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인증


데이터의 다이아1 둘다 세피라로 등반했음 앞쪽은 썬드랑 스까서 두번째는 온리 세피라로만( 세피라로 다1 찍었다ㅋㅋ - 유희왕 채널 (arca.live) )


세피라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이전에 말해야 할게 있는데


세피라 안내서 백업 - 세피라 마이너 갤러리 (dcinside.com)<< 세피라에 대한 거의 모든 것은 이 갤러리에 다 있음 이거 보고 굴리면 쉽게 익힐수 있음


다만 마듀가 아닌 오프 기준이고, 또 조금 옛날식 전개법이 써있기도 해서 마듀에 맞게 내가 간략하게 설명만 할까 함


1. 개요

먼저 세피라란 무엇인가를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


세피라는 펜듈럼인 동시에 하리파이버-아우로라돈 싱크로 굿스터프 덱임


거기서 거기인 하리로라돈이 아니냐고 할수 있지만 개인적으로 하리로라돈을 뼛속까지 깊이 써먹는건 용천보다 세피라가 더하다고 생각함 용천은 액셀싱크로도 안하잖아


무엇보다 여타 하리로라돈과는 다른 '2 카운터 함정'이 세피라만의 특색이라고 할수 있다


또한 하리로라돈이기에 여타 다른 펜듈럼 덱들보다 펜소에 대한 의존도가 적고 여차하면 펜소 한번 안하고 전개할수도 있다


세피라의 장점

1.최고점이 용천보다도 높다

가지수만 해도 최대 7방해임


2.엔디미온이나 아다마시아 같이 오직 몬스터 퍼미션에만 의지하지 않아 띵결/일적을 잘 방어할수 있다

카함을 2장이나 까는데 세피라보다 카함 많이 깔수 있는 덱은 패가 존나 잘나오고 패트랩 하나 안맞은 인페르니티뿐이다


3.파괴수나 라부랄 라바 골렘 등에도 강력함

파괴수는 보통 가메시엘or가다라인데 이녀석들과 라바골렘은 8렙이다

보통 하리파를 남겨 상대턴에 액셀 싱크로를 갈기는 세피라로선 그냥 포뮬러 뽑고 1드로우 하고 파괴수나 라바랑 싱크로 해서 바로네스 뽑으면 됨 라부랄은 10렙이라 안되고

물론 그런 이유뿐만 아니라 퍼미션 수단이 절반은 카운터 함정 즉 후열에 위치해 있기에 설령 몬스터가 다 터져도 신격 구지는 남고

구지도 펜듈럼 특성상 스케일에 후우시/시우고가 있으면 룡성 몬스터가 필드에 없어도 발동 가능함


3.유연한 플레이

한마디로 말하면 패트랩을 맞아도 매 순간 자신의 패에 따라 우회할 방법이 이리저리 생김


세피라의 단점

1.후공의 무력함

세피라의 후공은 가이저-해마 라는 강력한 날먹 턴킬 루트가 있긴하다

문제는 상대가 바보가 아닌 이상 선공에 필드를 세워뒀겠지? 그걸 뚫고 저걸 통과 시키는것도 어려움

무엇보다 요즘 덱들은 전개를 하면서 견제를 날리고 퍼미션 몹이 금방금방 튀어나오는데(EX:73바로네스/드라코백/비슈다 등) 세피라는 퍼미션 몹도 늦게 튀어나오고 저런 식으로 바운스할수 있는 카드도 없음


2.패말림

덱에 호감가이가 드럽게 많음. 용천도 많다많다 하는데 세피라는 더 빡세게 느껴진다 기껏 선공 잡고 패말리면 자살하고 싶음


3.패트랩에 취약

위에서 말한 패트랩을 우회하는 유연한 플레이란 즉 패트랩을 많이도 쳐맞는단 말과 일맥상통하다

증G는 당연. 세피라 파츠 절반이 서치이니 우라라도 당연. 젯싱 탓에 묘지도 쓰니 와라시도 맞고. 어트랙터 맞으면 새비지도 바로네스도 못뽑는다. 드롤? 세피라 전개는 서치가 거의 절반임. 롱기는 그나마 덜 아프긴 함.


4.비쌈

기본이 굿스터프라서 엑덱에 좋다는 범용은 싹다 꽉꽉 눌러담겨 있다

세피라 파츠 자체의 UR은 그라마톤 뿐이라 3개만 만들면 되지만 후술할 엔디미온 파츠로 인해 UR개수가 더 증가하고 덱리에 따라 어석매/테라포밍/용의 계곡 등이 더 추가된다

근데 엔디미온이나 다이놀피어 보단 싸니까 괜찮은것 같음


5.그래서 왜 용천 안함??


