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데지안 엄폐물 사격


도입


드레이크 슈팅 (Drake Shooting) 이라고도 알려진 로데지안 엄폐물 사격은 아프리카 사바나 지역과 Jesse Bush 에서의 다양한 단계의 근접 전투에서 엄폐한 적들을 신속하게 사살하기 위해 사용된 사격법이다. 이 방법은 “사격과 기동” 절차를 대체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그것의 주요 내용이였다. 엄폐물 사격은 또한 “쓸어내는” 행위로도 묘사되지만 정확한것은 아니다. 엄폐물에서 테러리스트들을 쓸어내는것은 특히 근접 회전익기 지원과 함께 작전할떄처럼 명확한 이점도 있지만 엄폐물 사격의 첫번째 목적은 적을 보거나 적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적을 죽이는것이다. 이 방법은 기동중 “정글” 을 겨냥한 제압사격 방법 (Walking suppression fire directed “at the jungle”) 과 헷갈려서는 안된다. 엄폐물 사격은 총알의 난사가 아니라 탄약 소모를 최대한 줄이면서 최대한의 효과를 내기 위한 신중하고 단계적인 방법이다.
 
 (로데지안 분쟁 소개 생략)

 

로데지안 SOP

 

1. Troops 라고 불린 로데지안 경보병소대, 그리고 PATU를 포함한 다른 많은 부대들은”G-car” 라고도 불린 알루에트 III 헬리콥터에 의해 수송될 수 있도록 4인조의 “Sticks”로 나뉘어졌다. 검문, 순찰, 기습 그리고 간혹 수색선들은 하나의 Stick으로 이루어졌으며 Fire Fore (FF) Dakota 에 의해 공수된 Sticks나 G-car들에 의해 배치된 검문조, 혹은 지상 차량들에 의해 운송된 Sticks들의 조합으로 대형 수색선의 형성 또한 가능했다.


2. 셀루 정찰대와 기타 사이비 갱단들을 제외하면 각자의 Stick은 주로 FAL (FN) 7.62 소총으로 무장한 3명의 소총수와 마찬가지로 7.62 탄을 사용하는MAG-58로 무장한 한명의 기관총수로 구성됐다. 하나 혹은 때에 따라 두명의 소총수는 A76 무전기를 휴대했으며 3번째 소총수는 훈련받은 의무병으로써 Stick을 위한 방대한 양의 의무용품 (약품, 붕대 등)을 운반했다. 당연히도 Stick의 NCO/장교는 무전기를 휴대했다.


3. 모든 화기는 100미터로 영점이 잡혀있었으며 조준경 또한 같은 거리로 맞춰져있었다. 소총수는 주로 19, 혹은 18발이 채워진 탄창 (FN 탄창에 20발을 꽉 채우는것은 탄창 스프링을 손상시키고 기능고장을 유발했다) 7~8개를 휴대했다. 이것들은 재장전을 위한 탄약 20발들이 상자들에 의해 보조되었다. 기관총수는 주로 100발 탄띠의 형식으로 500발을 휴대했으며 초기에는 400발 혹은 그 미만으로도 휴대했다. 잠비아나 모잠비크같은 외부 작전에서는 기관총수는 800발을 휴대하고 Stick의 소총수가 추가 탄약과 예비총열율 휴대했다. 로데지안 부대들에게는 몇백의 수로 수천명의 테러리스트가 있는 진지를 공격하는것이 특이한 일이 아니였다 (항상은 아니지만 보통 박격포와 항공지원 등을 대동했다).


4. 탄창 파우치의 모든 웨빙은 신속한 탄창교환을 가능케했다. 다른곳에서 쓰인 방식과는 달리 소총수는 보통 탄창에 흙먼지가 들어가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속장전을 위해 두개의 탄창을 묶지 않았다. AK47은 더러운 환경에서도 사격하는것이 가능했지만, 약실에 흙이 있는 FN은 기능고장이 일어날수밖에 없었으며 교전중인 부대에게는 치명적이였다. 탄창의 3번째 혹은 4번째 탄은 예광탄이였으며 탄창의 끝을 알리기 위해 보통 마지막에 두발의 예광탄을 넣었다. 몇몇은 개인 성향에 따라 마지막 탄을 예꽝탄으로 넣은 후, 그 이전 2~3발은 보통탄, 그리고 그 이전에 두발의 예광탄을 넣어 탄 고갈을 경고하도록 사용했다. 이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재장전을 해야하기 전부터 재장전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탄창이 비었을때 노리쇠가 후퇴된 상태로 남아있으므로 약실에 관심을 기울이는것 또한 필수적이였다.


