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edle Decompression of Tension Pneumothorax with Colorimetric Capnography


2017년도에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에 올라온 동물을 모델로 한 연구입니다


https://journal.chestnet.org/article/S0012-3692(17)30884-X/fulltext#relatedArticles


얼마 전에 NAR에 해당 내용이 올라와서 관련해서 좀 찾아보았습니다


그리 길지는 않은대 그냥 전체적인 이야기는 말고 필요한 내용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0. 이해를 위한 간략 선행 정보


ETCO2(호기말이산화탄소)란?

날숨의 마지막에 나오는 이산화탄소 분압(partial pressure)을 측정한 수치

정상적인 ETCO2의 수치는 35~45㎜Hg이다



Capnography(카프노그래피)란?

호흡 경로로 이동하는 CO2를 측정하여 이산화탄소 분압을 파형과 PCO2 수치로 표시하는 것, 그리고 이러한 것을 나타내는 장비를 의미하기도 함



Colorimetric Capnography(비색 카프노그래피)란?

날숨 속의 있는 CO2와 반응하여 색이 변화하는 검출기(원리적인 문제 때문에 카프노그래피라 칭하지 말아야 한다는 말도 있으나 이 글에서는 해당 문제는 따로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1. 연구 배경

긴장성 기흉에 대한 바늘 감압술 성공의 여부는 변동이 있고 효과적인 감압을 평가하는 객관적인 측정법이 없다. 흉막강 내부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검출하는 비색 카프노그래피는 효과적으로 바늘 감압술을 수행 한것인지 평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2. 연구 방법

3마리의 돼지에게 외상으로 인한 긴장성 기흉을 유발하고 8센티의 카테터로 바늘 감압술을 시행함, 비색 카프노그래피를 추가해서 감압한 것과 감압 후에 시행자가 주관적으로 판단해서 평가한 것을 흉강경 검사를 통해 실제로 감압된 것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함




정확한 감압을 확인하는 thoracoscopic assessment 예시



본 연구내용과는 관련은 없는 NAR에서 올린 needle colorimetric capnography 시현(사진이 더 직관적이라)




3. 연구결과

needle colorimetric capnography로 감압을 발견한 것을 흉강경 평가(제대로 된 감압)와 비교했을 때 100% 정확하게 인지했다(15회 중 15회), 긴장성 기흉이 없는 경우도 정확히 인지했다(10회 중 10회)


표준적인 바늘 감압술로는 시행자가 감압이 제대로 되었는지 인지한 것은 15회 중에 9회(60%)이며, 긴장성 기흉이 없는 것은 10회 중에 3회(30%)를 인지했다


4. 연구 결론

colorimetric capnography를 이용한 바늘 감압술은 긴장성 기흉 감압에 대해서 매우 신속하고 효과적이고 정확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연구결과는 동물모델로 시행한 연구인지라 아무래도 한계점이 있습니다


그런대 2020년도에 외상으로 인한 긴장성 기흉이 발생한 환자에게 비색 카프노그래피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바늘 감압술을 시행한 케이스 리포트가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그것에 대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