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선 "팔레스타인 100년 전쟁" 라시드 할리디 저/유강은 역 | 열린책들 | 2021년 11월 05일 | 원서 : The Hundred Years‘ War on Palestine 라는 책이 번역됐음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04819346

한국에선 이런 책을 그대로 수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 책에는 문제가 있음


다음은 "이스라엘이 음모, 인종 청소 및 학살의 죄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하면서 전 세계 대학의 주류가 되었다. New Historians의 학장으로 여겨지는 베니 모리스(Benny Morris)는 1988년(그의 저서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의 탄생에서)부터 이 수정주의 역사를 위한 지적 기반시설을 제공해 왔다."는 평가(이스라엘 애국주의자들에게 비난을 받는)를 받는 (AVI BEKER, When history is flexible, JUNE 26, 2010 17:13, Jerusalem Post https://www.jpost.com/Christian-In-Israel/Features/When-history-is-flexible) 베니 모리스의 평가임






사람들은 종종 나에게 1980년대 후반에 내가 기여한 수정주의 이스라엘 역사학 같은 것이 팔레스타인 쪽에 존재하는지 물어왔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와 하마스가 장악하고 있는 이데올로기적으로 제한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영토에서도, 아랍 세계에서도 꽃을 피우지 못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팔레스타인 디아스포라, 서구의 열린 사회에서 일어날지도 모른다.때로는 주저없이 라시드 칼리디 (Rashid Khalidi)를 언급하고 지난 130 년간의 민족주의 투쟁과 시온 주의자들과의 대결에서 팔레스타인 인들의 기본 가정, 입장 및 행동에 의문을 제기하는 실제적이고 아카이브 기반의 역사적인 작업을 언젠가 만들어 낼 것이라고 제안했다.

People have often asked me if something like the revisionist Israeli historiography to which I contributed in the late 1980s exists on the Palestinian side. Alas, I would say, there isn’t any yet—and it certainly won’t blossom in the ideologically restrictive, authoritarian territories under Palestinian Authority and Hamas control, nor in the Arab world. Still, it might happen in the Palestinian diaspora, in the open societies of the West. Occasionally, hesitantly, I would mention Rashid Khalidi and suggest that he might one day produce real, archive-based historical work that questions the basic assumptions, positions, and behavior of the Palestinians during the past 130 years of nationalist struggle and confrontation with the Zionists.


1997년 시카고 대학의 중동 역사학 교수인 칼리디는 19 세기 후반과 20 세기 초 팔레스타인 민족 의식의 출현을 추적한 팔레스타인 정체성을 발표했다. 칼리디는 컬럼비아 대학교(현재 현대 아랍학에서 에드워드 사이드 의장을 맡고 있다)로 옮긴 후 철 케이지를 출간했다. 팔레스타인 정체성에서 그는 시리아 - 레바논, 요르단, 이집트에 살고 있는 아랍인들과는 다른 별도의 팔레스타인 아랍 정체성의 출현을 다소 인위적으로 제 시간에 되돌리려고 노력했다. 아마도 출처가 오래될수록 더 합법적이고 설득력 있는 주장이 국가에 대한 주장일 것이다. The Iron Cage는 영국 위임 통치 (1917-1948) 1948 년 전쟁 기간 동안 팔레스타인 민족 운동에 초점을 맞추어 팔레스타인 인들이 시온주의와의 전쟁에서 (지금까지) 패배하고 국가를 성취하지 못한 이유를 탐구했다.이 책에는 칼리디와 그의 저명한 가족 대부분이 항상 참여해온 팔레스타인 민족 운동에 대한 비판을 의미하는 자기 비판의 희미한 빛이 담겨있다.

In 1997, while a professor of Middle East history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Khalidi published Palestinian Identity, which traced the emergence of Palestinian national consciousness over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After moving to Columbia University (where he now holds the Edward Said Chair in Modern Arab Studies), Khalidi published The Iron Cage. In Palestinian Identity, he tried to push back in time, somewhat artificially, the emergence of a separate Palestinian Arab identity, distinct from that of the Arabs living in neighboring Syria-Lebanon, Jordan, and Egypt. Presumably, the older the provenance, the more legitimate and cogent are one’s claims to statehood. The Iron Cage focused on the Palestinian national movement during the years of the British Mandate (1917–1948) and the 1948 War, exploring why the Palestinians lost the battle against Zionism (so far) and failed to achieve statehood. The book contained glimmerings of self-criticism, meaning criticism of the Palestinian national movement, of which Khalidi and much of his distinguished family have always been a part.