5. FAL 7.62 예광탄들은 붉은 색이였고 적의 AK47 예광탄은 녹색이였다. 예광탄은 Stick의 사격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이였으며 “내 예광탄을 따라” 등의 명령을 이용할 수 있었고 “화구 투사 (Send Fireball)” 등의 지시에 따라 공격기의 화력을 유도하는데 사용할 “화구 (Fireball)”로 사용할 수 있었다. 항공기에게 테러리스트 위치를 전달하는 다른 방법은 연막탄이나 소이수류탄, 소형신호탄 등이 있었다. 또한 셀루 정찰대는 O.P에서의 화구 목적으로 S.N.E.B 로켓을 활용했다.


6. 정찰 대형은 주로 일직선 대령, 일렬 대형, 혹은 추적자 (Tracker) 가 있을경우 Y자 대형 (추적자가 Y자의 팔의 교차점에 위치하며 전방 두 팔의 보호를 받고 추적 작전을 통제하는 컨트롤러가 뒤에 위치한다.) 을 사용했다. 2열 대형은 기습시 발생시키는 불필요한 혼란과 증가시키는 지뢰의 위험 떄문에 사용된적이 없다. 모든 대형에서 기관총수는 NCO 혹은 장교 옆에 위치했다.


7. 모든 부대의 병사들은 탄창 파우치가 벨트에 부착되어있고 벨트는 무게 분산을 위해 서스펜더에 장착된 표준 장구류를 사용하였다. RLI (로데지안 경보병, Rhodesian Light Infantry) 를 포함한 일부는 전면 장구류, 혹은 “Fire Force Jacket”을 사용하여 탄창들과 하나의 소이 수류탄, 하나의 파편 수류탄 (M962), 그리고 서로 다른 색상의 하나에서 두개의 연막탄을 휴대했다. FF 재킷은 또한 침낭이나 A76 무전기 등과 같은 필수 키트를 위한 파우치들이 있었다.해당 재킷은 지금까지도 수많은 파생형들이 만들어지고 복제되어 전세계에서 쓰인다. 소총수의 재킷은 기관총수의 것과 비슷했는데 기관총수의 것은 탄띠 보관을 위해 측면에 대형 파우치들이 달려있었다. 두개의 수통 (시기와 물의 접근성에 따라 4개까지) 은 벨트에 부착되었고 두개의 Kidney Pouch에 필수 보급품들이 들어갔다. 만약 장기 작전을 수행하게 되면 필수적이지 않은 물품들은 속도와 기동성이 요구될때 떨어트릴 수 있는 경량 버겐 (Bergen) 배낭에 수납되어 병사들이 전투용품만을 휴대할 수 있게 했다. 


8.투척류의 사용 (당연한것들을 제외하고): 파란 연막은 부상자를 위한 “Casevac”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Stick의 투척류 휴대에 따라 다른 색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연막탄은 항공기에게 “FLOT (Forward Line of Troops)”를 전달하는데 필수적이였으며 화구를 표시하거나 Stick의 전장에서의 신속한 재배치가 필요할때Stick의 위치를 K/G-car (K-car는 알루에트 III의 지휘/킬러 버젼으로 G-car의 측면 브라우닝 대신 20mm 히스파노 대포를 탑재하고 있었다. 모든 화기는 헬기의 사수에 의해 조작되었다. G-car는 병력 수송용으로 쓰이며 병력 배치 이후 근접 지원 건쉽으로 씨이지만 K-car는 전투를 주관하며 주로 코만도의 사령관이기도 했던Fire Force 지휘관을 수송했다.) 에게 전달하는데도 쓰였다. 아군 위치를 표시할 필요가 있을때 Stick들은 넓게 소산하여 모자에 재봉질된 식별 패널을 각자 옆에 놓았다. 


