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썸네일: 왼쪽 미쿠의 팔을 S, 가운데 별을 O, 마지막 테토의 팔을 S라고 보면 SOS라고 볼 수 있다.
  • 0:04: 왼쪽 미쿠의 롤러스케이트 신발은 최면에 걸리기 쉽다는 것을 비유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오른쪽의 테토의 운동화는 최면에 걸리기 어렵다는 것을 비유한 것으로 보인다.
  • 0:25, 0:28: MV에서 나오는 영어 문장 중, "THE ULTIMATE ESCAPE!!!", "CAN BE SAVED?!" 같은 탈출, 구조의 뜻이 담긴 문장이 대문자에 굵은 글씨로, 삐죽한 말풍선으로 강조된다.
  • 0:27: 포즈가 테토의 오버라이드에 나오는 포즈와 비슷하다.
  • 0:37: 테토의 손 모양은 일본/한국에선 "존경한다"의 의미지만, 미국에선 "살려달라"는 뜻의 수화다.
  • 0:44: 화면 정가운데에 순간 빠르게 지나가는 글자는 'MESMERIZER!!'로, 곡의 제목이다.
  • 0:48, 2:03: 가사에 나오는 '脆弱性'는 '취약성'이란 단어로, "제이쟈쿠세이"라고 읽으나 "쟈쿠세이"로 발음되었다. 사츠키가 의도된 것이라고 밝혔다. # 초창기 하츠네 미쿠 오리지널 곡 중 namakobcg의 なぜか変換できない에서 "제이쟈쿠"를 "쟈쿠"로 발음하는 가사가 있는데, 이것과 연관이 있는지는 불명.
  • 0:50: 테토의 눈 깜빡임 패턴은 '· · · – – – · · ·'로, 모스 부호에서 SOS를 뜻한다.
  • 0:59: 테토가 춤의 동작을 틀리는 듯한 모습이 나온다.[8] 반면 미쿠는 자신의 파트인 0:49에서 심지어 즐기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 1:09, 1:11, 1:14, 1:16: 각 단어의 첫번째 알파벳[9]을 따서 이어 붙이면 HELP가 된다. 또한 3글자인 Hat을 제외하고 나머지 단어들의 각 4번째 알파벳을 이어 붙이면 SOS가 나온다.
  • 1:16: 테토 기준으로 왼손을 보면 손가락을 모두 펼쳐 보인 뒤, 엄지를 접고서 이후 나머지 네 손가락이 엄지 손가락을 감싸듯 접었다 펴는데, 이는 손동작을 이용한 구조 신호로 SOS를 의미한다.[10]
  • 1:17: "Phosphoribosylaminoimidazolesuccinocarboxamide"란, 푸린 유도체의 생합성 및 분해 과정인 푸린 대사에서 생성되고 이용되는 화합물이다. 너무 긴 이름 탓에, 흔히 SAICAR[11]로 약기한다.
  • 1:20: 화면 영역의 흔들림과 이를 좇는 미쿠의 눈동자로 보아 동전 최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가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테토의 장면에서는 가사가 흐려지며 shutdown이 없다.
  • 1:29~37: 테토의 배경을 보면 일출과 일몰이 지나가며, 지구와 같은 주기라면 10-11일의 시간을 견디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때 직전의 미쿠와 다르게 테토의 배경에서는 약간의 콘페티가 휘날린다.
  • 1:38: 순녹색으로 바뀐 배경이 크로마키를 연상시킨다. 반주가 시작하며 장면이 넘어가기 직전 흐엑… 하며 (테토로 추정) 질겁하는 소리가 들린다.[12] 또한 첫 최면 전 해결책으로 최면을 제안하는 가사를 맡았으며, (0:37~)에서 눈을 뜬 채로 좌우로 흔들리면서 땀을 흘리고 걱정스러운 표정을 짓던 미쿠와 달리 좌우로 흔들리지만 눈을 감고 수화를 사용하고 있던 테토와 대비되는 부분.
  • 1:42: 크로마키는 녹색이 익숙하지만, 청색도 존재한다.
  • 1:48~: 미쿠의 춤 동작이 달라지기 시작하며 팔이 바깥쪽으로 굽어 있다.
  • 1:50~: 정면만을 보며 춤을 추던 테토가 이번엔 미쿠쪽도 보며 춤을 추고 있다.
  • 1:58~2:09: 테토가 춤을 빨리 춘다.
  • 2:01: 미쿠의 움직임에 테토의 시선이 옮겨간다. 또한 테토는 이어지는 장면보다 일찍 놀란다[13]. 이로 미루어보아 강제해제 장면부터 설마하고 있던 무언가가 일어난다는 것을 직감했다고 할 수 있다.
  • 2:02: 미쿠가 입을 가리던 손을 펼치고, 기괴하게 변한다.[14]
  • 2:03: 충격을 받은 테토는 입이 떡 벌어져 있고 동작 또한 굳어지며, 죽은 눈이 된다. 그리고 잠시 후 더욱 절박해보이는 모습으로 시청자를 다시 바라본다. 그럼에도 이내 자신의 파트가 오자 춤을 추지만, 이르게 춤을 춘다.[15] 미쿠는 테토의 파트와 관계없이 화면이 바뀌기 전까지 계속 춤춘다. 또한 콘페티가 영상 전체로 쏟아지기 시작하는데, 중앙의 심볼을 가리지 않고 뒤로 지나간다. 추가로 이 파트에서 미쿠의 가사가 깨져있는걸 확인 할 수 있는데[16] 테토가 실제로 듣고있는 소리일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 2:11: 여기서부터 미쿠의 춤과 박자가 맞지 않는다.[17] 패닉에 빠져 오프셋이 있을지언정 박자는 놓치지 않는 테토와 대비되는 부분.
  • 2:34: 테토가 표정을 찡그리며 잠시 눈을 감더니 표정이 편안해지며 미쿠처럼 검은 눈을 뜬다.
  • 영상 내내 보이는 성게 모양 도형의 튀어나온 부분은 13개이다. 이는 서양에서 불길하게 여겨지는 숫자이다.
  • 흩날리는 콘페티의 양이 이성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도 있다. 0:49에서 일시적으로 늘어나고, 1:49에서 화면이 바뀌기 전에 등장하며, 마지막에선 콘페티가 미쿠와 테토를 가리듯이 대량으로 나온다. 이로 미루어 보아 콘페티는 진행도에 맞추어 점점 늘어나는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 테토와 미쿠는 첫 등장에서는 눈에 큰 반짝이가 있지만, 노래가 진행되면서 평범한 원형 안광이 되며 점점 작아진다. 미쿠가 최면에 걸리는 장면(1:20) 이후 나오는 2절에서 테토는 미쿠보다 안광이 더 작으며 마지막에는 둘 다 안광이 완전히 사라진다.


와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