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장난감 덱 대회에 소개할 덱은 "오르페골"이라는 덱이다.

이 글은 뉴비가 마듀에 입문하고 상검에 질렸을 때 값싸게 맞출 수 있는 덱 중 그나마 저렴하게 맞출 수 있는 덱으로 선정하였다.

고인물들은 어차피 누가 소개안해도 알아서 장난감 덱 잘 굴리잖아.


오르페골은 무슨 덱인가요?

오르페골은 묘지에 있으면 효과를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며 "오르페골 바벨" 일명 탑이라고 불리는 카드를 통해 내 턴에 오르페골 몬스터를 묘지에 쌓아두고 상대 턴에 견제를 하는 운영덱이다.

덱 파워가 최근 카드들과 비교하면 약한 감이 없잖아 있지만, 넓은 덱 스페이스 덕분에 용병을 채용 해 그 간격을 줄이고 오프에서도 가끔씩 입상소식을 들을 수 있는 덱이다.


장점


1. 덱에서 차지하는 ur 대부분이 범용이다

딩기르수, 마스카레이나, 엑토커 등 다른 덱에서도 자주 쓰이는 범용카드를 많이 채용하여 ur 가루에 대한 부담감이 적다.


2. 준수한 자원 회수

 딩기르수, 롱기르수, 갈라테아로 제외된 오르페골 몬스터를 회수할 수 있어 장기전으로 가도 부담이 없다.


3. 비대상, 비파괴 제거기

대상내성과 파괴내성이 있어도 오르페골은 쉽게 필드를 뚫을 수 있다.


4. 넓은 덱 스페이스

오르페골은 자원 회수 능력이 좋아 오르페골 몬스터의 수를 줄여도 덱이 굴러갈 수 있다. 그래서 다양한 패트랩과 용병채용이 가능하다.


5. 재미있다


단점


1. 패트랩에 취약함

- 어떻게 덱이 우라라 한 장에 정지.

- 오르페골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바벨, 마스카를 세우는 도중에 니비루를 맞는다.

- 증G 맞으면 메인 기믹 내에서는 3드로우 클리막스 엔드라는 착지점을 가지고 있다.


2. 카드 한장에 의존하는 덱 구조

오르페골은 탑을 통해 상대 턴에 견제를 해 턴을 받는 운영덱이다. 그래서 상대가 탑을 제거하면 오르페골의 견제력이 수직낙하한다.


3. 아쉬운 견제 능력

비대상, 비파괴라는 뛰어난 견제기가 있지만, 테마네 견제 횟수가 적어 공격권이 많은 덱을 만나면 힘들 수 있다.


카드 설명


메인 덱


오르페골 카노네(0~1장)


패의 오르페골을 특소하는 효과이다.

패에 스켈레촌이나 오르페골 트로이메어가 다 잡혀서 덱에서 묘지로 묻을 수 없을 때, 기르수나 종말의 기사 등으로 카노네를 덤핑하여 패의 오르페골을 특소해 전개와 후속을 챙길 수 있다.


오르페골 스켈레촌(1~2장)

묘지의 오르페골을 특소하는 효과이다.

주로 상대 턴에 딩기루스를 되살려 견제하는 역할을 한다.

초심자는 2장 채용하는 걸 추천하고 오르페골에 익숙해지면 1만 넣어도 상관없다.

 

오르페골 디베르(2~3장)

덱 특소를 담당하는 카드.

기르수와 더불어 오르페골의 전개 핵심 카드이다.

프라임이나 어석매 등으로 우라라를 유도하고 최대한 디베르를 통과시도록 노력하자.


잭나이츠 오르페골 기르수(3장)

오르페골 덤핑, 토큰 소환으로 개채수 복사 등 오르페골의 핵심 카드다.

상대 턴에 디베르의 효과로 특소하여 스켈레촌을 묻고 링크 개채수를 늘려준다.


오르페골 트로이메어(2장)

기계족 어둠속성을 덤핑 해주는 카드.

디베르를 묻어 전개를 하거나 성유물 성장을 묻어 자원 회수 및 전개를 매끄럽게 해주는 카드이다.