2.세피라의 축


이 세피라에는 크게 2가지 구축이 있는데 엔디미온축과 음향전사 축이다


엔디미온 축은 세피라 덱의 고점을 팍 늘려주고 서번트가 패에 잡히면 각종 패트랩 케어와 증g를 맞았을시 시우고로 서치하는 구지와 함께 저점의 역할도 담당하는 만능임


음향전사축은 사실 나도 잘 모르긴 하는데 이쪽은 아크 디클레어러를 굉장히 빠르게 세우는데 저점만이라면 이쪽이 월등하다 게다가 디멘션 포스에 나올 기타리스라는 음향전사 지원이 나오면 음향전사 축이 더 강해질지도 모른다


나는 처음 만들때부터 아예 엔디미온축만을 사용해왔고 아마 계속 그럴 예정이기에 엔디미온축 세피라에 대해 이야기 하려고 함


3.메인덱 파츠 설명


3-1.세피라 파츠


우선 세피라덱이니까 세피라 카드부터 설명하겠다


세피라 트라 그라마톤

"세피라 트라 그라마톤"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세피라" 펜듈럼 몬스터 1장을 골라, 자신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넣고, 이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을 턴 종료시까지, 그 펜듈럼 몬스터의 펜듈럼 스케일과 같도록 한다. 


우선 세피라의 영원한 에이스이자 결코 볼수없는 라투디의 소유자인 그라마톤임 몬스터 효과는 쓸일 없으니 생략함


세피라는 기본적으로 저스케일과 고스케일로 전개를 시작하는데 그라마톤은  저 엑덱 덤핑 효과로 양쪽 다 대응 가능함


보통은 후술할 시우고를 올려 7스케일을 맞추고 올린 시우고를 펜소하여 세피라의 신격(카함)을 서치한다


3꽉


후우시와 시우고


룡성이자 세피라인 이 두녀석들은 보우텐코우와 구지가 세피라와 같은 카드군이라는것을 알려준다 그러니까 룡성몹들 용병 아님 수구



둘다 펜듈럼 효과는 룡성or세피라 몬스터밖에 펜소 못한다는 제약만 있을뿐 별다른 효과는 없다


보룡성-세피라후우시

이 카드명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가 펜듈럼 소환 또는 덱에서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보룡성-세피라후우시" 이외의 자신 필드의, "룡성" 몬스터 또는 "세피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그 앞면 표시 몬스터를 튜너로 취급한다. 이 효과를 발동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주인의 덱 맨 아래로 되돌아간다.



후우시는 보통 시우고와 같이 펜소 되어 시우고를 튜너로 만들어 손쉽게 하리파를 뽑을수 있게 하는데



고점을 보려면 엘렉 먼저 뽑는게 나아서 보통은 튜너로 만든 시우고와 함께 엘렉을 뽑음



사실상 시우고의 서치 효과에 던져지는 패트랩을 막기 위한 체인 꼬기용 효과라고 봐도 무방함



물론 패 따라서는 엘렉 안가고 그대로 하리파 가야할수도 있으니 완전 무용지물은 아님



그 밖에 일소가 되는 하급 세피라라는 점에서도 유용한 카드다



 비룡성-세피라시우고 

 이 카드명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가 펜듈럼 소환에 성공했을 때, 또는 자신 몬스터 존의 이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룡성" 마법 / 함정 카드 또는 "세피라"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시우고는 세피라의 알파이자 오메가인 카운터 함정 '세피라의 신격'을 서치하기 위한 핵심 카드중 하나다



그라마톤을 스케일에 세팅하고 맨 처음에 하는것이 이 시우고를 엑덱으로 덤핑하는거임



시우고를 덤핑하고 그대로 펜소 한 후에 신격을 서치한다. 반대로 말하면 얘를 못뽑거나 막히면 신격 못쓰는거나 마찬가지임



그 외에도 보우텐코우의 유언으로 덱특소되어 하리파와 액셀 싱크로를 하는 용도가 있지만 이건 후술함



둘다 2장씩 들어가는데 후우시는 1장만 넣기도 한다



세피라의 신의, 세피라의 신탁


세피라의 굉장히 유동적인 서치 사이클인 동시에 드롤을 맞으면 죽는 이유이기도 한 서치 카드들임


"세피라의 신의"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덱에서 "세피라의 신의" 이외의 "세피라"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②: 자신 필드의 "세피라" 카드가 파괴될 경우, 대신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사용할 수 없다.


먼저 일러부터 족간지 나는 신의부터 살펴보자.


1번 효과를 보면 알곘지만 세피라의 만능 서치 카드다 이거 하나로 신의-신탁-그라마톤 이런 식으로 엔디미온 파츠의 마력 카운터도 금방 채울수 있고 신의로 카함인 신격을 서치하는것도 물론 가능함


2번 효과도 굉장히 중요한데 이는 후술할 카운터 함정인 구지의 룡성 파괴 효과를 신의로 씹은 후 그렇게 해서 파괴되지 않은 룡성몹(보통 시우고)를 하리파와 액셀 싱크로 하는 세피라의 주 기믹중 하나가 된다.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이 카드의 발동시에 덱에서 "세피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②: 이하의 몬스터를, "세피라" 몬스터를 사용하여 의식 소환, 또는 "세피라" 몬스터를 소재로서 특수 소환했을 때, 자신은 각각의 효과를 1턴에 1번씩 발동할 수 있다.
●의식: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덱으로 되돌린다.
●융합: 패의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싱크로: 덱의 몬스터 1장을 덱의 맨 위에 놓는다.
●엑시즈: 덱에서 1장 드로우하고, 그 후 패를 1장 버린다.