PATU의 경찰 전투순찰을 포함한 몇몇 로데지안 육군 부대들은 줄루42 소총 유탄을 휴대하였지만 재장전을 위해서는 탄창을 제거해야했고 사격을 위해서는 발사용 탄을 약실에 수동 장전해야했기에 장전시간이 오래걸려 RLI 내부에서 인기있는 화기는 아니였고 그 효과성에 대해서도 의문이 있었다. 보통탄이 유탄 발사용탄 대신 유탄에게 발사되었을때 일어날 알려지지않은 경우에 대해서도 대비가 이루어져야했다. RLI의 속도와 기동성이 중요했던 긴급 대응작전들에서 그것은 비효과적이고 거추장스러운 화기였다. 그와 별개로 다른 부대들은 유탄을 장전한 상태로 FN 탄창을 삽탄하고 순찰을 돌았었는데 한번은 RAR (Rhodesian African Rifles) 의 병사가 줄루42를 Fire Force 헬기 안에서 발사했었다 (이것은 헬기에서 발사 준비상태의 화기가 허용되지 않음을 생각하면 흔치않은 사고였다). 또 한번은 PATU Stick이 개머리판을 땅에 박고 총열을 하늘로 향하게해 유탄을 박격포 역활로 쓰다가 줄루42를 전선에 낙하시켜 교전을 이탈해야할때도 있었다. Stick의 MAG가 가스 작동부에 피격되어 사수의 손을 부상시켰고 화기가 단발 외에는 사격이 되지 않을 정도로 고장났다. 그 결과로 사수는 해당 화기를 저격총처럼 사용하려고 시도했다. 파괴력의 측면에서는 별로 놀랍지 않았지만 비숙련자의 손에 들려있을때는 위험한 줄루 42는 폭발시 사지 저하의 효과가 있을지도 모르는 많은 양의 검은 연기를 내뿜었다 (무게만큼의 가치가 없었다!).


백린수류탄은 공식적으로 야간 경계의 명목으로 휴대되었으며 범용 연막 표시기로도 잘 써먹을 수있었으며 테러리스트들을 두텁거나 험준한 지령에서 쓸어내기나 적 교전 전선의 붕괴, 혹은 동굴이나 벙커의 소탕에도 효과가 좋았다. 맞바람일때 사용해서는 안됐지만 주로 수적 열세의 입장이였던 로데지안 부대들에게는 매우 인기있는 선택지였다. 동굴에 숨어있는 테러리스트들을 끌어내기가 매우 어려웠던 한 작전에서는 작전을 담당하던 Stick은 다수의 수류탄과 뇌관을 배낭에 넣어 동굴에 투척하여 상당한 효과를 거두었다.


작전, 특히 외부 요인에 따라 RLI 병력들은 벙커폭탄 (Bunker Bomb)이라 불리는 사제폭탄을 보급받기도 했다. 이것은 두개의 박격포탄 보관통의 뚜껑을 사용한 순수 충격용 무기였다. 뚜껑들은 합쳐진 이후 정식 뇌관, 안전핀, 손잡이 등이 설치되었으며 플라스틱 폭발물이 탑재되었다. 일반적인 수류탄보다는 무척 컸지만 여전히 손으로 잡을수 있었으며 같은 방법으로 투척될 수 있었다. 벙커폭탄들은 특히 작은 건물들에서 상당한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9. 공중지원: 로데지안 경보병, 그리고 종종 SAS와 Rhodesian African Rifles, 그리고 PATU를 포함한 다른 부대까지 모두 가용가능한 회전익기 지원이 있었다. 많은 회전익기가 Fire Force 작전에 묶여있거나 전쟁 후반부에는 외부 작전에 할당되어 있었기에 다른 부대들의 CASEVAC의 지연 및 부족에 대한 불만이 많았다 (모든 로데지안 회전익기는 원본 프랑스 헬기의 좌석배치를 로데지아에서 재정렬함으로써CASEVAC으로써의 역활을 수행할 수 있었다.). PLI 나 RAR Fire Force 팀들에게는 K-car의 폭발형 20미리 포탄, 아니면 G-car의 두 정의 .303 브라우닝 기관총을  을 사용하는 3대 혹은 그 이상의 G-car와 K-car의 지원은 테러리스트들을 향한 화망에 하나의 차원을 더해주었다. 필요할시 CASEVAC도 테러리스트들의 위치가 제압되고 Stick의 의무병이 맡은 역활을 다 끝낸 이후라면 즉각적으로 이용가능했다. Fire Force의 작전들은 주로 무장한 링스라고도 불린 세스나 337 정찰 항공기의 지원을 받았다. 이것은 날개에 브라우닝 .303 기관총을 탑재하고 있었으며 미니-골프 폭탄들이다 S.N.E.B 로켓등을 포함한 다양한 무장을 장착할 수 있었다. 링스는 다른 항공기들과 마찬가지로 부상자들을 CASEVAC하는데도 사용되었다.


