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날먹이 좋아 그러니까 뒤의 팁은 전에 쓴거 쓸꺼임 ㅅㄱ

 

플레잉 할 때 여러 가지 느낀 점을 토대로

이시즈 티아라의 각 매치업과 플레잉 팁을 설명해보겠음

 

Ⅰ. 각 매치업

1) 엑소시스터

예전부터 카운터 픽으로 이름 높은 엑소시스터 덱은 루루카로스 이후로는 좀 이야기가 달라지는데, 이유가 마르파, 바디스, 파크스, 마나피카 3번효과, 리타니아를 2번효과 지정 시 루루카로스의 효과로 끊을 수 있기 때문에 갑자기 묘지/필드 4제외와 소환된 턴 심숨자 효과를 능동적으로 사용하기 어렵게 되었고, 가장 큰 문제점 하필 펜리르를 못쓰네? ㅆㅂ?

아 그러면 4제외고 나발이고 루루카로스 상대턴에 떡 나오면 그거 맞고 뒤져라?

였지만, 걍 비스테드 3꽉 하더라고 '응~ 뵐포 대신에 비스테드 꽉이야 ㅆㅂ새끼야' 박아버리는 엑소시스터는 다른 의미로 ㅈ같은 매치업임

상대법은 비스테드에 찍히는 카드는 내 비스테드(티아라도 비스테드를 메인에 쓰는 경우가 있음, 일단 사이드엔 무조건 씀 당근 일판풀 기준)로 찍어버리던가, 무도라 켈도로 되돌리자 아니면 버밀리온 박아도 됨 아깝지만

물론 그러고는 애들 효과 터져서 갑자기 심숨자 나올 수도 있지만, 타점이 워나게 낮아서 내 필드에 스크림을 성공적으로 깐다면 플레이할 때 비트다운으로 뒤질 일은 크게 없던거같음. 아니 걍 스크림 안깔아도 이기더라

 제는 저쪽에서 꼬우면 어떻게 하냐 하면, 디멘션 어트렉터 날리더라... 이게 젤 문제임

날리면 걍 아 씨발 하고 이수마수내고 들어 눕자

저기는 이수마수 나오면 걍 고자된다 물론 리타니아는 신이 맞긴한듯?

 

2) 낙인 비스테드(걍 비스테드 아종으로 싹분류 하자)

 왠만한 비스테드 덱은 그러니까 더 비스테드 루벨리온까지 꽉꽉 눌러담은 경우의 비스테드 가 주류인 덱은 티아라멘츠가 상대하기 어렵다는 표현이 맞을 듯

 아니 씨발 내꺼에 고만찍어! 라는 생각이 들지만, 문제는 저 새끼들은 마그나무트와 루벨리온만 조져버리면 덱 순환이 ㅈㄴ 느려지기 때문에, 2~3번의 비스테드를 견제에 성공하여 필드를 채우면 충분히 비스테드를 조져버릴 수 있음

 걍 내가 다니는 매장분이 아 낙인비스테드 짤까 했더만 바로 말리더라 그 덱은 썩었으니 티아라 조질려고 하다가 오히려 뒤진다고 

그래서 아 하고 바로 계획 접었음

 무튼, 기믹이 재미는 있는데 생각보다 티아라의 완벽한 카운터는 아니라는게 정확할 꺼같음

걍 비스테드 찍어버린다?

위의 엑소시스터랑 동일하게 찍은걸 되돌리던가 내가 먼저 찍어버리셈 + 버밀까지

심지어 비스테드는 소환을 포함하는 효과를 내장해서 루루카로스로 찍어버릴 수 있으니까 알아두면 좋음.

걍 비스테드 전반적으로 동일함 비스테드 첫 패에 많아도 3번 쓰는거라 3번만 잘 빼두면 내가 필드 세울 수 있음.

 물론 3번 빼고 그러고는 전개는 어케 하냐고 물으면 그때부터는 알아서 잘 생각해야지

 

3) 스프라이트

간단함

내가 하프니스로 선공잡은 스프라이트를 기간틱 전까지 못끊어낸다?

