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보건법 제14조(인공임신중절수술의 허용한계) ① 의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에만 본인과 배우자(사실상의 혼인관계에 있는 사람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의 동의를 받아 인공임신중절수술을 할 수 있다.


1. 본인이나 배우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우생학적(優生學的) 또는 유전학적 정신장애나 신체질환이 있는 경우


2. 본인이나 배우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전염성 질환이 있는 경우


3. 강간 또는 준강간(準强姦)에 의하여 임신된 경우


4. 법률상 혼인할 수 없는 혈족 또는 인척 간에 임신된 경우


5. 임신의 지속이 보건의학적 이유로 모체의 건강을 심각하게 해치고 있거나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


② 제1항의 경우에 배우자의 사망ㆍ실종ㆍ행방불명, 그 밖에 부득이한 사유로 동의를 받을 수 없으면 본인의 동의만으로 그 수술을 할 수 있다.

③ 제1항의 경우 본인이나 배우자가 심신장애로 의사표시를 할 수 없을 때에는 그 친권자나 후견인의 동의로, 친권자나 후견인이 없을 때에는 부양의무자의 동의로 각각 그 동의를 갈음할 수 있다.


하지만 2019년, 헌법재판소의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에 이어 2021년에 낙태죄가 폐지됨으로써 임공임신중절수술(낙태)는 비범죄화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