실제로 1991~1993년 동안 칼리디는 요르단-팔레스타인 합동 대표단의 공식 고문이었고, 나중에는 (PLO) 팔레스타인 대표단이 마드리드에서 열린 중동 평화 회의와 이후 워싱턴 DC에서 열린 이스라엘-팔레스타인-미국 협상에서 고문으로 일했다. 흥미롭게도, 이 사실은 칼리디의 위키피디아 전기 어디에도 나타나지 않으며, 그의 다양한 책에 실린 칼리디의 짧은 전기에서 언급되지 않는다. 아마도 이 PLO 경력을 공개적으로 인정하면 신뢰할 수 있고 공정한 역사가로서의 이미지에 해를 끼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칼리디는 1982년 레바논 전쟁 당시 'PLO 대변인'으로 묘사되는 것을 항상 거부해 왔으며, 이 책에서도 계속 그렇게 하고 있다.그러나 팔레스타인에 대한 백년 전쟁은 자서전적인 실마리를 가지고 있으며, 그는 1982년 여름에 "나는 서방 언론인들의 비공식적인 출처로 활동했다"고 우리에게 말한다. 이 책에는 칼리디의 사진도 실려 있다.

Indeed, during 1991–1993, Khalidi was an official, presumably salaried, advisor to the joint Jordanian-Palestinian delegation, later the (PLO) Palestinian delegation, to the Middle East peace conference in Madrid and during the subsequent Israeli-Palestinian-American negotiations in Washington, DC. Interestingly, this fact nowhere appears in Khalidi’s Wikipedia biography and goes unmentioned in the short biographies of Khalidi featured in his various books. Presumably, publicly acknowledging this PLO attachment might have harmed his image as a credible, impartial historian. Similarly, Khalidi has always rejected being described as a “PLO spokesman” during the 1982 Lebanon War, and he continues to do so in this book. However, The Hundred Years’ War on Palestine has an autobiographical thread to it, and he does tell us that in summer 1982, “I acted as an off-the-record source for Western journalists.” The book also features a photo of Khalidi “helping out at a [PLO] press briefing at the Commodore Hotel, Beirut,” at least according to the caption.


칼리디의 팔레스타인 민족운동에 대한 비판은 그의 초기 저서 "The Iron Cage"에서 팔레스타인 지도부의 실패, 특히 1930년대와 1940년대 운동의 수장인 하즈 무하마드 아민 알-후세이니, 그리고 여러 개의 개방을 이용하지 못한 그들의 최악의 실패에 대해 역사는 팔레스타인의 정치적 열망을 실현시키기 위해 그들에게 여유를 주었다. 팔레스타인과의 백년 전쟁에서 칼리디는 옛 팔레스타인 엘리트들에 대한 비판을 야세르 아라파트 (Yasser Arafat)의 PLO 지도력으로 확대했다. 야세르 아라파트 (Yasser Arafat)는 난민 캠프에서 출현하여 1960 년대와 1970 년대에 '명사'의 옛 엘리트를 대체했다.또한 그는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 (Gamal Abdel Nasser)와 안와르 사다트 (Anwar Sadat)에서 시리아의 아사드 (Assads of Syria)에 이르기까지 주변 아랍 국가들의 지도자들을 철저히 비난하면서 팔레스타인 인들과 그들의 목적을 위해 끊임없이 사용하고 조작하면서 팔레스타인 인들을 효과적으로 돕지 못했다. 1947 년과 2019 년 사이의 중요한 시점에서.

