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러시아의 경제 규모가 커지고 르네상스가 퍼지기 시작하면서, 돈이 많은 상인들이나 혹은 귀족들 위주로, 가족 나들이나 연인과의 데이트를 위해 고급 마차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점점 생겨나기 시작했다.

( 또한 그런 점을 보고, 대여를 해주는 관광 산업 같은 방식으로 돈을 벌기 위해, 고급 마차를 구매하는 상인들도 있었다. )

 

기존의 말은, 훈련된 사람이 아니면 타기가 힘들고 또 흔들리는 진동이 강하기 때문에 노약자나 어린이 또는 여성을 함께 태우기가 힘들었고, 짐마차의 경우에도 상인들이 상업 목적으로 쓰는 경우가 많고 또 간단하게 자기들이 만들어서 타고 다녔기 때문에, 국가 규모의 제조업으로 육성을 해서 키우기는 힘든감이 있었다.

 

고급 마차는, 어린이나 노약자 또는 여성들을 태우고 다니기에 적합하게 개조되었다. 문을 설치하고, 외형적으로도 고풍스러운 느낌이 나도록 개조했다.

 

 

 

 


 

 

또한 마차를 모는 말의 경우에도 프러시아 공국에서 비싸게 거래되는 백마만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고급 마차 제조업 과정에서는 백마를 키우는 축산업도 함께 포함해서 봐야 한다.

 

 

 

 

  • 고급 마차 제조업의 기술과 설비 투자비 (백마 축산업 7만 골드 , 고급마차 3만골드 )= 10만골드 ( 1000억 )
  • 고급 마차 1대의 가격 = 1000골드 ( 10억 )
  • 연간 생산량  = 20대 생산 (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구매할 수 있는 소비자가 매우 제한적이고 적다. )
  • 4년 기준 생산량 = 80대 생산 ( = 8만골드 고정 수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