 세피라의 신탁


사실 2번 효과는 볼 필요가 없다 중요한 것은 세피라 몬스터를 서치하는 1번 효과임


신의 보다 가져 올수있는 카드 자체는 적지만 그라마톤을 가져올수 있다는 점에서 사실상 중요 초동인 그라마톤이 9장 들어간것과 마찬가지인 효과를 낸다


2번 효과를 아예 안쓰는건 아닌데 의식 융합 엑시즈는 소환할 일이 절대 없으니 싱크로 소환했을때의 몬스터 한정 덱 조작 효과를 가끔 쓰게 된다


보통은 하리파로 액셀 싱크로 할때 덱 바운스 효과가 있는 쇼후쿠를 주로 뽑는데 이때 시우고 등으로 싱크로를 함으로 세피라 몬스터로 싱크로를 한다는 조건이 충족 되어 발동 할수 있다


그래서 쇼후쿠(체인1)-신탁(체인2)발동 이런 식으로 체인을 꼴수도 있다


둘다 3꽉


아스테라나이트-세피라뷰트,  이사테라나이트-세피라츠반 


세피라이자 테라나이트라는 카드군이기도 한 카드들


먼저 뷰트를 보자

"아스테라나이트-세피라뷰트"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반전 소환 / 펜듈럼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몬스터 존 / 펜듈럼 존의, "테라나이트" 카드 또는 "세피라" 카드 1장과, 상대 필드에 세트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심플하게 일소 펜소 되면 세트 카드 한장을 지정하고 파괴 할수 있다


보통 그라마톤이 스케일에 있기에 그라마톤을 깬다. 상대의 세트를 견제하는 좋은 효과를 가진 데다가 7스케일이라 시우고가 전부 패에 잡혀버리면 이녀석을 덤핑하여 스케일에 맞춘다


다음은 츠반

"이사테라나이트-세피라츠반"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반전 소환 / 펜듈럼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몬스터 존 / 펜듈럼 존의, "테라나이트" 카드 또는 "세피라" 카드 1장과,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뷰트와 대비되는 효과로 세트 대신 앞면 표시 카드 하나를 파괴할수 있는 효과다 나머진 뷰트와 같음


둘다 각각 1장씩 혹은 둘중 하나만 채용한다


세피라의 신격, 룡성의 구지


구지는 아마 지겹게 봤으리라 생각함


먼저 신격을 보자

①: 몬스터의 효과 / 마법 / 함정 카드가 발동했을 때, 자신 엑스트라 덱에서 앞면 표시의 "세피라"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심플하고 간단한 효과다 보통 엘렉으로 깬 그라마톤을 코스트로 씀 세피라의 상징과도 같은 카드


 ①: 자신 필드에 "룡성" 카드가 존재하고, 몬스터의 효과 / 마법 / 함정 카드가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그 카드를 주인의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룡성"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구지


아마 모두가 잘 알겠지만 굳이 설명하는 이유는 텍스트 마지막의 ["룡성"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때문임


용천은 보통 쵸호우를 깨고 다른 굿스터프도 리훈이나 헤이칸 등등 룡성 몬스터를 구지의 사용 후 효과로 파괴하는데 세피라는 다르다


구지의 효과는 세피라와 총 2가지의 시너지를 내는데


이 두 카드가 구지와의 완벽한 시너지를 낸다


먼저 시우고를 보자

자신 몬스터 존의 이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룡성" 마법 / 함정 카드 또는 "세피라"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보이는가? 파괴되었을 때에 세피라 및 룡성 마함을 서치할수 있는 효과를


시우고가 증g 착지점이란 것도 이것 덕분이다 


시우고를 펜소하고 1드로우를 주고, 구지를 서치해서 세트 후 엔드한다면 상대 턴에 구지를 발동하고 난 뒤 시우고를 깨서 신의 등을 서치해 후속도 마련할수 있다


두번째는 신의

②: 자신 필드의 "세피라" 카드가 파괴될 경우, 대신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사용할 수 없다. 


이건 심플하다 구지의 파괴 효과를 신의의 2번째 효과로 막는것이다


보통은 전개 마지막에 시우고가 나와있을텐데 터지면 서치 되니 좋은거 아닌가요 싶겠지만 틀렸다


일반적인 전개 끝에는 항상 하리파이버가 나와있기 때문에 구지를 먼저 사용해 신의로 시우고 등의 파괴를 막은 뒤


하리파의 액셀 싱크로 효과로 포뮬러/슈팅라이저 등을 뽑은 후 그 시우고를 액셀 싱크로 소재로 사용하는거다


이 덕분에 세피라는 단순히 퍼미션만 늘어 놓는것이 아니라 마치 (마스카-유니콘)처럼 상대 턴에 느닷없이 1바운스or그냥 바로네스 뽑아서 퍼미션+1을 택할수 있음


솔직히 순수룡성 다음으로 구지 잘 써먹는 덱이라고 생각함


카함 둘다 서치해서 세트하므로 1장씩만 넣음. 첫패에 잡히면 호감가이임


3-2.엔디미온 파츠

서번트 오브 엔디미온, 마력통할


서번트를 보자 먼저

①: 자신 또는 상대가 마법 카드를 발동할 때마다,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1개 놓는다.
②: 이 카드의 마력 카운터를 3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의 마력 카운터를 놓을 수 있는 공격력 1000 이상의 몬스터 1장과 펜듈럼 존의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고, 그 2장에 마력 카운터를 1개씩 놓는다.