In his earlier book, The Iron Cage, Khalidi’s criticism of the Palestinian national movement centered narrowly on the failings of the Palestinian leadership, especially the head of the movement during the 1930s and 1940s, Haj Muhammad Amin al-


Husseini, and on their abysmal failures to exploit the multiple openings history had afforded them for realizing Palestinian political aspirations. In The Hundred Years’ War on Palestine, Khalidi expands his criticism of the old Palestinian elites—from which he springs—to the PLO leadership under Yasser Arafat, which emerged from the refugee camps and replaced the old elite of “the notables” in the 1960s and 1970s. In addition, he thoroughly lambasts the leaders of the surrounding Arab states, from Gamal Abdel Nasser and Anwar Sadat of Egypt to the Assads of Syria, for constantly using and manipulating the Palestinians and their cause for their own ends, while failing effectively to help the Palestinians at crucial junctures between 1947 and 2019.


그러나 궁극적으로 팔레스타인에 대한 백년 전쟁은 수정주의 역사가 아니며 칼리디는 팔레스타인의 새로운 역사가가 아니다. 사실 이 책은 전통적인 팔레스타인 서사의 또 다른 다소 과장된 암송으로 밝혀졌다. 그것은 팔레스타인 인들에게 닥친 모든 것에 대한 서구와 시온 주의자의 죄책감이며 팔레스타인 무죄에 대한 열정적이고 개인적인 주장이다. 그것은 19 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칼리디 일족의 사진과 일화로 장식되어 있다.칼리디는 1982년 이스라엘이 베이루트 서부를 포위하고 포격했을 때 아내와 어린 두 아이를 데리고 끔찍한 경험을 했다.

But, ultimately, The Hundred Years’ War on Palestine is no revisionist history, and Khalidi is no Palestinian “new historian.” In fact, the book turns out to be yet another somewhat turgid recitation of the traditional Palestinian narrative, its mantras being Western and Zionist guilt for everything that has befallen the Palestinians and a passionate, personal assertion of Palestinian innocence. It is studded with photographs and anecdotes of the Khalidi clan going back to the 19th century. One of the more striking protracted anecdotes is Khalidi’s description of his harrowing experiences, with a wife and two small children in tow, during the Israeli siege and shelling of West Beirut in 1982.


칼리디의 결론은 시오니즘이 1964년 팔레스타인 국가헌장에 명시된 교리인 '식민주의' 기업이라는 것이다. 이 원죄로부터 시오니즘의 모든 폐해와 팔레스타인의 모든 고통을 낳는다. "팔레스타인과의 백년 전쟁 : 정착민 식민지주의와 저항의 역사", 1917 년에서 2017 년까지의 부제는 모든 것을 말해줍니다.실제로 칼리디는 시오니즘이 '고전적인 19세기 유럽 식민지 모험'이라고까지 말한다.

Khalidi’s bottom line is that Zionism is a “colonialist” enterprise, a doctrine enunciated in the Palestine National Charter of 1964. From this original sin stem all the evils of Zionism and all Palestinian suffering. The subtitle of The Hundred Years’ War on Palestine: A History of Settler Colonialism and Resistance, 1917–2017, says it all. Indeed, Khalidi goes so far as to say that Zionism is a “classic nineteenth-century European colonial venture.” But is it?


식민주의는 일반적으로 제국주의 권력이 다른 나라에 대한 정치적 통제권을 획득하고, 그것을 아들들과 정착시키고, 경제적으로 착취하는 정책과 관행으로 정의된다. 어떤 객관적인 기준에 의해서도 시오니즘은 이 정의에 맞지 않는다. 시오니즘은 동유럽과 중앙유럽에서 온 절망적이고 이상주의적인 유대인들이 한때 '다른 나라'가 아닌 유대인들이 거주하고 통치했던 나라로 이민을 가서 그 나라에 대한 주권을 되찾으려는 운동이었다. 정착민들은 제국주의 권력의 아들이 아니었고, 정착 기업은 정치적으로나 전략적으로 제국의 모국에 봉사하거나 제국을 대신하여 경제적으로 착취하도록 설계되지 않았다. 그 땅은 천연자원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그리고 대부분의 시온 주의자들은 원주민을 착취하기보다는 자신의 운명에 무관심하거나 단순히 출발하는 것을보고 싶어했다 (칼리디가 책 전체에서 반복적으로 인정하는 것).