ㅈ댐

저기 밥차를 기간틱 이후에는 못끊음

근데 밥차가 기간틱 전에 나오냐 그것도 아니고 거기에다 상대가 티아라인거 알면 레드같은거 새우면서 들어가는데

결국 그러면 티아라는 후공에는 어떻게든 덤핑해서 필마로 기간틱을 조지는 수 밖에 없음

심지어 사이드전 가서는 홍연으로 필요 카드를 찍어버릴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쉽진 않음

스프라이트의 밥차 선공빌드는 매우 강력한 편이고

그거아니더라도 스프라이트의 증지 서치 빌드를 가게 돼서 확정 증지/ 아니면 운빨로 잡은 디멘션으로 사이드 전에는 매우 불쾌한 상대를 하게 될 수 있게 돼서 아 씨발 하고 육성으로 내뱉을 수는 있지만

이수마수는 저기도 꽤나 아파서 "이수마수는 신이야!"를 하면서 들어누울 수 있지만 그러다가 제외아니면 코드브레이커 맞고 집가더라 집이 묘지인가봐

ㅈ같다고 써둔거보니 대충 어떤지 알겠는데 그럼 어케 상대하냐?

길항승부, 라불알 또는 라바골렘, 수왕 알파는 신이 맞다. 사실상 저 중에 한장이라도 잡히면 4200기간틱을 한 장으로 뚫을 수 있음. 물론 저거 한 장만 잡았는데 홍연 맞으면 삼고빔임 ㅅㄱ. 아직도 25퍼 이상을 차지하는덴 이유가 있음

 

4) 후완다리즈

이시즈티아라의 두 번째 카운터 픽으로 불리는 메타의 수호자라고 불리는진 모르겠는 착?한 친구

솔직히 내가 엘드여서 혐성도 적게 받았지만 4금때 만나면 불쾌함 ㅈㄴ 오름

사실 잘하는 새끼가 잡으면 진짜 힘들고 못하는 친구면 뭐.... 알아서 뒤지는 덱이라....

문제는 차틈, 디멘션 어트렉터인데 그럴때는 이제 이수마수 꺼내고 들어눕다가 적당히 턴보고 아제우스 꺼내서 필드를 밀어버리면된다.

이수마수는 생각보다 쉽게 나오니까 아까워도 저럴 때 써야함

 

5) 참기

사실 이 덱은 티아라가 깡 파워로 조지기 쉬움

진짜 참기가 가지는 억제력이 세트한 함정 2장이 최대고 선공에는 히트소울 + 트렌스코드 토커 참기 초계승, 사이버넷 컴플리트인데

여기서 주의할것이 컴플리트로 제외된 카드는 그 턴 동안 동일 카드 사용 못 하는게 꽤나 크다는 것 진짜 주의해야함

나머지는 충분히 타점 + 효과 등등으로 잡을 수 있고

걍 상대턴에 지랄하기 쉬운 티아라 특성상 생각보다 쉬울 수도 있는 매치업이긴함 

대신 주의점은 이쪽은 패트랩도 잘들어가고 킬 포텐셜이 ㅈㄴ 높은 덱 중 하나라서 킬각이 예상치 못하게 잘 날 수 있음에 유의하며 상대 덱을 공략하면 좋음

먼저 소소한 팁주자면 배틀중엔 무조건 트렌스코드토커를 먼저 조지는 것을 추천함

 

6) 드래곤 메이드 

사실 비스테드향 첨가지만 드메덱이 아닌거 같긴하지만

딱하나 문제가 생각보다 이쪽이 더 자원 소비량이 적다는거 다르게 말하면 더 오래 싸울 수 있다는 거?

물론 이쪽도 무한 동력이지만, 티아라 쪽이 무도라와 켈도를 다 빼는 순간 드매에게 우위를 점하기 어려워지는 상황이 나옴

그래서 더 오래 싸운다는 의미임

덱 기믹은 메인 기믹내에서는 충분히 다 뺄 수 있을 수도 있으나 문제는 서브 기믹들이 너무 탄탄해서 사실 드메덱이 아니라 드융덱이라고 불러야할 꺼같은 덱이라 좀 그럼

빙검룡과 메이드 장 용폼 + 패의 있을지도 모르는 비드테드와 세트한 정리정돈은 진짜 뚫기 버겁긴 함.