몬스터 효과는 쓸일 없으니 생략하고 펜듈럼 효과만 보자


마법을 쓰면 마력 카운터가 1개씩 쌓이고, 3개가 쌓이면 째고 덱에서 마력 카운터를 놓을수 있는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보통은 몬스터 퍼미션인 킹자칼or마함 퍼미션인 마도왕 둘중 하나를 뽑음


이 카드의 존재로 인해 세피라는 니비루뵐러우라라토컬or포영을 케어할수 있다


마력통할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덱에서 "엔디미온"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그 후, 자신 필드의 마력 카운터를 놓을 수 있는 카드에, 자신의 필드 / 묘지의 "마력통할" "마력장악"의 수까지 가능한 한 마력 카운터를 놓을 수 있다. 


사실상 서번트를 3장 더 넣는것과 마찬가지인 엔디미온의 서치 카드


이미 서번트가 패에 있는데 이것도 같이 잡혔다면 마도왕을 가져와서 킹자칼과 마도왕을 동시에 필드에 내는 최고점 전개가 가능하다


둘다 3꽉

매직비스트 킹자칼, 창성마도왕 엔디미온


둘다 기본적으로는 서번트로 불러내어 상대의 패트랩을 방어하기도 하고 필드에 퍼미션을 더 낼수 있는 몬스터 들이기도 하다


먼저 킹자칼

펜듈럼 효과

이 카드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다른 한쪽의 자신의 펜듈럼 존에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파괴하고,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매직비스트 킹자칼"이외의 앞면 표시의 "매직비스트"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몬스터 효과

 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또는 상대가 마법 카드를 발동할 때마다,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2개 놓는다.
②: 1턴에 1번, 효과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 자신 필드의 마력 카운터 2개를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보통은 서번트로 불러내어 퍼미션 효과만 쓰지만 마켈베를 투입하면 펜듈럼 효과도 사용한다


또한 마법을 쓸때마다 2개씩 쌓이는 카운터를 이용해서 전개 마지막에 마도왕의 펜듈럼 효과로 마도왕을 필드에 낼수도 있다


마도왕

펜듈럼 효과

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 필드의 마력 카운터를 6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펜듈럼 존의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 필드의 마력 카운터를 놓을 수 있는 카드의 수까지, 필드의 카드를 골라 파괴하고, 파괴한 수만큼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놓는다.

몬스터 효과

 ①: 1턴에 1번,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마력 카운터가 놓여 있는 카드 1장을 골라 주인의 패로 되돌리고, 그 발동을 무효로 하여 파괴한다. 그 후, 패로 되돌린 그 카드에 놓여 있던 수만큼 마력 카운터를 이 카드에 놓을 수 있다.
②: 마력 카운터가 놓여 있는 이 카드는 상대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으며, 상대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③: 마력 카운터가 놓여진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일반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이쪽도 보통은 마함 퍼미션만 사용하지만 최고점에는 펜듈럼 효과로 킹자칼의 카운터를 짼 후 자신 필드의 신탁이나 펜듈럼 존의 카드들을 깨고 튀어 나올수 있다


카운터가 놓이면 대상 내성에 파괴내성도 있어서 은근 든든한 카드임


보통 둘다 1장씩만 넣지만 킹자칼의 경우 마켈베를 투입하면 2장을 넣기도 한다


매직비스트 마스터 케르베로스


취향이 조금 갈리는 카드임


펜듈럼 효과

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다른 한 쪽의 자신의 펜듈럼 존에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파괴하고, 덱에서 레벨 7 이하의 "매직비스트" 효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몬스터 효과

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또는 상대가 마법 카드를 발동할 때마다,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2개 놓는다.
②: 자신 필드에 마력 카운터가 4개 이상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③: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마력 카운터를 4개 제거하고,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제외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상대 턴 종료시까지, 제외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 올린다.