더 큰 화력이 필요할때는 로데지아는 30미리 기관포와 1000파운드 골프 폭탄등이 탑재가 가능한 호커 전투기들을 사용해 공습을 시행하였다. 외부 작전을 실행할때는 행진 광장에서 수천명의 테러리스트들을 잡을수 있도록 시간을 맞춰 수백개의 알파 폭탄을 떨어트리는, 구식의 캔버라 폭격기들을 사용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오래된 영국제 뱀파이어 제트기 또한 공습에 사용되기도 했다. 이 항공기가 탑재했던 독특한 무장중 하나는 일명 250갤런 연료탱크를 개조하여 “Fletchets” 라고 불리는 다트들을 가득 채운 무장이였다. 수많은 가성비 무장중 하나로, Fletchet은 기본적으로 값싼 플라스틱 날개 배열이 장착되어있는 6인치 길이의 못이였다. 뱀파이어는 표적을 향해 강하하여 연료탱크를 투하했고 이 연료탱크는 매우 단단한 나무조차 관통할 수 있는 수백개의 Fletchet을 투척했다.

 

10. 모든 군대는 비숙련된 지휘체계를 어떻게 다루어야할지에 대한 어려운 문제를 앉고 있으며 이는 특히 6개월 정도의 짧은 간부 양성학교에서 가르칠 수 없는 상당한 레벨의 부시크래프트나 헌터/킬러 형식의 스킬이 요구되는 아프리카의 소규모 단위 COIN 작전에서 더더욱 악화되었다. 이러한 경험을 종종 몇년 이상씩 사지고 있음의 결과로써 주로 NCO였던 로데지안 Stick 지휘관들은 하급 장교들과의 마찰 없이 다른 곳의 군대보다 전투에 대해 훨씬 많은 재량권이 주어졌다. 장교들이 배치 전에는 중대를 관리하는데 상당한 영향력을 끼쳤다면 Stick 규모의 작전에서는 같은 장교들조차 배치된 이후에는 해당 중대에 대해 영향력이 작아졌다. 이것은 모든 Stick의 작전이 FF 사령관에 의해 직접 통제되었기 떄문이다. 다만 Stick들이 이후 대규모 수색이나 외부 진지등에 대해 대규모 공격을 위해 중대 규모로 다시 모이게 되면 장교의 영향력은 다시 복구되었다. 장교의 전반적인 리더쉽 스킬이나 “전투의 양상” 훈련이 효과를 발휘할때는 이와 같은 떄였다. 


로데지안 전투 작전의 요점

11. Stick은 수적 열세에 처할것이다. 10-30명 혹은 그 이상의 적 규모와 교전하는것은 드문일이 아니다.


12. 적이 사격을 가하는 전반적인 방위는 파악될 수 있지만 각개의 테러리스트의 위치는 그렇지 않다. 각개의 위치를 정확히 추적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오래걸린다.


13. 교전의 개시 순간부터 즉각적이고 정확하며 그리고 압도적인 화력으로 반격하는것이 필수적이다. (“총격전의 승리”라고도 불린다)


14. 서부 아프리카의 사람들은 문화적으로 오른손 손잡이이기에 그들이 엄페물로 삼는 나무나 기타 물체들의 왼쪽에서 관측될것이다.