Colonialism is commonly defined as the policy and practice of an imperial power acquiring political control over another country, settling it with its sons, and exploiting it economically. By any objective standard, Zionism fails to fit this definition. Zionism was a movement of desperate, idealistic Jews from Eastern and Central Europe bent on immigrating to a country that had once been populated and ruled by Jews, not “another” country, and regaining sovereignty over it. The settlers were not the sons of an imperial power, and the settlement enterprise was never designed to politically or strategically serve an imperial mother country or economically exploit it on behalf of any empire. The land was known to lack natural resources. And most Zionists, rather than wanting to exploit the natives, were indifferent to their fate or wanted to simply see them leave (something Khalidi repeatedly acknowledges throughout the book).


실제로 이 책의 초기에 칼리디는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전혀 깨닫지 못한 채 시오니즘의 입장을 실제로 지지하고 있다(그리고 예루살렘과의 유대인 연결, 나아가 팔레스타인 전체에 대한 유대인의 연결은 신화라고 주장하는 PLO 선전의 지난 반세기를 노골적으로 무시하면서). 그는 1899년 3월 1 일에 예루살렘의 시장이자 오스만 의회 의원이었던 그의 위대한 위대한 삼촌인 유수프 디야 알 - 딘 파샤 알 - 칼리디가  정치 시온주의의 창시자인 테오도르 헤르즐에게 썼던 편지를 인용했다. "누가 팔레스타인에 있는 유대인의 권리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까? 세상에, 역사적으로 이곳은 당신들의 나라입니다."(물론 유수프 디야는 아랍인들이 현재 이 땅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시오니즘이 유입될 여지가 없어 유혈사태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시온주의자들이 제국주의의 고양이 발이라는 비난에 대해 칼리디는 독자들에게 1917년에서 1948년 사이에 시온주의자들은 영국 병동을 길들이는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고 말하지 않는다. 결국, 시온주의 지하 단체들은 제 2 차 세계 대전 중 및 이후에 영국 통치에 대한 폭력적인 반란을 일으켰다.최근 이스라엘은 칼리디가 '미국 제국주의'라고 부르는 도구와는 거리가 멀었다. 실제로 최근 미국이 이스라엘에 베푼 호의에 대한 비판의 상당 부분은 미국에 대한 이스라엘의 전략적 가치에 의문을 제기하는 데 바탕을 두고 있다.

Indeed, early in the book, Khalidi actually buttresses the Zionist position, perhaps without quite realizing what he is doing (and in blatant disregard of the last half-century of PLO propaganda, which maintains that the Jewish connection to Jerusalem and, by extension, to the whole of Palestine, is a myth). He quotes his great-great-great-uncle Yusuf Diya al-Din Pasha al-Khalidi, a one-time mayor of Jerusalem and member of the Ottoman Parliament, who back on March 1, 1899 wrote to the founder of political Zionism, Theodor Herzl: “Who could contest the rights of the Jews in Palestine? My God, historically it is your country.” (Of course, Yusuf Diya added that as Arabs now populated the land, there was no room for a Zionist influx, which could only lead to bloodshed.) As to the charge of Zionists being a cat’s paw of imperialism, Khalidi fails to tell his readers that between 1917 and 1948, the Zionists were far from tame British wards. After all, Zionist underground groups mounted a violent insurgency against British rule during and after World War II. More recently, Israel has been far from a willing instrument of what Khalidi would call “American imperialism.” Indeed, much of the recent criticism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s largesse to Israel has been based on questioning Israel’s strategic value to America.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으로 운전하고 식민주의로서 시온주의에 대한 그의 정의를 뒷받침하기 위해, 칼리디는 1917년에 그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그해 11월 2일, 영국 정부는 팔레스타인에 '유대인을 위한 국가적 고향'을 설립하는 것을 지지하는 발포어 선언을 발표했다. 이 유명한 선언은 분쟁을 촉발시켰다고 그는 우리에게 말한다. 그 시점부터 칼리 디가 가지고 있는 것처럼 시온주의 식민지 개척자들은 제국의 후원자와 팔을 벌려 팔레스타인의 원주민들을 대신하여 그들을 대신했다. 이 교묘한 수법으로 칼리디는 시온주의자들을 영국의 요원으로 만든다.  책 초반 어느 시점에서, 칼리디는 마지못해 "100년 넘게 팔레스타인에서 일어난 일이 식민지와 국가 분쟁으로 이해될 수 없는 이유는 없다"라고 인정하지만, 그 후 그는 "여기서 우리의 관심은 그 식민지 성격에 있다"라고 말하고 나서, 오직 시오니즘과 아랍 분쟁의 "식민지적" 성격만을 지적하는 수사학과 "사실들"로 독자들을 침수시킨다. 독자들은 시온주의가 민족적 운동이며, 투쟁은 항상 두 민족적 운동 사이에서 이루어져 왔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민족적 운동은 각각 땅에 대한 정당한 소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칼리디는 이것이 "두 가지 권리" 사이의 투쟁이 아니라고 명시적으로 말한다.