몬스터 효과도 쓸 각이 나오면 쓰긴 하는 유용한 효과인데 중요한건 펜듈럼 효과다


자신을 파괴하고 매직비스트를 서치하는데 세피라에선 킹자칼 외엔 마켈베가 아닌 매직비스트가 없다 즉 무조건 킹자칼을 들고 오는데


킹자칼의 효과를 보자

①: 다른 한쪽의 자신의 펜듈럼 존에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파괴하고,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매직비스트 킹자칼"이외의 앞면 표시의 "매직비스트"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즉 서치 킹자칼을 다시 펜존에 놓고 자괴해서 엑덱으로 덤핑된 마켈베를 다시 뽑을수 있다는 말이다


선공에 이놈 뽑아봤자 뭐하냐고 할수 있는데 엘렉or하리파의 재료를 하나밖에 마련할수 없으면 이녀석 한장으로 필드에 펜듈럼 몬스터를 낼수 있는것이 장점이다


그게 아니더라도 엘렉 뽑은 후에 엘렉으로 반대편 펜듈럼 카드를 깬 후 킹자칼로 엘렉 링크 앞에 뽑아서 몬스터 하나를 +1 해줄수도 있다


1장만 들어가고 이 카드가 들어가면 킹자칼도 1장 더 들어가서 2장을 넣음


3-3.DD 파츠


케플러, 지옥문, 라미아


요즘 한창 챈에서 대유행중인 DD. 세피라는 얘네도 쓴다


이 3 카드는 항상 붙어다닌다 순서대로 서로 서치해나가는 유기적인 효과가 좋음


케플러부터 보면

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DD(디디)"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덱에서 "계약서"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덱에서 계약서를 서치하는 중요한 효과다


케플러는 보통 엘렉트럼으로 엑덱으로 올린 후 엘렉의 효과로 패로 가져와서 일소한다


세피라에 목숨보다 중요한 "튜너"를 보충하는 중요 방법임


또한 이 카드 단 한장으로 여느 하리로라돈 덱들이 젯싱 원핸드 하리파 하듯이 케플러 하나로 원핸드 최소 전개가 가능하다


다음은 지옥문의 계약서

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DD(디디)"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이걸로 보통은 라미아를 서치한다 하늘이 두쪽나도 케플러를 서치하진 않음


케플러는 애초에 계약서를 불러오는 용도이기 때문에 이 카드 단독으로 잡히면 그냥 라미아 가져와서 라미아 일소하고 소재로 써먹고 묘지로 간 라미아의 효과로 게약서를 코스트로 다시 특소하면 된다


역시나 이 카드 하나로도 최소한의 원핸드 전개가 가능함


마지막으로 라미아

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할 경우, 패 및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카드 중에서, "DD(디디) 라미아" 이외의 "DD(디디)" 카드 또는 "계약서"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솔직히 요즘 대유행인 엑시즈축 DD보다 잘 써먹는다고 생각함 개네는 빌가메스 대부분 소재가 끝인데 여기는 얘로 튜너가 소재인 하리파도 뽑고 앜디클로 싱크로도 함


세피라에게 굉장히 중요한 튜너라서 케플러와 계약서로 가져와 소환하는 중요 전개 요원이지만


DD파츠 중에 유일하게 손에 잡히면 빡치는 호감가이다. 얘 혼자 있으면 소생도 못하고 그냥 일소밖에 방법이 없다


가끔 크로노그래프로 손에서 튜너 내릴때 애를 내리기도 하는데 엥간하면 손에 안잡히는게 나음



케플러로 계약서를 서치하고 계약서로 라미아를 서치해서 라미아를 계약서를 코스트로 특수 소환하는 빈틈없이 유기적이 효과가 인상적인 DD파츠들


각각 한장씩만 투입한다


3-4.패왕 파츠


이쪽은 덱을 압축한다 하면 제일 먼저 빠지는 파츠들임. 대회 우승 덱리도 얘네를 뺀거고


그래도 나는 얘네 넣은것도 강하다고 생각함 이번 듀컵도 얘네 넣은 53장 덱리로 20찍었음


패왕권룡 다크브룸, 패왕문 제로


다크브룸부터 보자 펜듈럼 효과는 생략

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패왕문"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1번과 2번 둘다 매우 유용한 효과다


1번으로 묘지에 있는 이 카드를 소생시키고 2번을 발동하여 스케일0의 패왕문 제로를 서치한다


엘렉트럼의 소재인 펜듈럼 몬스터를 필드에 내는 동시에 저스케일 카드도 서치하는 굉장히 좋은 효과를 가지고 있음


다만 소생할때 체인 증g 맞으면 눈물남


패왕문 제로는 아무것도 필요 없음 그냥 "스케일0"이것만 기억하면 됨


각각 1장씩 넣는다. 애초에 다크브룸은 제한카드임


그러면 묘지에서 소생해야 진가를 발휘하는 이 다크브룸을 어떻게 묘지에 묻어야 할까?


용의 영묘, 용의 계곡, 어리석은 매장


영묘의 효과

①: 덱에서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이 효과로 묘지로 보내진 몬스터가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였을 경우, 추가로 덱에서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낼 수 있다. 


바닐라 추가 효과는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우리는 어차피 효과 몬스터만 묻음


계곡

①: 1턴에 1번, 패를 1장 버리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여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드래그니티"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덱에서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드래그니티는 당연하지만 덱에 없고 2번 효과를 쓴다 보통


패코스트를 지불하지만 1턴 1번 제약이 있는 영묘가 막혀도 또 쓸수도 있고 데스트루도 같은걸 버리면 손해도 없다.