하지만, 아기도와 켈백으로 갈아둔 것 중 드메를 재때 재때 집 보내주고, 플레이할 때 정확하게 급소를 찌르기 좋은 부분이 존재해서 충분히 컨트롤 하면 잡기 좋음

특히 신염룡 루벨리온에다가 버디클 날려주면 진짜 좋음


7) 아다마시아 프랭키즈 스프라이트?

최근에 만난 덱이고 최근에 연구가 활발한 아다마시아의 마지막? 불꽃같은덱임.

딴거모르겠고 블록드래곤이 개새끼니까 그새끼부터 족쳐라

이 덱은 블록드래곤만 통과되면 아드복사 마술 히히 재미있다 ㅇㅈㄹ해대니까 5견제를 유유히 뚫고서는 턴킬냄

진짜 어이없더라 ㅋㅋㅋㅋㅋ

확실한건 블록드래곤을 조지면 파워가 확 약해지고 저점이 부실하다는게 큼

충분히 메인매치에선 어려워도 승리를 가져오는데는 문제가 없다고 봄

 

8) 솔직히 그 외 덱들

간단함 이시즈덱과 비 이시즈덱이 있음

이시즈덱이면 내 켈백과 아기도를 봉인한 체 싸우고 상대의 무도라와 켈백을 항상 견제해야함

이시즈덱이면 내가 갈아주면 저기는 아드인데 내가 묘지에 무도라 켈백이 없다? ㅈ대거든

이시즈 루닉, 이시즈 나츄르등의 덱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 갈아서는 안된다가 1번

어짜피 그 후에는 깡파워로 조질 수 있으니 ㄱㅊ다는게 2번임

물론 무지성은 항상 최대의 적임

두 번째 비이시즈덱과 싸우는 법

여긴 간단함 걍 족치면된다 대부분은 깡 파워로 죽는다

보더같은거 어떻게 하나요? 그리고 여기 첸에 왠지 모르겠지만 자주 보이는 락덱인 아모르파지는 어떻게 하나요?

필마 킨 세이렌의 공격력은 2300이다 전투로 잡아라

엘드는 어떻게 하나요? 필마는 뒀다가 국끓여 먹냐

소울드레인은 어떻게 하나요? 함떡이면 리단게이로 운빨 놀음하면된다

스드까지 켜지면 걍 필마 키고 농성전들어야지.... 근데 소울에 스드까지 켜진판은 지는게 맞긴함

 

 

사실 내가환경권은 다 쓰고 싶었는데 쓸덱이 얼마 없음. 진짜

내가 대회 뛰면서 만난 덱들 위주가 된듯한 최근엔 티아라랑 사이다 밭이라 더 그럼

 

Ⅱ. 티라아멘츠 플레이의 팁

1) 미러전에서의 이시즈 파츠 

사실 미러전이든 아니든 공통적으로 상대가 이시즈 티아라냐 아니냐가 중요함

무조건 상대가 묘지를 갈면 내가 손해라는 마인드를 가지고 있지않으면안됨

2~3주간 프리겜, 매장 비공인 싹 돌려봤을 때 이시즈 티아라는 다른덱에 대해서 상성을 우위 점하는건 맞는데

이시즈 티아라는 진짜 극과극임

실력적 요소와 운적인 요소가 극명하게 대비됨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ㅈ 까고 상대가 묘지에 켈도랑 무도라 먼저 묻어두고, 심숨자 뽑으면 ㅈ대는거임

ㅆㅂ 내가 운이 나빠서 켈도랑 무도라를 메인에 못갈았다? 메인 줘야함

그래서 나는 일단 메인전에 상대가 뭔 덱인지 알 때까지는 움직임을 조심스럽게 봐야한다고 생각함.

