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글은 매우 주관적인 세차 순서를 나열하였으며, 사용하는 케미컬/장비 또한 주관적이므로 차붕이들 말이 더 맞을 수 있음!

* 주말 낮에 가서 이 순서 그대로 하면 세차장 사장님한테 등짝 맞을 수 있으니 밤 늦게 가서 하길 추천함



  1. 엔진룸 열 식히기, 도장 점검, 도구 정비

    세차장에 도착하면 바로 세차베이로 가지 않고 드라잉 존에 주차 후 보닛을 개방한다.
    이는 엔진의 열기를 식혀 APC 또는 폼이 눌러붙는 일을 방지한다.
    전체적으로 차량을 육안으로 훑어보면서 도장 오염도를 체크한다. 흙먼지나 일반적인 오염물은 기본 세차 과정을 통해 닦아낼 수 있지만 

    특수 오염(타르, 새똥, 사람침, 벌레사체 등)이 확인 될 경우 (13) 과정을 진행해야 하므로 도구를 미리 꺼내 정리한다.

  2. 인포테인먼트 청소

    준비물: 디테일링 브러쉬(부드러운모), 실내 클리너, 막타월, 면봉, 안쓰는 카드, 왁스 어플리케이터, 플라스틱 코팅제, 버핑 타월
    실내청소는 높은 곳에서부터 아래로 내려가면서 진행한다.
    가장 위에 있는 인포테인먼트 (클러스터, 내비게이션, 센터페시아 등)의 먼지를 닦아낸다. 

    실내 클리너 분사 후 디테일링 브러쉬로 닦아내거나 디테일링 브러쉬에 직접 실내 클리너 분사 후 닦아준다. 닦아낸 후 거품기는 막타월로 닦아낸다.
    막타월에 실내 클리너 분사 후 닦아내기만 하는 방식으로도 청소가 가능하다. (오염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만)
    에어컨 틈새는 면봉으로, 인포테인먼트 틈새는 안쓰는 카드를 막타월에 감싸서 틈새에 넣고 밀어 닦아낸다.
    닦아낸 후 플라스틱 내장재가 있다면 플라스틱 코팅제를 어플리케이터에 도포하고 플라스틱 내장재를 코팅한다. 

    코팅이 끝난 부분은 버핑 타월로 한 번 닦아내어 과도포를 방지한다.

  3. 시트 청소

    준비물: 디테일링 브러쉬(부드러운모), 가죽 클리너, 가죽 코팅제, 왁스 어플리케이터, 버핑 타월, 막타월
    가죽 클리너와 디테일링 브러쉬로 시트를 구석구석 닦은 후 막타월로 거품기를 제거한다. 

    통풍 시트가 있는 시트의 경우, 막타월에 가죽 클리너를 분사하여 막타월로 닦아내는 것이 좋다. (틈새에 약제가 묻어 구멍이 막힐 수 있다.)
    청소가 끝난 후 어플리케이터에 가죽 코팅제를 도포하고 시트를 버핑한다. 
    버핑이 끝났으면 버핑 타월로 시트를 한 번씩 닦아내어 과도포를 방지한다.

  4. 트렁크 청소

    트렁크 매트를 걷어 내서 세차장 밖에서 털고 온다. 나가서 털어라 제발.

  5. 매트 청소

    준비물: 디테일링 브러쉬(거친모), 실내 세정제, 막타월
    실내 매트를 걷어 내서 
    세차장 밖에서 털고 온다. 
    순정 매트인 경우, 전용 디테일링 브러쉬(거친모)가 있다면 실내 세정제를 뿌리고 브러쉬로 박박 문지른 다음 막타월로 한 번 문대주면 깔끔해진다.
    실내 세정제 도포 후 고압수를 빌려 물세정 후 매트 세척건조기에 돌리는 방법도 좋다.


  6. 도어 청소

    준비물: 디테일링 브러쉬(부드러운모), 실내 세정제, 막타월, 플라스틱 코팅제, 왁스 어플리케이터, 버핑 타월
    도어의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면서 실내 세정제와 디테일링 브러쉬로 청소해준다. 