이 카드와 신탁이 필드 마법이라서 패왕 파츠를 투입하면 테라포밍이 들어감. 덱값+1


어석매는 굳이 말하지 않아도 잘 알거라 생각함 그냥 묻어


영묘는 2~3장, 계곡은 1장 투입한다. 어석매는 제한이고


망룡의 전율-데스트루도 


저 덤핑 카드들중 영묘와 계곡은 문제가 하나 있는데 덱에 드래곤족이 없으면 발동을 못한다


즉 영묘와 계곡도 있는데 패에 다크브룸도 같이 잡혔으면 쓰레기 패가 2장이나 되버리는거다 그렇기에 넣는것이 이 데스트루도다


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할 경우, LP를 절반 지불하고, 자신 필드의 레벨 6 이하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레벨이 대상 몬스터의 레벨만큼만 내려가고,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주인의 덱 맨 아래로 되돌아간다.


라이프 절반이라는 웃음밖에 안나오는 코스트로 손쉽게 몬스터를 불러낼수 있다.


무엇보다 이녀석 튜너라서 묘지에 묻어두면 전개가 패트랩에 한번 막혀도 이놈을 꺼내서 2페이즈 시작 가능함


전개 막바지에 앜디클을 뽑는데 젯싱을 부활시킬 패코스트도 없다면 그냥 이녀석을 이미 필드에 나와있을 시우고를 찍고 소환하면 된다 그럼 1렙 튜너가 됨


정말 유연하고 쓸데가 많은 좋은 카드임 1장 투입함


3-5.크로노그래프 매지션


마술사의 두 비기중 하나인 크로노그래프


파란놈은 많이들 알겠지만 크로노그래프는 모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펜듈럼 효과와 2번 몬스터 효과는 세피라가 쓸 일 없으니 제끼고 하나만 보자

①: 자신 필드의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패에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긴급 튜너 소환용 카드다. 일소권을 쓰고 엘렉을 뽑았거나 급하게 튜너를 패에서 내려야 할 때 엘렉으로 가져와서 아스트로그래프 쓰듯이 자기 거 깨고 가져와서 그 깨는 효과에 반응해서 쓴다


케플러와 더불어 엘렉으로 가져올수 있는 두 튜너 공급중 하나임


가끔 아스트로그래프는 안쓰냐고 묻기도 하는데 애초에 같은 이름의 카드가 굿스터프 덱이라 별로 없을 뿐더러


여러장 들어가는 카드는 대부분 한장은 덱이 있어야 하는게 중요한 카드들이 많아서 그닥 좋지 않다


3-6. 어버이해마

세피라가 후공을 시도라도 해볼수 있는 카드


이 카드는 환룡족 몬스터의 효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3번까지 사용할 수 있다.
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레벨을 1개 내리고, 자신 필드에 "해마 토큰"(환룡족 / 물 / 레벨 1 / 공 300 / 수 200)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를 보면 알겠지만 혼자서 토큰 3개를 뽑는 환룡로라돈이나 다름없는 카드다 게다가 본인은 또 튜너라서 토큰이랑 합치면 하리파도 나옴


이 카드로 전개를 해서 바렐스워드를 뿅 하고 뽑는것이 세피라의 후공 턴킬 루트다


다만 환룡족 몬스터의 효과로밖에 특수 소환할수 없다는 제약이 있어서 보통은 사룡성 가이저로 덱특소한다


선공 첫패에 잡히면 좆같은 호감가이의 일원


1장 투입함


3-7.제트 싱크론

이른바 젯싱


패 코스트 1장을 대가로 원하는 타이밍에 소생할수 있는 분보그와는 다른 차별점을 가진 카드다


당연하지만 하리파 효과로 불러오고 몬스터 수가 적을때 하리파를 남기기 위해 경위를 만들고 다시 소생해서 아우로라돈으로 잇거나


마지막에 튀어나와 앜디클을 만든다


분보그를 안쓰는 이유는 용천과 똑같음 가끔 필드가 꽉차 있어서 못나왈수도 있거든


3-7. 패트랩과 지명자

우라라와 무명자는 필수다 증g맞으면 죽어야 하기 때문


말명자는 덱 스페이스가 50을 넘어가고 압축해도 42는 되는 세피라로선 넣기 힘들다 패트랩을 넣을수 있는 수가 적은 만큼 말명자로 막을수 있는 카드도 적음


증G는 안쓰는 사람도 많음 통과 시켜 턴을 받거나, 내 턴에 빠질 우라라를 대신 빼는 용도


감마는 오프가 제한이라 오프하고 마듀하고 가장 괴리가 있는 카드인데 난 좋다고 생각해서 넣고 있음


4.엑스트라 덱


먼저 엑스트라 덱은 대부분이 범용이라 흔히 알만한 것들은 효과까지 쓰진 않곘음


먼저 잠깐 덱리에 대해 이야기 하겠는데 내가 올릴 덱리는 총 3개임


각각 42세피라/53세피라/2022서울홀 우승자 덱리


우승자 덱리도 42긴 하지만 내건 살짝 커스텀 한거라 좀 다름 그러나 셋다 엑덱은 똑같기에 엑덱은 한번에 묶어서 설명할거임

왼쪽부터 보자


1.포뮬러 싱크론 : 하리파이버로 바꿔먹는 싱크로 튜너. 이녀석으로 쇼후쿠(덱바운스)나 바로네스 나온다.