공격력을 올려주는 소소한 효과도 같이 있어 마스카레나의 타점을 상승시켜 지켜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다만, 필드에 공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몬스터가 존재해야 효과가 발동가능하다.


성유물 성장(1장)

패에 안잡히길 기도해야 하는 카드.

제외된 오르페골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카드이다.

덕분에 제외된 몬스터를 다시 묘지로 보내 상대 턴 견제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오르페골 바벨(1장)

오르페골 몬스터의 기동효과를 프리체인으로 만들어주는 효과.

덕분에 무덤의 지명자도 쉽게 회피 가능하다.

2번 효과도 손에 잡힌 호감패를 코스트로 다시 회수할 수 있는 괜찮은 효과.

최대한 탑을 지키면서 게임을 플레이하자


오르페골 프라임(1~2장)

손에 있는 호감 오르페골과 성장을 코스트로 2드로우를 땡길 수 있는 카드다.
여기에 가끔씩 우라라를 던지는 사람도 있는데 그러면 묘지에 묻힌 오르페골로 전개를 하자.

용병을 쓰는 구축에서는 안넣는 경우도 있다.


오르페골 클리막스(1장)

필드에 오르페골 링크 몬스터가 있을 때 사용 가능한 카운터 함정으로 발동을 무효하고 제외하는 좋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묘지에 이 카드를 제외하고 후속을 챙길 수 있다는 점도 좋지만 기계족/어둠 속성 제약이 걸리니 상대 턴에 써서 맹세를 피하자.


엑스트라 덱


오르페골 갈라테아(2장)

제외 존의 기계족 몬스터를 덱으로 회수하고 오르페골 마/함을 세트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주로 성장을 되돌리고 바벨을 세트한다.

회수하는 효과는 덱에 세트할 마/함이 없어도 사용 가능하다는 것과 링크 상태에서는 전투 내성이 있다는 건 알아두면 좋다.


오르페골 롱기르수(1~2장)

제외되어 있는 기계족 2장을 되돌리고 링크 상태의 몬스터를 묘지로 보낼 수 있다. 그래서 기르수의 토큰은 주로 상대 필드 존 옆 몬스터 존에 소환한다.

회수하는 효과는 갈라테아와 마찬가지로 반드시 몬스터를 보내지 못하여도 사용할 수 있다.

많이들 모르는 건데 링크 상태의 몬스터라 꼭 이 카드의 링크 마커 앞에 안있어도 묘지로 보낼 수 있다.

주의할 점은 효과를 쓰면 공격을 못하기 때문에 엑토커나 롱기르수로 바꿔 배틀에 들어가자.

갈라테아가 전투 내성이면 롱수르수는 효과 파괴 내성이 있다.


시오르페골 딩기르수 (1~2장)

오르페골 링크 몬스터에 겹쳐 소환 가능하다.

첫 턴 전개할 때는 제외 존의 오르페골을 회수하고 상대 턴일 경우 묘지로 보내는 효과를 써서 견제를 한다.

다른 효과는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여 필드의 카드 파괴를 막아주는 효과이다(턴제없음). 알아두면 가끔씩 쓰이니 기억해두자.


오르페골 오케스트리언(0장)

아무도 안써서 효과 몰라도 된다.

그냥 항아리 코스트로 보면 편하다.


시큐어 가드너(1장)

초융합 케어용 카드. 필드에 나올 일은 없음.
소재를 보면 마스카 1장으로 나올 수 있음. 그래서 필드에 마스카만 있어도 마스카 효과 사용가능
종말의 기사나 다크 그레퍼로 전개를 사작했다면 바벨과 마스카레나만 필드에 있을 것이다.

초융합을 케어하고 싶다면 마스카 효과 체인1 - 묘지의 디베르 효과 체인2로 상대한테 초융합 각을 안주면서 링크 소환을 실시할 수 있다.


벨즈 나이트메어

어둠 속성 레벨 4 몬스터 × 2
상대가 몬스터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특수 소환한 몬스터를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증지 케어용 카드.

종말의 기사나 다크 그레퍼로 전개를 시작했을 경우, 상대가 디베르 효과에 증지를 던지면 기르수를 소환하여 벨나메를 소환.