    청소가 끝난 부분은 막타월로 거품기를 걷어낸다. 
    플라스틱 내장재가 있는 부분은 플라스틱 코팅제를 왁스 어플리케이터에 묻혀 닦아주고, 버핑 타월로 걷어내어 과도포를 방지한다.

  7. 실내 유리 청소

    준비물: 실내 유리 전용 세정제, 극세사 타월(안경닦이 재질)
    안쪽 유리에 세정제를 뿌리고 극세사 타월로 닦아낸다. 

    세정제가 남아있지 않을 때 까지 닦아내는 것이 포인트. 
    잔사가 남지 않는 극세사 타월을 사용한다.

  8. 엔진룸 청소

    준비물: 실내 세정제(엔진룸 전용 세정제), 디테일링 브러쉬(부드러운모), 막타월
    디테일링 브러쉬에 실내 세정제를 묻히고 보닛을 열어 엔진뚜껑, 피복 윗부분 등에 쌓인 먼지를 닦아낸다. 
    닦아낸 후 약제가 남아있는 곳은 막타월로 거품기를 제거해준다.

  9. APC

    준비물: APC약제, 계량컵, 분무기
    이제 차량을 세차베이로 이동시켜 프리워시를 진행한다. 
    APC 약제를 희석비에 맞게 섞어주고 차량 전체에 골고루 분사한다. 분사할 때는 위에서 아래로 진행한다. 
    APC 약제를 도포하고 세차장 폼건을 사용해 폼을 분사한다.
    전체적으로 폼 도포가 끝났으면 폼이 흘러내려서 자동차 창문 아랫부분에 닿을 때 까지 기다린다. (흡연자들은 이 때가 담배 한 대 피우기 좋은 타이밍)


  10. 고압수

    뿌렸던 APC 약제, 폼을 걷어내기 위해 고압수를 천장 위에서부터 하부 순서로 뿌려준다. 
    고압수 사용 시 문 틈, 본넷 틈, 유리와 도장 틈에 집중적으로 물을 분사해 틈새에도 약제가 남지 않게 해준다.

  11. 타이어+휠 크리닝

    준비물: 타이어 갈변제거제, 휠 세정제(철분 제거제), 디테일링 브러쉬(중간모), 휠 브러쉬
    4개 휠에 전체적으로 도포 후 청소하지 말고, 1개씩 진행한다. 

    갈변제거제 - 휠 세정제를 뿌리고 디테일링 브러쉬로 닦아준다. 특히 휠 기둥의 밑면과 볼트 체결부를 집중적으로 닦아낸다. 휠 안쪽 림은 휠 브러쉬로 틈새에 넣어 닦아준다.
    SUV의 경우 휀다 안쪽의 모래나 염화칼슘 제거를 위해 휠 브러쉬로 휀다를 청소한다. (세단은 휀다-타이어 간 폭이 좁아 청소가 어려움)


  12. 고압수

    선입 선출, 가장 먼저 작업했던 휠부터 순서대로 고압수를 뿌려 약제를 제거해준다.
    이 때, 고압수 시간을 일부 사용해서 (13)에 사용 할 카샴푸에 거품을 내주기 위해 버킷에 고압수를 쏴주면 좋다.


  13. 철분, 벌레사체, 타르, 새똥 등 고착오염물 제거

    준비물: 전용 세정제(철분제거제, 버그크리너, 타르제거제 등), 막타월
    미트질 전, 전체적으로 도장을 재점검 한다. 도장에 철분이 묻어 꺼끌거리거나, 타이어 주변 휀다 도장면에 타르가 묻어있거나 

    본닛 또는 천장에 새똥, 침, 라디에이터 그릴에 벌레 사체가 묻어있는 경우 전용 크리너를 도포하고 오염물질이 녹아내리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 후 막타월로 세심하게 제거해준다.

  14. 미트질

    준비물: 카샴푸, 버킷(2개), 세차미트, 그릿가드
    카샴푸를 희석비에 맞게 뿌려주고 (12)의 고압수로 거품을 내주거나 물을 담아 와 세차 미트로 거품을 내준다. 

    도장 한 면을 닦았으면 세차 미트를 반대로 돌려서 다른 도장을 닦거나, 세차 미트 양 쪽을 모두 사용했다면 오염제거용 버킷에 미트를 헹궈주고 카샴푸가 담긴 버킷에 미트를 담가 새 거품을 묻혀준다. 미트를 헹굴 때는 그릿가드에 벅벅 긁어가면서 오염물이 떨어질 수 있도록 헹궈준다.