아기도와 켈벡의 2번효과가 좋지만, 내가 상대 덱을 갈 것이 아니고, 그것이 아니더라도 충분히 전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나는 켈백은 경우에 따라 달라도 아기도의 경우 전개중 코스트로 보내는 경우를 선택함

또한, 켈백, 아기도는 상대 덱이 갈려야지 특소니까 즉 상대가 갈던지, 뭐하던지 내 턴에 4랩 2마리 꺼내기는 어려움

그러니까 아기도의 벨류를 낮다고 보고, 켈도랑 무도라를 필드에 빠르게 내는 게 맞다고 보는 편임

메인전에 무지성 갈기~ 이랬다가 상대 묘지에 켈도랑 무도라갈렸는데 내 묘지에 저 새끼들 없다? 진짜 지옥이라서

물론, 진짜 내가 불리하다 판단해서 갈 수는 있지만, 사실 그 상황이 온 게 잘못된 거라고 생각함

그래서 나는 과감하게 아기도는 빼고 켈백은 패트랩용으로 1,2장 정도를 보는데 첸럼들의 의견은 좀 다르더라

내의견은 그거임 플레잉할 때 상대의 덱을 알면 갈겠지만, 도박수로 먼저 갈아보던지 사이드에서까지 아기도를 채용을 박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을 함.

두 번째로 이시즈 티아라덱인데 이시즈로 안갈면 어떻게 해라고?

그때는 이제 내 생각은 걍 레이노 하트의 확정 융합을 통해서 필마와 스크림의 효과를 최대한 활용해서 미러전에서 예측되는 상대의 플레잉을 최대한 막는게 맞다고 생각함

느려도 변수를 주는게 위험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긴 함

내가 충분히 필드를 갖추어두면 상대가 뚫기 위해서 아기도랑 켈백을 쓰게 될텐데 그러면 내쪽만 아드는 가속화된다는 마인드임

최근 겜할때 마다 느낀 것도 그랬고 걍 아기도 빼고 사이드 카드 넣는다는 마인드 였기도하고

이 부분은 걍 내 의견이니까 걍 그렇구나 하셈

뭐, 정답이 있는 문제는 아니니까

 

2) 미러전일 때 하프니스 피하는게 맞음

3장 가는게 왜요 ㅋㅋ 하는데 그게 꽤 크게 작용하는 판이 있어서 그럼
3장 갈았는데 무도라 있으면 내 플레이에 제약 ㅈㄴ 생김

대놓고 생김

그래서 어떻게 하냐

사실 이거는 우라라, 토끼, 버디클 피하기랑도 관련이 있는데

스크림의 효과와 필마의 효과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임

그러니까 일세괴를 키고 난 뒤에

세이렌의 효과로 뭐 어쩌다 운좋게 융합해서 키토카로스가 나왔다

키토카로스 체인 1 일세괴 체인 2를 두면 이때 걍 일세괴로 키토카로스 찍어버리는것도 좋음

우라라, 하프니스, 버디클 싹 뒤짐

두번째, 키토카로스로 들고오는건 나는 왠만하면 스크림이긴함

그러고 이제 레이노하트나 메이루를 일소해서 효과 체인 1 스크림 2하면

동일하게 우라라, 하프니스, 버디클 등등을 또 안맞음

심지어 스크림의 경우에는 토끼 맞아도 함정을 서치해오기 때문에 이득이라면 이득임

마지막은 필드 효과 1 묘지에서 강제발동하는것을 2로 둔다임

최근에 체인 짤때 와라시를 크게 신경 안써도 되는 메타라서 그렇긴함

 

3) 우선적으로 묻어야하는것은 켈백과 아기도가 아니라

무도라와 켈도임

진짜, 켈백과 아기도의 1,2번 효과 벨류보다 무도라 켈도의 벨류가 너무 높음

묘지 안쓰는덱이 적고, 여차하면 내 묘지를 째서 상대의 지명자나 다른 묘지 견제를 막을 수 있고, 내가 나중에 불려올 수 있는 잠재적 아드를 다시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너무 다재다능하다고 생각함