Nonetheless, to drive home and buttress his definition of Zionism as colonialism, Khalidi begins his story in 1917. On November 2 of that year, the British government issued the Balfour Declaration,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in Palestine of a “national home for the Jewish people.” This famous declaration “launched” the conflict, he tells us. From that point on, as Khalidi would have it, the Zionist colonists, arm in arm with their imperial patron, set upon the native inhabitants of Palestine to supplant them. By this sleight of hand, Khalidi turns the Zionists into Britain’s agents. At one point early on in the book, Khalidi grudgingly concedes that “there is no reason that what has happened in Palestine for over a century cannot be understood as both a colonial and a national conflict.” But then he goes on to say that “our concern here is [with] its colonial nature” and thereafter inundates the reader with rhetoric and “facts” that point only to the “colonial” nature of the Zionist-Arab conflict, driving from the reader’s mind any inkling that Zionism is a national movement and that the struggle has always been between two national movements, each with—as I see it—a rightful claim to the land. Indeed, Khalidi explicitly tells us that this is not a struggle between “two rights.”


시온주의의 이야기와 아랍인들과의 갈등은 실제로 1882년 팔레스타인, 즉 이스라엘 땅에 최초의 시온주의자들이 도착하면서 시작되었는데, 이후 아랍인들은 이를 '시온주의 침략'의 시작이라고 불렀다. 불가피하게, 주저하고, 무모하게, 원주민들은 적대했다. 1886년, 야후디야(Yahudiya) 마을에서 온 약 50~60명의 아랍인들이 페타흐 티크바(Petach Tikvah)의 이웃한 새로운 유대인 정착지(칼리디의 말로 '식민지')를 공격했다. 1908년, 초기 시오니즘 정착민 대부분의 입국항인 자파에서 아랍인 집단이 해변을 거닐고 있는 유대인 부부를 공격했다. 유대인들은 아랍인들을 공격하여 보복했고, 아랍인들 폭도들은 13 명의 유대인이 부상당한 최근 이민자들을 수용한 호스텔인 스펙터 호텔을 습격했다.유대인들은 그것을 포그롬(Pogrom)이라고 불렀다.

The story of Zionism, and its conflict with the Arabs, actually began in 1882, with the arrival of the first Zionists in Palestine, or the Land of Israel, which Arabs subsequently termed the start of “the Zionist invasion.” Inevitably, hesitantly, and haphazardly, the indigenous inhabitants resisted. In 1886, some 50 to 60 Arabs from the village of Yahudiya attacked the neighboring, new Jewish settlement (in Khalidi’s parlance, a “colony”) of Petach Tikvah because of a dispute over boundaries and trespassing, injuring four settlers and triggering the fatal heart attack of a Jewish woman. In 1908, in Jaffa—the port of entry for most of the early Zionist settlers—a group of Arabs attacked a Jewish couple strolling on a beach. Jews retaliated by attacking Arabs, and a mob of Arabs then stormed the Spector Hotel, a hostel that lodged recent immigrants, where 13 Jews were injured, some of them severely. The Jews called it a pogrom.


(중략)


반 유태인 폭력은 1911 년과 1913년 사이에 아랍계 매복 자들의 손에 정기적으로 죽어가는 시온주의 기업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유대인 정착 경비원들과 함께 풍토병이 되었다.1914년 4월 예루살렘 주재 영국 영사는 "외곽 지역에서 유대인에 대한 공격이 점점 더 빈번해지고 있다"고 보고했다. 그래서 분쟁은 발포어 선언 훨씬 전에 시작되었고 1917~1918년 영국이 팔레스타인을 정복하기 전에 시작되었고 시오니즘을 간단히 승인했다.