15. 훈련이 부족한 테러리스트들은 뭉치는 경향이 있다. 한명이 포착된다면 근처에 드러나지 않은 다수가 숨어있을 가능성이 있다. 반군들은 종종 항공기, 특히 회전익기의 소리가 들리면 소산할때가 있는데, 그러지 않고 뭉쳐있었을때는 결집효과 (Bunching Effect) 덕분에 회적익기의 공중지원과 반시계 방향의 바람이 상당한 료역을 거두었다. 이 결집효과는 엄폐물 사격의 효과 또한 상승시켜주었다. 


16. 테러리스트들은 주로 연사로 사격하며 총알을 흩뿌렸다. 탄약의 연사로서의 무분별한 사격은 그들이 주로 로데지안 병력보다 훨씬 빨리 탄약이 바닥났음을 의미했다.


17. 도주하는 테러리스트들은 Ak47을 뒤로 사격하면서 도망치도록 훈련받았다.


18. 수색이나 정찰의 경로에 있는 부상당한 테러리스트들은 종종 코앞까지 적이 들이닥칠때까지 기다렸다가 영거리에서 사격을 가하기도 한다. 이는 수색, 정찰, 또는 회전익기로부터 숨으려하는 부상당하지 않은 테러리스트들에게 또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것은 로데지아의 사상자들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였다. 분쟁지역에서는 수색 임무의 회전익기들은 우거진 지역에 화력수색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19.부족한 훈련때문에 ZANLA의 마쇼나 전투원들은 상당한 거리에서 사격을 개시하기도 하였으며 더 나은 훈련과 전투 부족으로써의 공격적인 성향을 띄는 ZIPRA의 마타벨레들은 좀 더 실용적인 거리에서 사격을 개시했으며 이와 같은 사실들은 다양한 국경지대를 정찰할때 미리 숙지하여야한다. ZIPRA는 음성 명령이나 축구 호루라기 등을 사용하여 지휘되는 우회 공격등 접전 (Skirmish) 에 능했으며 전통적인 침략을 실행할 목적으로 상당한 양의 전면전 훈련을 받았다. 이러한 사실들은 포로들로부터 획득되었으며 결국 로데지안 SAS가 계획을 저지하기 위해 잠비아로 침투해 상당한 양의 무기를 파괴하도록 계기를 주었다. (부족한 훈련의 예시로, Mugabe의 ZANLA에 의해 모잠비크 국경에서 납치된 학생들은 정신교육과 더불어 약 3주의 훈련을 받고 국가를 “해방시키도록” 투입되었다. 한번은 로데지안 저격수가 국경을 넘어오는 무리에서 명령을 내리는 일부 병력를 사살했다. 아이들은 겁을 먹고 도망쳤으며 2킬로미터 떨어진 함정으로 바로 뛰어들어갔다. 적게는  14살밖에 되지 않는 아이들은 이후 주변 환경을 쏘는데 탄약을 모두 소모하였으며 이후 회수되어 학교로 돌려보내졌다.)


20. 지휘권을 부려받은 몇몇 테러리스트들이 탄자니아, 러시아, 혹은 중국 등지에서 상당한 훈련을 받은것은 흔한일이었다. 한번은 한 테러리스트 지휘관과 그의 부대가 작전 이후 PARU Stick이 감탄할정도로 상당히 인상적인 기동과 사격 작전을 실행한적도 있었다. 물론 기동 도중 엄폐물 사격과 맞닿트려 이 부대에게 별로 도움이 되지는 않았다.