그래서 나는 무조건 움직임을 무도라랑 켈도를 묻으면서 또는 필드에 내면서 움직인다고 생각함

예를 들어서 패에 켈도 켈도 켈백 세이렌(필마) 면 켈도로 켈도 묻고, 무도라 서치한되에 세이렌으로 켈백 내리는걸 선호함

그리고 사실 아기도랑 켈백이 상대 덱을 견제한다고 하는데 이쪽이 제제먹기보다는 켈도와 무도라가 먹을 것같은게

상대하는 입장에서의 불쾌감이 이쪽이 더 높음

심지어 이시즈티아라 미러전할 때 가장 좋은 카드중하나가 묘지기의 함정임

상대는 덱을 깎아서 마련해야하는 켈도와 무도라를 나는 걍 패한장 버리고 서치해서 다음턴에 일소든 다시 묘지기의 함정을 발동할 수 있음

 

4) 묘지에 티아라는 1장 정도는 두어야 좋다

물론 그렇다고 필드를 비우면서 까지 전개할 이유는 없음

다만, 묘지에 티아라를 두어야하는 이유는

첫째로는 융합을 쉽게하기 위함이며, 두번째는 키토카로스의 효과를 위해서이며, 3번째는 상대의 묘지견제의 어그로를 위함임

그래서 나는 플레이 할 때 3종류의 융합 효과를 사용하지않은 티아라멘츠가 묘지로 가면 1장에서 2장만 효과를 발동함

이게 이유가 상대가 이시즈파츠를 가용하면융합이 불발될 수 있는 상황이 만들어지는데

그러한 불발사태가 뜨더라도 나는 묘지의 효과를 선언하지않은 한 두종류의 티아라가 있어서 그 다음의 움직임을 다시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며,

두번째로 그 중에서 메이루는 진짜 효과 선언의 우선순위를 뒤로 둠

이유가 스프린드의 존재이유와 스크림 때문인데

스프린드가 있어서 확정적으로 메이루를 덤핑가능하기 때문에 상대의 견제가 없을시 확정융합이가능하며,

두번쨰로 일소/특소시 효과발동하는 티아라가 메이루 뿐이라 키토카로스의 효과로 살려낸 메이루와 필드의 스크림을 사용하면

한턴에 11장을 갈아버릴 수 있기 때문임

11장갈아서 융합 한번더 못하면 그 판 운세 조진거지 뭐라는 마인드고

이시즈없이 충분히 덱을 갈 수 있다는 의미기도함.

세번째는 필마를 쓰기위함임

 

5) 미러전에서는 이수마수보단 심숨자

당연함

잔존효과가 지속효과보다 당연히 쌤 더 설명할 이유는 없을 듯

 

6) 스킬드레인, 소울 드레인 묘지견제등이 있을 때의 움직임

첫번째는 리단, 이수마수

두번째는 아제우스

세번째는 가디언키메라, 바로네스

다만 리단보다는 이수마수가 좋고, 가디언 키메라와 바로네스의 경우 덱구축에 따라서 다른것임

 

7) 루루카로스가 나와도 내가 능동적으로 플레이 해야하는 경우라면 루루카로스를 꺼내지말고 카레이도하트를 꺼내주면 좋다

루루카로스가 좋은효과를 지니고 있지만, 카레이도 하트또한 스크림/ 필마 등등이 있다면 루루보다 더 좋은 플레이를 만들기 쉽다

스크림으로 상대가 일소 특소의 경우에 3장을 갈고 거기 티아라가 있으면 상대를 바운스 시키면서 체인을 꼴 수 있고

필마는 필요한 순간에 묘지의 켈도와 무도라로 덱으로 티아라를 되돌려서 효과를 격발시키는데 상대를 깨는게 아니라 내 카레이도하트를 깨서

덤핑을 하고 상대턴에 공격권을 늘리면서, 필드를 처리할 수 있음.

 

8) 이수마수의 활용법

이수마수는 생각보다 공격표시시 떡내성이라 배틀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아제우스 소환하기 쉬움

다들 미러전하다가 꼬이면 이수마수를 공격표시로 내서 티아라의 공격을 모두 흘린 뒤 아제우스를 꺼내보자

 

대충 일단 설명하고 싶거나 설명해야하는 부분은 다 설명한거같음

이정도면 강?의가 맞지 않을까

그러니까 일단 2편 올리고 끊내도록하겠음

내가 뭘 더 설명할 지식도 없는거같고 뭐 써야할지 모르겠다

 

기타 궁금한 사항이나 의문점 오류 있으면 댓글 지적부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