직 대통령 자녀들도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