Anti-Jewish violence became endemic, with Jewish settlement guards—who were seen as symbols of the Zionist enterprise—regularly dying at the hands of Arab ambushers between 1911 and 1913. In April 1914, the British consul in Jerusalem reported, “The assaults upon Jews in the outlying districts are increasingly frequent.” So, the conflict began well before the Balfour Declaration and before the British conquered Palestine in 1917–1918 and briefly endorsed Zionism.


(중략)


[팔레스타인내 아랍인] 반란 이후 영국 정부는 1939년 5월 새로운 정책 성명을 발표했다. 새로운 영국 규칙은 유대인 이민을 심각하게 축소하여 5 년 동안 75,000 명으로 제한했으며 아랍 합의에 따라 더 많은 이민이 이루어졌습니다 (모두가 알고있는 것은 앞으로 나오지 않을 것임).백서는 또한 아랍계 다수 인구 (대다수는 유대인 이민에 대한 제한으로 보장 됨)가 10 년 이내에 독립 할 것을 약속하고 미래의 유대인 토지 구매를 근본적으로 억제했다.

After the rebellion, the British government, in May 1939, issued a new policy statement. The new British rules severely curtailed Jewish immigration, limiting it to 75,000 over a five-year period, with any further immigration contingent on Arab agreement (which everyone knew would not be forthcoming). The White Paper also promised the country’s Arab majority population (the majority assured by the limitations on Jewish immigration) independence within 10 years and radically curbed future Jewish land purchases.


후세이니가 이끄는 아랍인들은 백서를 거부했고, 칼리'는 이 거부를 어느 정도 지지하면서, 영국이 발표한 정책을 이행할 것이라는 믿음을 가질 수 없었으며, 유대인들은 아랍 다수결 원칙으로 약속된 독립에 대한 거부권을 부여 받았다고 말했다. "어쨌든, 그건 이미 너무 늦었다. 체임벌린 정부가 백서를 발표했을 때, 취임한 지 불과 몇 달밖에 남지 않았고, 영국은 그 직후 전쟁을 벌이고 있었고, 체임벌린의 뒤를 이어 윈스턴 처칠은 아마도 영국의 공직생활에서 가장 열렬한 시온주의자였을 것이다." 하지만 이건 말도 안 되는 소리다. 1939년 5월, 체임벌린이 수년간 통치를 계속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을 이유가 전혀 없었고, 어떤 경우에도, 그는 몇 달 동안이 아니라 1940년 5월까지 1년 더 총리직을 유지했다. 처칠은 '시온주의를 지지한다'는 입장이었지만, 유럽의 유대인들이 나치에게 학살당하는 와중에도, 유대인 이민에 대한 급격한 억제 등,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한 전임자의 '반시온주의 정책'에 국가적인 이유를 들어 고수했다.

The Arabs, led by Husseini, rejected the White Paper, and Khalidi more or less endorses that rejection, saying that the British could not be trusted to implement the announced policy and that the Jews had been given veto power over the promised independence with Arab majority rule. Khalidi adds: “In any case, it was already too late. The Chamberlain government had only a few months left in office when it issued the White Paper, Britain was at war very soon afterward, and Winston Churchill, who succeeded Chamberlain . . . was perhaps the most ardent Zionist in British public life.” But this is nonsense. In May 1939, there was no reason to believe that Chamberlain would not continue to rule for years, and in any case, he remained prime minister for another year, until May 1940, not just for “a few months.” And Churchill, though a pro-Zionist, stuck for reasons of state to his predecessor’s anti-Zionist policy through World War II, including the drastic curb on Jewish immigration, even as European Jews were being butchered by the Nazis.


'영국 위임통치령'의 역사학자들 대부분은,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이 1939년에 발표된 '반시온주의 백서'를 거부하면서, 자신들의 발등 (혹은 어쩌면 더 높은 곳에서)을 쐈다고는 생각하지만, 칼리디는 아니라고 믿고 있다. 칼리디는, 그의 삼촌이자, 한때 예루살렘의 시장이기도 했으며, 팔레스타인 아랍민족운동의 관리기구인 '아랍 고등위원회'의 일원이기도 했던 '후사인 알 칼리디' 박사의 회고록에 나온 주장들을, 동정적으로 인용하고 있다. "후세인 박사를 가장 화나게 만든 것은, 바로 그들의 시온주의자들에 대한 일관된 지지였다." 칼리디는, 1938년에서 1939년 사이에 일어난 아랍반란의 영향으로, 독일-이탈리아-일본 연합군에 대항해 임박한 세계전쟁을 두려워했던 영국인들과, 아랍세계를 한쪽에 두거나, 적어도 중립적으로 유지하고 싶어했던 점, 얼굴을 180도 바꾸고, 반시온주의자로 변했던 (사실상, 1950년대 중반까지 유지될 예정이었던) 사실을, 완전히 인정하지 않고 있다.

