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세계관 경제 발달 수준

그때는 하루 벌어 먹고 산다는 게 비유가 아니라 ㄹㅇ 하루 못 벌면 굶어야 했음

막 1골드면 현금으로 백 만원 가치요 4인 가족 한 달 먹고산다 이렇게 말하곤 하는데

그 시절 백 만원이면 월급이 아니라 연봉으로 논해야 하거든요

암튼 말하자면 옛날엔 상상 이상으로 사람들이 돈을 못 벌었고, 못 쓰고, 빈곤했단 거임......

단적으로 말하자면 현재 개발도상국이랑 비슷하거나 더 못 벌었음..... 




*****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영국 상류계급은 전례없는 부를 누려 대저택에서는 수십, 수백명의 고용인들을 거느렸습니다.

그 고용인들에는 매우 세분화된 여러가지 계급이 존재했는데 이런 빅토리안 가내 고용인의 계급(Victorian Domestic Servant Hierarchy)은

군대 조직처럼 정확하게 나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집집마다 그 명칭과 업무가 조금씩 차이가 났습니다.
그럼 일반적인 하인들의 종류와 그들이 1년에 벌은 대략적인 수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하인들의 수입은 여러 다른 자료들에서 뽑아낸 대략의 대략의 평균값으로 실제로는 개개인의 능력과 나이, 용모, 태도,

집의 규모 등에 따라 차이가 났습니다.

 

 

[하우스키퍼 'Housekeeper']

 하우스키퍼는 여주인의 대리인의 위치로 저택의 구성원들 중 두번째로 권력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고용인들에게 결혼 여부에

관계 없이 "부인Mrs"로 불립니다. 하우스키퍼에게는 회계 능력이 요구됩니다. 집안에서 쓰이는 모든 경비를 회계 장부에 정확하게

기록하는 것이 그녀의 의무로 이 장부는 여주인에게 결산, 조사 받습니다.
 하우스키퍼는 집안의 질서를 유지하고 여자 고용인들에게 할 일을 분배해주고 그 일들을 잘 끝내도록 감독하는 책임을 집니다.

하녀들을 감시하는 일 외에 가족과 고용인들에게 언제나 깨끗한 침구를 공 급하고 관리하는 것도 하우스키퍼의 일입니다.

 그 외에도 비누나 양초, 설탕, 밀가루, 향신료와 같은 생필품들의 재고도 관리합니다. 또한 도자기 찬장과 음료나 잼을 저장하는

곳도 책임지며 집안의 모든 가구들이 깨끗하게 유지하는 일, 필요한 물건들의 구매를 결정하고 주문하는 일도 맡습니다.

이들은 약 35~50파운드(현재의 3천7백~5 천4백 달러, 약 3백5십만~5백만원) 받는것이 보통이였습니다.

 

 

< 영화 '비밀의 화원'의 하우스키퍼 모습 >


 

[레이디스 메이드 'Lady's maid']
 레이디스 메이드는 숙녀를 개인적으로 모시는 하녀로 옷가지와 장신구를 관리하고 옷시중과 머리시중을 드는 것이 주된 임무입니다.

남자하인으로는 발레(Valet)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레이디스 메이드에게 요구되는 조건은 말솜씨가 좋을 것, 읽고 쓸 수 있을 것, 바느질 솜씨가 좋을 것, 입이 무겁고 정직할 것 등입니다.

여주인의 옷과 보석, 개인적인 물건들을 다루기 때문에 정직함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미덕입니다.
레이디스 메이드는 하우스키퍼가 아닌 여주인에 의해 직접 고용되며 여주인을 가까이서 모시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다른 하인들에게

거만하다고 미움을 사거나 질투를 받기도 합니다. 매일 같이 하루종일 여주인의 시중을 들고 주인의 호출에 대기하는 힘든 나날을

보냄에도 불구하고 레이디스 메이드는 나이가 들면 그 자리를 빼앗기게 됩니다. 대부분의 숙녀들은 젊은 하녀를 곁에 두고 싶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레이디스 메이드는 커갈수록 매년 봉급이 줄어듭니다)

 이들은 1년에 20~30 파운드(현재의 2천1백~3천2백 달러, 약 1백9십5만~3백만원)정도 받는것이 보통이였습니다.

 

 

< 영화 '핑거스미스'에서 레이디스 메이드가 여주인의 옷시중을 들고 있는 모습 >

 

 

[팔러메이드 'Parlourmaid']
 팔러메이드는 거실과 응접실의 정리를 담당하며 현관에서 손님을 맞이하여 주인에게 안내하는 일을 합니다. 식사와 차 시중을 들기도

하고 우편물을 접시에 담아 주인에게 가져다 주는 일을 하기도 합니다.
 손님들을 자주 상대하기 때문에 단정한 용모와 유능한 접객 솜씨가 있어야 했으며 말하자면 현대의 안내데스크 담당과 비슷하기

때문에 체면을 중시했던 귀족 가문에서는 일부러 아름다운 젊은 여성을 팔러메이드로 고용하기도 했습니다. 유니폼도 실용성보다는

보기에 아름다운 의복을 입혔습니다.  이들은 1년에 약  20파운드(현재의 2천1백 달러, 약 1백9십5만원)정도 받는것이 보통이였습니다.

 

 

< 영화 '포사이트 사가'에서 현관에서 손님을 맞이하는 팔러메이드 모습 >

 

 

[체임버메이드 'Chambermaid']
 체임버메이드는 하우스메이드라고도 불립니다. 주로 침실을 청소하고 침대를 준비하는 일을 합니다. 난로에 불을 지피는 일이나

카펫을 정돈하는 일, 요강을 비우는 일, 목욕물을 데우는 일 등도 체임버메이드의 몫입니다. 하우스키퍼와 레이디스 메이드에게

차를 끓여주기도 합니다.   체임버메이드는 어지간한 대저택이 아니면 팔러메이드나 론드리메이드, 스틸룸 메이드 등의 일을 함께 하는

일이 흔했습니다. 가족과의 개인적인 접촉이 잦았기 때문에 팔러메이드보다는 높은 직책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들은 1년에 약  20파운드(현재의 2천1백 달러, 약 1백9십5만원), 팔러메이드와 비슷한 정도의 봉급을 받았습니다.