2.아크 디클레어러 : 필드에 있을시 패 덱에서 묘지로 보내지는 몬스터는 제외되고 스스로를 릴리스하고 발동하는 몬마함 퍼미션을 가지고 있음

보통 전개 마지막에 뽑으며 일적 방어도 되는 카드임


3.보우텐코우 : 서치,덤핑,덱특소 다하는 삼종신기의 카드. 근데 세피라는 덤핑은 잘 안씀 어버이해마 덤핑하고 새비지 대신 바로네스 뽑을때 정도 이외엔 굳이?

서치는 당연히 구지를 서치하고 덱특소는 시우고를 소환 없다면 후우시를 소환한다


4.가이저 : 위에 말한 어버이해마를 소환하기 위한 카드임 그 외엔 잘 안씀 턴 받고 가끔 1파괴 용도로 뽑는 정도.


5.쇼후쿠 : 하리파로 상대턴에 뽑아서 덱 바운스를 하는 어마무시한 카드. 어버이 해마와 병용하면 2바운스도 가능함

선공 잡고 전개 후 이 카드를 뽑고 턴을 받으면 소생 효과로 몹을 늘려서 바렐 스워드를 쉽게 뽑을수 있게 해줌


6.새비지 : 매우 많이 봤을 그 카드. 보통 아우로라돈을 장착한다. 2~3턴 동안 매턴 쓸수 있어서 턴 받고도 견제가 쉽고 타점도 높아서 턴킬 내기도 좋다


7.바로네스 : 새비지보다 익숙한 그 새끼. 세피라는 솔직히 말해 잘 안뽑는다. 선공 전개에서는 진짜 거의 안나옴. 나온다면 상대턴에 쇼후쿠 대신 뽑거나, 턴 받고 남은 애들로 대충 뽑을때 나온다


8.알미라지 : 링크리보나 새크리파이스 아니마로도 대용이 되긴 함. 얘로 바꿔먹는건 어차피 젯싱이랑 케플러 라미아 뿐이다 젯싱과 계약서 원핸드 할때 필수 카드임

다만 링크리보면 어버이해마 토큰을 효과몹으로 바꿀수도 있어서 그런 쪽으론 더 좋은데 굳이 알미라지를 쓰는 이유는 후술할 히타 떄문임


9.엘렉트럼 : 펜듈럼의 신. 근데 다른 펜듈럼과는 좀 다르게 쓴다. 굳이 말하자면 튜너 싸개 느낌임. 보통 펜소 이후에 엘렉을 뽑으며 케플러or크로노그래프를 가져와서 튜너를 뽑는다


10.하리파 : 그냥 신. 말할 필요도 없다. 젯싱을 가져와서 아우로라돈으로 잇는데 다만 세피라는 하리파를 소재로 아우로를 뽑지 않는다

보통 경위와 젯싱으로 아우로를 뽑고 하리파는 상대 턴에 액셀 싱크로 함 패말리면 그냥 하리파를 소재로 써야하고...


11.히타 : 히타가 조금 뜬금 없을수도 있는데 이는 2022 서울홀 우승자 덱리의 카드이다. 우라라 케어 용도의 카드인데 어떻게 쓰냐면 오라이온 원핸드or 엘렉이 있는 상황에서 케플러가 막혔을때에 쓴다


세피라는 전개 하기 전에 서치를 무지막지하게 많이 하는데 가끔 우라라 한대 맞고 전개를 멈추는 경우도 왕왕 있다 그때 오라이온을 일소하고 알미라지로 바꾼 후 토큰과 합쳐서 히타를 뽑는다

우라라는 화염속성 튜너이기 때문에 히타로 상대 묘지의 우라라를 가져와서 하리파로 잇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엘렉트럼도 화염이라 튜너 없을땐 얘를 뽑아서 상대 묘지의 우라라를 긴빠이 가능

그치만 거의 안쓰기도 함 나도 두번인가 세번밖에 안 써봤음


12.경위 바리케이드베르그 : 다른 덱에선 하리파가 막혔을때 다른 몹 2개 합쳐서 아우로 뽑는다던데 세피라는 그게 중요한게 아니다

물론 하리파 막혔을때도 쓰기도 하지만 보통은 하리파를 필드에 남기기 위해 일부러 경위를 뽑고 경위+젯싱으로 아우로라돈을 뽑는 것이다.


13.아우로라돈 2장 : 2장인 이유는 흔히 알다시피 뵐포 케어 용도임 세피라는 하리파가 보통 남아 있어서 그냥 하리파+아우로로 새 아우로를 뽑는다.