사격과 기동


21. “형태, 그림자, 반사광, 형태와 움직임” 같은 기본적인 시각 탐색 요소들을 사용하는것 외에도 테러리스트들의 위치는 종종 관측자가 정확히 무엇을 보았는지 정확히 설명하지 못하여도 그저 “무언가”가 옳아보이지 않았다는 점만으로도 식별이 가능했다. 이 능력은 매우 직감적이고 경험에 비례한다. RLI의 병력들은 아프리카의 덤불들을 통해 보도록 훈련받았으며 명백한 덤불 그 자체만을 보는것보다 그 뒤에 있을수도 있는 것의 형태와 그림자를 형상화하도록 훈련을 받았다. 대부분의 테러리스트들은 그 어떤 위장복도 걸치지 않은채 전투를 위해 국경을 넘기도 하였지만 가끔씩 테러리스트들은 필요에 따라 신속히 “민간인”인척 하기 위해서 민간 복장 위에 위장복을 입기도 하였다. 테러리스트들이 움직이지 않을때 기습에 대해서는 유용하였지만 일반적인 위장법들은 로데지안들을 아프리칸 덤불의 물체가 아니라 덤블로 보이도록 하기 위한것이였다. 엄폐물 사격에서 위장의 자연 수풀양의 증가는 화망 내의, 테러리스트들을 숨겨줄 수 있는 모든 자연물에 대해 사격이 가해짐에 따라 그저 피격의 확실성만 늘려줄뿐이였다. 움직임, 움찔거림, 혹은 동적인 덤불들이나 수풀들은 그저 테러리스트임을 표시를 시켜줄뿐이였고 즉시 사살되었다.


22. 정찰중에는 명백한 테러리스트, 혹은 다른 단체에 대해 교전을 개시하고, 엄폐물 사격을 하며 그들의 위치에 대해 접전을 벌이기 전에 거리를 좁히기 위한 기동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유효사거리 내에서 갑작스럽게 포착된 표적은 어깨 견착으로부터의 스냅 슈팅 (Snap-Shooting) 을 통한 단발, 혹은 터블탭 (주로 더블) 을 사용하여 즉시 제거되었다. 대원들은 그 후 엄폐를 위해 엎드리고 구르거나 기어서 엎드린 위치를 벗어난 이후 동일 테러리스트 위치에 대해 엄폐물 사격을 실시한 이후 테러리스트를 숨겨주고 있을만한 근방의 모든 다른 엄폐물에 대해 엄폐물 사격을 가했다. 서부 아프리카의 수풀 지형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해서, “다른 엄폐물”들은 나무 밑둥, 돌, 덤불, 개미집, 코끼리풀 지형 등을 포함했다.


23. 테러리스트의 전반적인 위치에 대해 그 어떤 명확한 판단도 불가할때는 병사에게 제일 가까운 엄폐물로부터 시작하여 각 병사 앞에 있는 모든 엄폐물을 죽이는것이 관습이였다. 수색선의 경우에 대원이 테러리스트와 조우하거나 식별하였을때 즉각적으로 사격을 가하고 다른 대원들은 발사에 대응하며 각자의 할당 구역에서 각자 앞에 있는 엄폐물에 대해 엄폐물 사격을 실시했다. 모든 상황에서 “예광탄으로 표시” (혹은 그저 “예광탄”, “식별”) 지시는 Stick의 다른 대원들이 그들의 주의를 직면한 문제에 돌릴 수 있도록 해주었다. 물론 이것은 은폐 가능성이 있는 다른 구역들은 무시되었다는 뜻은 아니다. “예광탄으로 표시”에 따른 확인 대답은 “식별 완료”였다. 예광탄의 사격이 Stick의 접근 위치나 기습 위치를 드러낼 위험이 있을때에는 표적 위치를 전달하는데 다른 구두 방법이 사용되었다.


24. 갑작스런 사격에 대응하여 수색 혹은 순찰대는 지형에 따라 엎드리거나 무릎꿇고 즉각적인 대응사격을 가한다. 무릎을 꿇음으로써 대원들은 종종 훈련을 못받은 테러리스트들의 조준점 밑에 위치할 수 있었으나 테러리스트들이 주로 RPD 기관총을 사용하였으므로 해당 위치에 오래 머무르지 않았다. RPD는 AK47과 거의 동일한 연사속도 (600rpm 대신 650rpm) 를 가지고 있지만 훨씬 정확했다. 로데지안들은 각 화기의 소리를 식별하고 그들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소리로 그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실탄 훈련장에서 상당한 시간을 보냈다.