 

 

[너서리 메이드 'Nursery maid']
 너서리 메이드는 너스메이드(nursemaid)나 너스(nurse)라고도 불리며 유모(nanny)와 같은 일을 합니다.

주인 일가의 아이들을 돌보고 뒤치닥거리하는 일을 하며 아이들이 크면 가정교사(Governess)가 교육을 맡습니다.
 이들은 1년에 10~15파운드(현재의 1천1백~1천6백 달러, 약 1백만~1백5십만원)정도의 봉급을 받았습니다.

 

 

[키친메이드 'Kitchen maid']
 키친메이드는 주방에서 요리사cook를 보조하는 젊은 메이드입니다. 경험이 쌓이면 보조요리사로, 실력을 인정받으면 요리사로

승진할 수도 있습니다.  이들은 1년에 15파운드(현재의 1천6백 달러, 약 1백5십만원)정도를 받았습니다.

 

 

[스컬러리 메이드 'Scullery maid']

 스컬러리 메이드는 키친메이드보다도 아래 계급으로 요리사와 키친메이드를 도와 설거지 같은 잡일을 합니다. 대개의 저택에서

메이드들 중에 가장 서열이 낮으며 나이 어린 소녀가 처음 고용되면 보통 스컬러리 메이드부터 시작합니다.

 이들은 1년에 13파운드(현재의 1천3백 달러, 약 1백2십만원)정도를 받았습니다.


< 1870년대 후반의 스컬러리 메이드 모습 >

 

 

[비트윈 메이드 'Between maid']

 비트윈 메이드는 트위니(tweeny)라고도 불리며 이름처럼 하우스메이드와 키친메이드 사이에 걸쳐져 있는 직책입니다. 매우 규모가

큰 대저택에서만  있는 낮은 직책으로 하우스키퍼와 요리사 사이에 전달 사항을 전하고 고용인들의 식사 준비를 돕는 일 등을 합니다.

하우스키퍼와 요리사는 각자 집안의 경영과 주방의 경영의 최고 권력자이기 때문에 정치적 알력이 있기 쉬웠다고 합니다.

이들은 1년에 15파운드(현재의 1천6백 달러, 약 1백5십만원)정도 받았습니다.

 

 

[메이드 오브 올 워크 'Maid of all work']

 규모가 작은 집에서는 한 명의 고용인만을 거느립니다. "메이드 오브 올 워크"는 빅토리아 시대 영국 가정의 고용인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입니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어린 소녀로 아침 6시나 6시 반쯤에 일어나 밤 11시 경까지 일합니다. 대규모의 저택에서는 많은 수의

하인들이 바쁘게 해야할 일들을 혼자서 모두 해야 합니다. 하우스메이드, 너스메이드, 팔러메이드, 체임버메이드, 요리사, 레이디스

메이드의 일까지 모두 맡습니다.
 

 

< 영화 '영 비지터스'의 메이드 오브 올 워크 모습 >

 

 

[가정교사 'Governess']

 빅토리아 시대의 가정교사는 다른 하인들과는 좀 다른 카테고리에 속한다고 할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중간적인 계급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신사계급의 딸이며 어떤 이유로 스스로를 부양해야 하는 미혼여성입니다. 그들은 좋은 가문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하녀로 일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그들의 교육을 이용해서 돈을 버는 가정교사라면 최소한의 위엄은 유지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고용가족들에게는 몰락한 가정의

출신이라고 얕보이고 다른 하인들에게는 똑같이 돈을 벌려고 일하면서도 상류계급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위선적이라고 경멸을

사기도 했습니다. 그들의 일은 가족의 10대인 딸을 돌보는 것입니다. (10대의 아들은 기숙학교로 보냅니다) 그들의 연수입은 25파운드

(현재의 2천7백 달러, 약 2백5십만원) 정도였으며 고용인들 사이에서의 서열이 어느 정도였는지는 명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 영화 'The Governess'에서의 가정교사 모습 >


 

그 외에 세탁을 맡는 론드리 메이드(Laundry Maid), 낙농일을 하는 데어리 메이드(Dairy maid) 등 특화된 여러가지 직책들이 있습니다.

 

 

 19세기 영국의 대저택에 사는 공작가 정도의 대귀족가문이나 엄청나게 부유한 사업가 (런던 로이드 사나 영국 중앙은행의 사장 쯤

되는) 지위를 가진 사람은 1년에 적어도 1만 파운드 이상의 수입을 올렸는데 1890년의 환율로 1파운드 는 4.87 미국 달러이고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면 현재로 따지면 1년에 120만 달러, 한국돈으로 약 11억 2548만원 가량을 벌었던걸 알수 있습니다.

 이 정도의 금액은 대규모의 고용인들을 부양하기에는 적어 보이는데 (1890년 경에 웨스트민스터의 공작은 실내에 50명, 실외에 50명씩

의 고용인들을 거느렸습니다) 당시 하인들의 평균 연수입은 고작 25파운드 (현재의 2700달러, 약 250만원) 정도 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값싼 노동력 때문에 많은 하인들을 거느리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이것은 당시의 빈부격차가 얼마나 극심했는지를 보여줍니다.



****

출처

http://www.waynesthisandthat.com/servantwages.htm

https://m.cafe.daum.net/joucheol/587M/1611?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