Most historians of the British Mandate believe that the Palestinian Arabs, in rejecting the 1939 anti-Zionist White Paper, shot themselves in the foot (or perhaps higher), but not Khalidi. He sympathetically cites points made in the memoirs of Dr. Husayn al-Khalidi, his uncle, the sometime mayor of Jerusalem and a member of the Arab Higher Committee, the governing body of the Palestine Arab national movement. “It was their [i.e., the British] consistent support for the Zionists that most angered Dr. Husayn,” Khalidi tells us. He fails to fully acknowledge that in 1938–1939 the British, under the impact of the Arab Revolt, fearful of the impending world war against the German-Italian-Japanese coalition, and wanting to keep the Arab world onside or at least neutral, about-faced and turned anti-Zionist (and were to remain so, in effect, down to the mid-1950s).


제 2 차 세계 대전 중 아랍 - 시온주의 분쟁과 그 여파에 대한 칼리 디의 대우는 똑같이 잘못 인도되었으며 일어난 일의 현실을 왜곡하는 일련의 주장과 누락으로 고통 받고 있다. 칼리디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군에 복무했던 팔레스타인계 아랍인이 1만 2천 명이 넘는다고 강조한다. 팔레스타인 내 기지에서 전투원이 아닌 요원으로 복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칼리디는 훨씬 더 큰 진실을 난독화하기 위해 이 숫자를 산출한다. 즉, (여론조사가 없는 상황에서) 인상주의적인 증거로 판단하자면, 팔레스타인의 아랍인 대부분을 포함한 대부분의 아랍인들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과 추축국의 승리를 지지했다. 단지 그들이 방금 반란을 진압한 영국인들을 증오했고, 팔레스타인의 적대자였던 유대인들을 증오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것은 저명한 (기독교) 팔레스타인 교육자 칼릴 사카키니의 일기인데, 그는 1942년 7월 27일 토브룩의 영국 보루가 독일군에게 함락되었을 때 팔레스타인의 아랍인들이 기뻐했다고 썼다. "팔레스타인 사람들뿐만 아니라 아랍 세계 전체가 기뻐했다.그들이 독일인들을 사랑해서가 아니라 영국인들을 싫어하기 때문이다."

Khalidi’s treatment of the Arab-Zionist conflict during World War II and its aftermath is equally misguided and suffers from a string of assertions and omissions that distort the reality of what happened. Khalidi stresses that “over twelve thousand” Palestine Arabs served in the British army in World War II—a figure that is probably double the true figure, with most serving as service personnel, not combatants, in bases inside Palestine. Khalidi produces this number to obfuscate the much larger truth—that, to judge by impressionistic evidence (in the absence of opinion polls), most Arabs, including most of Palestine’s Arabs, supported Germany and an Axis victory in World War II, if only because they hated the British, who had just crushed their revolt, and hated the Jews, who were their antagonists in Palestine. Representative is the diary of the prominent (Christian) Palestinian educator, Khalil Sakakini, who wrote on July 27, 1942, that Palestine’s Arabs had “rejoiced when the British bastion at Tobruk fell to the Germans. . . . Not only the Palestinians rejoiced . . . but the whole Arab world . . . not because they love the Germans, but because they dislike the English.”