14.바렐 스워드 : 3링크가 아우로라돈 뿐인데 아우로가 필드에 남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래서 토커를 잘 못씀 그걸 위한 바렐 스워드임 가히 턴킬의 제왕이라 불릴만 하며 6천어라이벌과 싸워도 지 혼자 살아남을수 있다. 아스트람? 못이김 수구


번외)


이 외에도 세피라는 트리슈라, 메타파이즈 호루스 드래곤, psy프레임 로드 오메가 등 다양한 카드들을 쓸수도 있지만 나와 내 덱의 원류인 서울홀 우승자분은 쓰지 않는다


다만 그와는 별개로 넣어볼만한 카드가 있는데

바로 슈팅 라이저 드래곤이다.

①: 이 카드가 싱크로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이 카드보다 낮은 레벨을 가지는 몬스터 1장을 덱에서 묘지로 보내고, 그 몬스터의 레벨만큼만 이 카드의 레벨을 내린다. 이 턴에, 자신은 묘지로 보낸 그 몬스터 및 그와 같은 이름의 몬스터의 몬스터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②: 상대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포함하는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싱크로 소재로서 싱크로 소환한다.


액셀 싱크로 효과를 보면 알곘지만 이녀석은 하리파로 상대턴에 뽑는다


포뮬러와는 다르게 1장 드로우가 없지만 마음대로 레벨 조정이 가능하다는 점이 강점이다


주로 쇼후쿠가 필요 없어 바로네스를 뽑을때 포뮬러면 효과를 쓴 카운터가 1~2개나 남아있는 새비지를 소재로 해야 하지만


라이저는 그냥 덤핑하고 레벨 낮춰서 시우고나 후우시하고 싱크로하면 그만이다


또 시우고가 전부 패에 잡혀 보우텐코우의 유언으로 후우시를 뽑을수밖에 없을때에도 포뮬러라면 그냥 새비지-바로네스를 해야하지만


이녀석은 그냥 레벨 조정하고 또 후우시랑 싱크로하면 됨


포뮬러와 같은 액셀 싱크로 카드지만 포뮬러를 빼지는 않고 2장째 아우로or히타 자리에 대신 넣는다. 취향 차이임. 나도 옛날엔 넣었었음


5.덱 리스트


아까 말했다시피 총 3개의 덱리가 있다

1.서울홀 우승자 덱리

2.내가 쓰는 42장 압축 덱리

3.역시나 내가 쓰는 53장 덱리


1번부터 보겠다

서울홀 우승자의 덱리


심플한 압축 세피라에 마켈베와 킹자칼을 투입한 형태임


또한 감마가 없는데 이건 오프의 감마가 제한 카드라서 그럼


굉장히 좋은 덱리라고 생각하지만 내 취향에 맞지 않는 부분을 커스텀 한게 아래쪽 덱리들임

42압축 세피라


카드 매수는 똑같지만 감마가 들어가 있고 세세한 파츠 부분에서 차이가 난다


먼저 세피라 파츠들을 보면 후우시가 +1 되어 있고 츠반이 빠져 있다


또 엔디미온 파츠는 마켈베가 빠짐으로서 킹자칼도 같이 빠졌다


어버이해마는 내가 패에 잡히는게 너무너무너무너무 좆같아서 빼버림


개인적으로 일소가 가능한 후속인 후우시를  생각해서 +1하고 감마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마켈베와 킹자칼 1장을 뺐음


지지난 시즌 다1은 거진 이 덱리로만 달려서 달았다


무명자와 우라라가 잘 잡혀서 증G나 견제를 막기 수월하고 후공일 때도 패트랩이 잘 잡혀서 턴받기 좋은 덱리임


다만 매수가 적어진 만큼 호감가이가 잡힐 확률이 늘어나고 오히려 패트랩과 지명자만 잡혀서 전개를 못하는 경우도 많음


53 세피라


우승자 덱과 내 압축 덱리를 적절히 섞고 거기에 패왕 파츠들을 투입한 형태임


유연한 패트랩 우회를 원한다면 이쪽이 더 낫다 압축과는 달리 전개 루트가 DD만큼은 아니다마는 꽤 다양한 편임


게다가 정말정말정말 가끔 나오는 '펜소 없이 엘렉 뽑기'도 거의 이쪽에서나 가능한 얘기임


다만 우라라와 지명자를 잡을 확률이 적어진만큼 증G에 더욱 취약해졌고 다크브룸 반짝>>증G 반짝 하면 이건 뭐 최소한의 드로우고 뭐고 1드로우 주고 시작해 버린다.


이번 시즌은 거의 이것만 쓰고 있음 듀컵 20렙도 이걸로 달았고 랭크는 귀찮아서 안하고 있긴 한데 플레에선 승률도 짭짤한 편임 솔직히 선공 잡으면 무조건 이긴다는 마인드라서ㅇㅇ.


*


쓰다보니 너무 길어져서 렉이 걸린다 16000자임 지금;


있다가 예시로 최고점 전개 적어서 또 올릴 예정


열시미 썼으니 개추 한번 부탁드립니노


*

2편 링크 : [강의대회/마듀]세피라 강의(2)-최고점 전개 - 유희왕 채널 (arca.l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