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물 :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5~6개, 와이파이 공유기와 연결된 컴퓨터 혹은 와이파이 동글.


일단 폰 5개가 필요하고, 가능하면 6개를 쓰면 더 좋음


아이폰은 써봤는데 SE기준으로 연결관련 문제가 있는거같음 가급적이면 안드로이드인쪽이 좋다.

안드로이드 폰 중에서 자이로센서는 필수. 안드로이드 4.4이상 권장.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owoTrack을 검색해서 다운받으면 된다.


원래 스트랩을 유니모션 스트랩을 쓰고있었기때문에 어떤 스트랩을 써야되는지 말을 못하고있다가 이번에 만들게돼서 공유


다이소에서 수예용 고무줄 2cm*3.5m 파는거 있으니까 그거랑 머리끈, 선정리용(?)벨크로테이프(찍찍이), 순간접착제로 만들었음

고무줄 길이를 적당하게 하고 머리끈의 양 끝을 묶어서 고무줄에 끼워넣는다. 그리고 양끝에 벨크로를 붙이고 벨크로에 순접으로 확실하게 고정시키면 끝나는 아주 간단한 방법

...안흘러내리진 않음.. 좀더 짱짱하게 만들걸.. 먼가 미끄럼방지 코팅같은거 하면 좋을거같은데 일단 맛만 보자는거니 쓸데없는 지출은 하지 말고 써봐서 만족스러운데 흘러내려서 아쉬울때 하자..(라기엔 폰 5개를 구하느라 지출을 했다면...)


Releases · SlimeVR/SlimeVR-Server (github.com)
여기서 SlimeVR Server를 다운로드받자.
https://github.com/SlimeVR/SlimeVR-OpenVR-Driver/releases/latest/download/slimevr-openvr-driver-win64.zip
이 드라이버 파일도 다운받아서 아래 위치에 압축을 풀어줘서 drivers폴더 안에 slimevr폴더가 안착하게 하자.


slimeVR을 실행하면 요런 화면이 나온다. 이제 여기에 핸드폰을 연결해줘야 한다.

어떻게 연결해줘야 하느냐... 그건 일단 컴퓨터랑 같은 네트워크에 있다는 가정하에


시작메뉴에 cmd를 검색하면 명령 프롬프트가 나온다. 그걸 실행하고 ipconfig를 쳐본다.

여기서 IPv4주소가 자신의 (공유기 네트워크 안에서의)IP인데

저 주소를 owoTrack에 입력한다.

연결되면 SlimeVR의 트래커 목록에 핸드폰이 연결된걸 볼 수 있다. 이리저리 돌려보면 Rotation값이 바뀐다.

이 핸드폰을 어디에 장착할지 선택하자.

Chest(가슴), Waist(허리/골반, 5개 사용시 빼야할 부분), Left/Right Leg(허벅다리), Left/Right Ankle(정강이/종아리)

그리고 핸드폰을 장착하는 방향도 중요한데, 무조건 세로로, 아래쪽(보통 충전포트 있는곳)이 아래를 바라봐야함. 그상태에서 화면이 전후좌우중 어느쪽을 바라보는지를 선택한다.


다 연결해서 다 선택했으면 SteamVR을 실행한다.

가상의 바이브 트래커가 생성됐지만, 위치가 이상할것임.

그건 SlimeVR 맨 위의 Reset버튼을 누르면 보정을 실행함. Reset은 3초뒤에, Fast Reset은 누르는 즉시.

꼭 차렷자세로 설 필요는 없고, 누운자세로 앞을 바라본다던가 해도 보정은 잘 된다.


신체비율같은거는 Body proportion을 조절해서 맞추는데, 이때는 가슴트래커,무릎트래커 다 켜놓고 하는게 좋음.

가상트래커를 보정할때 기준을 잡는 위치는

가슴트래커 : 명치즈음

허리트래커 : 고간.

무릎트래커 : 말그대로 무릎

발트래커 : 얘는 맘대로...


참고로 현시점에서는 SlimeVR Server를 켠 상태에서 SteamVR을 실행해야됨. SteamVR상태에서 SlimeVR을 켰다면 SteamVR을 한번 껐다켜야되고 뭐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