25. 즉각 행동 절차와 표적까지의 거리, 그리고 자연지형이 공격에 대한 전반적인 대응에 영향을 끼쳤지만 영거리에서 벌어진 교전은 가능하다면 항상 테러리스트들의 위치에 대한 즉각적인 돌파로 이어졌다 – 잠베지 계곡 드에서 발견되는 가시덤불등에 의해 종종 어렵거나 불가능하기도 하였다. 기습의 킬링존 내부에 머무는것은 절대로 용납되지 않는다. 테러리스트들과의 거리가 있었을때는 그들의 위치와 거리를 파악하기 위해 “Crack and Thump” 방법을 유용하게 사용했다.


26. 접전: 교전 초기 단계 이후의 적절한 단계에서, 테러리스트 위치의 돌파로 끝나는, 접전이라고 부르는 신중한 공세가 진행되었다. 세가지의 기본 접전 기술이 사용되었으며 다수의 Stick을 포함하는 수색선에 의해 주로 이루어졌다. 접전의 첫번째 방법은 수색선을 Flank라고 부르는 두개의 동일한 제대로 나누어 하나의 Flank가 전진하고 (예시로 2~5미터) 두번째 Flank가 이를 엄호하는것이다. 첫번째 Flank가 엎드려 엄폐물 사격을 가하기 시작하면 두번째 Flank가 첫번째 Flank의 몇 미터 너머의 지점까지 달려나가며 이후 이를 반복한다. 이 방법은 아군 오사가 발생할 확률이 제일 낮지만 이에 대한 역공을 당하기도 가장 쉽다. 달려나가는 병사들은 모두 양안을 사용하여 소총수의 경우 어깨, 기관총수의 경우 옆구리 견착 사격을 통한 스냅 슈팅을 사용하였다. 두번째 접전 옵션은 수색선의 짝수 대원이 Flank로 지정되었으며 Flank의 각 대원들이 다른 Flank의 대원들의 사이를 통과해 상호 전진을 이루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당연하게 엄호를 제공하는 Flank는 다른 Flank가 이동할때 정지하여 엄호사격을 제공하였다. 세번째 방법은 후추통 (Pepper Pot) 이라고도 불렸으며 보통 어려운 상황에 의해 두번째 옵션이 열화된 결과였다. 이것은 수색선 혹은 Stick의 개개인들이 무작위로 이동하고 엄호하는 것의 반복이였다. 규모가 커질수록 적용하기 어려워지지만 무작위적인 위치에서 전진과 사격이 이루어지기 떄문에 적이 이것을 카운터치기도 힘들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주로 4명의 Stick 단위로 이루여졌으며 테러리스트 위치를 우회하려 할때 두명 단위로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27. 교전중 그 어떤 Stick 대원도 다른 대원을 치료하기 위해 멈춰서는 안됐다. 그러한 행동은 도와주는 대원의 피격 가능성을 높였으며 공세를 가하는것을 막았다. 유일한 예외사항은 MAG로, 최대한 빨리 다시 사격 및 공세가 시작되어야했다.


28. 돌파를 위해서 명령에 맞춰 접전 전선 전부가 어깨 견착과 양안사격을 통한 사격과 함께 테러리스트들의 위치로 말 그대로 돌파함으로써 공격하였다. 각 대원은 해당 위치를 돌파하여 반대쪽으로 나오는동안 책임 구역에 있는 모든것을 훑는 총열 (Sweeping Barrel) 너머로 조준하여 사살한다.


29. 테러리스트 위치를 돌파한 후 아군의 인원 수 점검이 이루어진 후 수색이 느리게 다시한번 실시되었다. 대원 수가 부족해질수록 특히 더 어려워졌다.


로데지안 엄폐물 사격 – 엄페물을 “사살”하고 테러리스트를 사살해라


30. 전반적으로, 로데지안 엄폐물 사격은 테러리스트가 이용가능한 엄폐물의 “사살”이였다. 그렇기에 테러리스트들을 제거하기 위해 그들에 대한 시각적 조준이 필요하지 않았으며 총구화염, 총구 연기, 폭발, 움직임, 형태 등을 찾을 필요가 없었기에 개별 테러리스트들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시간을 버릴 필요가 없었다. 오히려 엄폐물을 “사살”하면서 테러리스트들의 위치에 대한 신중한 관측이 이루어졌다.