3드로우를 주는 기존의 갈라테아 클리막스 착지보다 안정적으로 착지를 할 수 있게 도와줌


덱 리스트

증지 2장

기르수 1장

딩기르수 1장

엑토커 1장

마스카레나 1장

총 6장


여기서 기르수 빼면 다 범용이니 만들어 두어서 손해볼 거 없음.

나머지 ur은 스토리 밀면 주거나 특설 상품에서 다 구할 수 있음.

다른 건 그렇다 쳐도 리틀나이트는 넣을 수 있으면 무조건 넣는 것을 추천함.


강의 대회 규칙이 변경되어서 변경된 기준에 맞는 덱리도 같이 올림.

규칙이 변경되면서 우증 각각3장에 범용 2장(마스카, 엑토커), 지명자 또는 포영 2장까지 넣을 수 있게 되었다.

기르수랑 딩기르수는 오르페골에 반드시 필요한 카드라 도저히 못 빼고 우라라와 지명자 1장씩 빼서 UR 갯수를 최대한 맞췄다.

번개, 증원, 닝기르수는 스토리 모드를 밀면 얻을 수 있다.

닝기르수는 그냥 항아리 코스트로 사용하기 위한 엑덱 체우기용이라 다른 카드로 대체 가능.

자체 테마 UR이 2종류밖에 없어서 값싸게 덱을 만들 수 있다.


아래는 가루 신경 안쓰고 만든 순수 페골 덱리임.



여러가지 오르페골 구축

죄보 페골

죄보 파츠를 채용하여 초동률을 올린 구축이다.
죄보로 오르페골에 접속할 수 있으며 2핸드부터는 견제도 늘어나 꽤 강한 덱.

롱기르수 빼고 리나 넣는 거 추천


호루스 페골

묘지에 묻어야하는 오르페골과 패를 코스트로 사용하는 호루스를 섞은 덱.

궁합이 매우 좋으며 니비루 케어가 가능하며 8축을 다양하게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탑이 제외 되어도 하피로 다시 회수가 가능하여 페골의 약점을 보완해준다.


티아라 페골

오르페골에 티아라를 섞어 티아라의 덤핑으로 페골 전개를 하는 덱이다.
파워는 티아라가 있어서 충분히 강하고 덱 가는 재미도 있다.


비스테드 페골

카르테시아로 손에 있는 오르페골과 융합하여 묻는 방법도 있고, 그랑기뇰 효과로 오트메를 묻어서 전개가 가능하다.

광/암 덱 상대로 꽤나 즐길 수 있다.


이 외에도 초중페골이나 스크랩 페골 등이 있지만 너무 전개 지향형이라 따로 소개하지는 않겠다.


오르페골 기본 전개법


링크리보 사용 X 및 상대턴 무브

https://youtu.be/I9V5STImZFs?si=FChTcaQ0KmYMgx-7

영상에서는 디베르로 2번 째 기르수를 사용했는데 덱에 기르수가 없으면 스켈레촌 소환해서 마스카로 스켈레촌 묻으면 됨.


링크리보 사용

https://youtu.be/DNZpgVnRjNU?si=U8JrOCYU7J0LpmW4

위 두 전개법은 딩기르수를 세움으로써 필드 마법을 파괴로부터 지켜주고 마스카레나의 전투파괴 또한 막아준다는 장점이 있음.

종말의 기사나 그래퍼도 디베르 묻고 동일하게 전개하면 됨.

대신 전개 결과물이 바벨이랑 마스카 1장 있음.


페골할 때는 상대턴에 체인 ON 해두는 걸 추천해 퀵 타이밍에 견제 날리는 경우도 많거든


비록 최근 티어덱에 밀려 범부가 된 덱이지만 충분히 재미있고 할만한 덱이라고 생각함.

특히, 다양한 용병을 채용해서 여러가지 구축을 만들어 플레이하면 계속 즐길 수 있을 거임.

마듀에 RR 지원 나오면 페골로 원핸드로 어라이즈나 대상내성 어라이즈도 세울 수 있음.


덱 소개글이라 심화적인 내용은 최대한 자제했는데 궁금한 점 있어서 질문하면 최대한 답변해줄게

한 번 만들면 길게 즐길 수 있는 오르페골 어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