  15. 고압수

    미트질이 끝났다면 약제를 닦아내기 위해 고압수를 사용한다.
    역시나 APC때와 마찬가지로 틈새 위주로 고압수를 분사해 틈새의 약제를 꼼꼼히 제거해준다.

  16. 유막제거

    준비물: 광택기 or 유막제거 어플리케이터, 유막 제거제, 막타월
    차량의 와이퍼를 상단 고정시키고 위로 들어내준다. (차량마다 방법이 다름, 검색해서 방법 알아보기)
    이 때 와이퍼가 외부 힘에 의해 내려앉아 유리에 충격을 주면 유리가 파손되므로 막타월 등의 충격분산이 가능한 수건류를 와이퍼에 감싸준다.
    유막제거 어플리케이터에 유막 제거제를 도포하고 유리에 묻혀 닦아준다. 원형을 그리면서 닦아주는 것이 좋으며, 전체적으로 고르게 도포한다. 

    도포 후 고압수를 뿌려 약제를 걷어내거나 분무기에 물을 담아 극세사 타월과 함께 유리에 물을 뿌려 타월로 약제를 걷어낸다.

  17. 외장 드라잉

    준비물: 드라잉타월(XL 대형, L 중형)
    차를 드라잉존으로 이동시킨 후 천장부터 하부 순서로 드라잉을 진행한다. 

    페인트 클렌저를 사용하는 차량이라면 타월을 펼치고 한 쪽 끝을 잡아 당기는 방식으로 물기를 걷어내도 되지만
    페인트 클렌저를 하지 않을 예정이라면 타월을 덮어주고 손바닥으로 톡톡 두드려 물기를 흡수시킨 후 그대로 타월을 들어내는 방식으로 드라잉을 진행한다.
    창문 틈새, 라디에이터 그릴 틈새, 사이드미러 틈새 등은 에어건을 사용해 바람이 부는 반대쪽에 타월을 놓고 물기를 뿌려담는 방식으로 물기를 제거한다.


  18. 실내 드라잉

    준비물: 드라잉타월(M/S 소형)
    본닛과 도어, 트렁크를 열어 틈새에 침투한 물기를 제거한다. 주로 본닛-앞유리 사이 빗물받이 공간이나 트렁크 도어 안쪽, 사이드도어 프레임 부분에 물기가 묻어있다. 
    실내 틈새의 물기를 방치할 경우 녹 또는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스월마크가 생길 수 있어 꼭 닦아주는 것이 좋다.

  19. 유리 세정

    준비물: 극세사 타월, 유리 세정제
    발수 코팅 전, 옆에서 눈치 없이 에어건이나 청소기 돌리는 씹새끼들 때문에 유리에 먼지가 묻었을 가능성이 있으니 유리에 세정제를 뿌리고 극세사 타월로 이물질을 걷어내준다.

  20. 발수코팅

    준비물: 발수코팅 어플리케이터, 발수 코팅제
    발수 코팅제를 어플리케이터에 발라 유리에 도포한다. 원형을 그리면서 액상기운이 남아있지 않도록 꼼꼼하게 발라준다.

    발수코팅제가 유리에 경화되려면 최대 2일이 소요되므로 물이 묻지 않도록 조심한다.

  21. 페인트 클렌징

    준비물: 광택기 or 어플리케이터, 막타월
    도장면에 스월마크 또는 물자국이 남아있는 경우, 페인트 클렌저를 어플리케이터에 도포하고 오염 도장 한 면을 단위로 닦아내준다. 

    잔사가 남지 않게 작업 후 막타월로 한 번 약제를 걷어내준다.

  22. 왁스 도포

    준비물: 광택기 or 어플리케이터, 왁스, 버핑 타월
    어플리케이터에 왁스를 도포하고 전체적인 도장에 고르게 왁스를 발라준다. 
    과도포가 되지 않게 약제를 양껏 덜어 사용하며, 도포가 끝난 도장면은 버핑 타월로 닦아내어 과도포를 방지하고 약제가 도장면에 스며들 수 있게 작업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