31. 엄폐물 사격, 혹은 드레이크 사격이 이루어질때 소총수들은 조준점을 상당히 낮추어 테러리스트들의 위치에 탄을 관통시키도록 했으며 기관총 사수들은 엄폐물 전방의 땅을 조준하여 도탄된 탄, 튀는 돌, 돌의 파편이나 나무 파편이 해당 엄폐물에 숨어있는 적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착탄하는 MAG 탄들이 일으키는 먼지들이 사기 저하와 방해요소가 될 수 있도록 했다. 기본적인 행동방법은 주로 왼쪽부터 시작하면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며 소총 혹은 기관총의 총열로 지역을 훑으며 적절할때 방아쇠를 당겨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쓸어낸다는 느낌이다. 모든 점사는 신중히 조준되어 발사된다. 숙련된 소총수는 스냅 슈팅 혹은 엄폐물 사격을 가할때 자동으로 간혹 두발, 많게는 세발을 사격했다. 다시 한번, 초탄은 FN의 반동과 설계 때문에 자동에서 총열이 급격히 들리는 것을 반영하여 상당히 낮게 조준되었다. 낮게 조준함으로써 초탄은 튕겨나가 엎드려있는 표적을 맞추도록 했으며 차탄은 총열이 들리면서 자연스럽게 명중탄을 노리도록 했다. 서있는 표적을 대상으로는, 표적은 점사에 의해 “박음질”이 될것이였다. 두발 혹은 세발을 자동으로 발사하는것은 언덕이나 오르막길에 있는 진지들을 상대할때도 유용했다.


32. FAL 7.62의 긴 탄들은 아프리카 사바나와 Jesse Bush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는 나무 밑둥을 관통할 수 있었다. 짧은 7.62를 사용하는 AK47은 반면에 그러지 못했다. 이 이점은 로데지안들에 의하여 상당한 효과를 보았다. 나무, 돌, 개미집 등이 있는 지역으로 사격을 가할때 물체의 왼쪽면에 한발씩 사격을 가하고 (지역의 대부분의 적이 우수라는 점을 감안) 나무의 밑둥에 두발을 사격한 이후 오른쪽으로 조준점을 이동하며 한발 혹은 두발을 비교적 가까이 사격했다. (보편적 상황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옮김으로써 기관총의 부사수나 탄약수를 사살하기 전에 기관총수를 사살할 수 있다) 작은 돌, 이상한 “돌출부”나 넝마 더미들은 사살되어야했다. 사실, 어울리지 않는 모든것들은 사살되어야했다. “돌”들은 머리, 손, 혹은 위장무늬의 일부일수도 있다. 이후 대원은 다음 엄폐물로 조준을 옮겨 위와 같은 절차를 반복한다.


33. 교전을 승리하기 위해서는 소총수는 단발 혹은 더블탭을 사용하면서 정확도를 유지할 정도로 최대한 빨리 첫 두개의 탄창을 소모한다. (숙련된 사수들은 더블탭을 사용하지만 내 부대의 방침은 단발을 사용하는것이였다 – 조준, 격발, 표적전환) 소총수의 탄창 소모와 같이, 기관총수도 첫 하나 혹은 두개의 탄띠를 소모할 수 있었다. 모든 Stick 대원들은 교전중 자신의 탄약소모를 관리해야했으며 탄을 전부 소모하는것은 용서받을수 없는 죄악이였다.

 

“Ian Rhodes”는 RLI의 2 코만도에서 복무했다.

 

*S.N.E.B 로켓: 무유도 공대지 68mm 로켓

*COIN: 대분란전(對紛亂戰counter-insurgency)  유격대테러리스트 등의 분란세력 진압하기 위한 작전  행동이다대테러 작전대유격대 작전 포괄하는 상위 개념이다국방부에서는 대반란전이라고 부른다

*Crack and Thump Method: 총탄의 사격음과 근방을 지나가는 소리의 시간차를 통하여 거리를 식별해내는 방법


짬짬이 내서 한거라 중간에 의역/오역이 있을수 있음. 댓으로 지적해주면 금방 수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