마찬가지로 칼리디는 팔레스타인 민족운동의 지도자 후세이니를 묘사하면서 후세이니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에서 시간을 보냈다고 비스듬히 언급하는 데 있어서 정직하지 못하다. 칼리디는 후세이니가 1941년 이라크에서 친축 반란을 지지했고 베를린으로 도망쳤다고 독자들에게 말하는 곳은 어디에도 없다. 그곳에서 후세 이니는 중동에 반 영국 라디오 방송을 하기 위해 막대한 봉급을 받았다. 아랍인들에게 연합군에 반항하고 유대인들을 죽일 것을 촉구했다. 그는 또한 유고 슬라비아를 방문하여 독일의 SS와 Wehrmacht를 위해 무슬림을 모집하고 여러 유럽 지도자들에게 편지를 써서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나라를 떠나는 것을 막을 것을 촉구했다 (따라서 간접적으로 홀로 코스트에서의 죽음에 기여했다). 이것들은 잘 알려진, 논쟁의 여지가 없는 사실들이다. 칼리디는 역사적 중요성이 거의 없었던 아버지가 전쟁 중에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우리에게 말하는 것을 선호한다. 칼리디가 얼마나 국민들의 이야기를 꾸밈없이 보는 것을 피하려고 하는지를 보여준다.

Similarly, Khalidi is far less than honest in his depiction of Husseini, the Palestinian national movement’s leader, when he obliquely mentions, in another context, that Husseini had spent time in Germany during World War II. Nowhere does Khalidi tell his readers that Husseini had supported the pro-Axis revolt in Iraq in 1941 and had fled to Berlin. There, Husseini was given a hefty salary to make anti-British radio broadcasts to the Middle East, calling on the Arabs to rebel against the Allies and kill the Jews. He also toured Yugoslavia to recruit Muslims for Germany’s SS and Wehrmacht and wrote letters to various European leaders, urging them to bar Jews from leaving their countries (thus perhaps indirectly contributing to their demise in the Holocaust). These are well-known, undisputed facts. Khalidi’s failure to mention them—he prefers to tell us what his father, who had little historical significance, was doing during the war—shows the extent to which he willgo to avoid an unvarnished look at his people’s narrative.


(중략)


1970년대와 1980년대에 팔레스타인 테러와 이스라엘의 대테러를 다루면서, 칼리디는 이스라엘을 겨냥한 암살에 대한 묘사와 비난에 능통하다다. 하지만 그가 묘사한 사건은 특별히 노골적인 누락이 한 가지 있는데,  그는 1971년 요르단 총리 Wasfi Tal의 암살과 1972년 뮌헨에서 이스라엘 올림픽 팀의 악명 높은 살인을 포함하여 일련의 뻔뻔한 공격을 저지른 파타 - PLO 단체인 검은 9월을 언급하지 않았다. 이는 칼리디가 팔레스타인의 주요 정당인 '중도'파타의 테러를 제거하는 동시에, PLO의 주축으로 남아있는 '파타'파타의 테러를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고, 한편으로는 팔레스타인 테러에 대한 책임을 '아부 니달 조직'이나 '팔레스타인 해방을 위한 인민전선'과 같은 '중요하지 않은' 변방 집단들에게 돌리게 하는 것이다.


In his treatment of Palestinian terrorism and Israeli counterterrorism in the 1970s and 1980s, Khalidi is prolix in his descriptions and condemnations of Israeli targeted assassinations. But his depiction of what happened has one particularly blatant omission: He fails altogether to mention Black September, the Fatah-PLO group that committed a series of brazen attacks, starting with the assassination of Jordanian prime minister Wasfi Tal in 1971 and including the infamous murder of Israel’s Olympic team in Munich in 1972. This helps Khalidi clear the main Palestinian party, the “moderate” Fatah, which remains the mainstay of the PLO, of terrorism while casting the blame for Palestinian terror on “unimportant” fringe groups, such as the Abu Nidal Organization or the Popular Front for the Liberation of Palestine.


(중략)

팔레스타인 100년 전쟁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독자들이 각자의 이야기를 재조명함으로써 그들 모두에게 도전장을 내민 새로운 수정주의적 역사가 아니다. 단지 잘못 알려진 역사일 뿐이다.

The Hundred Years’ War on Palestine is not a new, revisionist history that challenges both Israeli and Palestinian readers with its reexamination of their respective narratives. It is simply poor history.


The War on History By Benny Morris Spring 2020 https://jewishreviewofbooks.com/articles/7210/the-war-on-history/


번역출처: https://m.dcinside.com/board/war/3681486


대충 저 책이 저자 입맛에 맞게 역사를 왜곡한거란 소리인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