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개요

2.기본적인 덱 구성과 전개

3.기타


1.개요

현 시점에선 몰락한 굿 스터프 덱의 일종인 펑크 세리온즈다.

지금 서술할 내용은 펑크와 합쳐진 세리온즈라서 이 둘이 

섞인 장단점을 위주로 하기에 세리온즈의 기본적인 효과나 재정등은 념글에서 참고하도록 하자.


기본적으로 세리온즈는 모든 몬스터가 고레벨 위주로 구성되어 있기에 패사고가 끔찍할 정도로 심하며 테마 내에서 

원핸드 플레이가 불가능 할 정도로 전개에 요구하는 카드를 많이 필요로 한다. 다행인것은 비트와 퍼미션은 출중하기에

세리온즈 카드군이 잠재된 포텐셜은 평타 이상으로 볼 수 있다. 그 포텐셜을 올리는것이 P.U.N.K.와의 혼합으로 성립시킬 수 있다.

2.기본적인 덱 구성과 전개법

2.1기본적인 전개법과 결과물

펑크 세리온즈의 대다수의 초동은 세아민으로 시동을 건다

펑크의 루트는 총 2가지가 있다.

1. 세아민의 효과인 600라이프를 지불하고 폭시 튠을 서치, 서치한 폭시 튠으로 패한장을 버리고 덱에서 디어 노트를 소환하고 혼돈마룡 카오스 룰러를 꺼내서 덱덤핑 결과물과 패에 있는 카드에 따라서 빌드의 완성도가 갈라진다.

2. 폭시튠으로 세아민을 특소, 특소한 세아민으로 오우거 넘버를 서치, 서치한 오우거 넘버로 2번째 세아민을 서치하고 일반소환, 두마리의 세아민을 멜리아스의 목령으로 엑시즈 시켜 식물족인 세리온즈 "릴리" 보레아를 덤핑하거나 상황에 따라서 특소시킨다.

펑크의 전개 핵심 1.

펑크의 전개의 핵심인 폭시 튠이 패에 있는 카드 한장을 버리고 전개를 하는데 세리온즈 관련 카드를 버려서 세리온즈의 문제점인 패말림과 전개하기 위한 묘지 세리온즈 마련을 충족하기에 세리온즈 입장에서도 펑크는 좋은 소화재 역할을 한다.

펑크와 세리온즈의 혼합 구축을 탄탄하게 이뤄줄 카드인 

디어노트, 이카드의 출시 이후로 펑크와 세리온즈의 궁합이 

더욱 좋아진거라 봐도 무방하다. 필드에서 벗어나면 묘지 펑크 몹을 특소하기에 3레벨 세아민이나 8레벨 펑크를 소생해서 다양한 전개가 가능하다.

펑크의 전개 핵심 2. 카오스 라도리

싱크로 소환에 성공하면 덱에서 5장을 갈거나 빛/어둠 속성 카드를 서치하는 최고의 카드. 갈아서 나온 카드에 따라서 펑크의 전개력이 시원시원하게 돌아간다. 덤핑외에도 8레벨, 자체 특소 효과 또한 유용하기에 이 스탯을 살려서 전개를 가속시킬 수 있다. 위에 서술한 세아민루트는 

세아민 일소-폭시 튠 서치-디어노트 특소-카오스 룰러 특소-디어노트로 묘지 펑크 특소, 총 4번의 특소를 한 상황인데 디어노트로 꺼낸 펑크몹이 8렙이라면 

8렙 펑크x 카오스 룰러로 '5특소' 내에서 몬스터 효과를 막는 갤럭시아이즈 포톤 로드를 꺼낸다. 5특소 내에 니비루 케어가 가능한것이 큰 장점.

또는 카오스 룰러로 덤핑한 결과물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디 언데드 뱀파이어로 추가로 4장을 갈아서 총 9장을 갈아버리는 빌드로 바꿀 수 있다. 다만 이 카드는 자신과 상대의 덱 위의 카드 4장을 동시에 갈아버리기에 현 메타의 JOTA인 

티아라멘츠의 융합트리거를 성립시키니 주의해야한다.

이렇게 다양한 플레이를 통하여 세리온즈와 8축 엑시즈 결과물을 보여준다.

위의 말한 플레이를 통하여 가장 먼저 세우고 싶은 카드인 

세리온즈 "킹" 레귤러스, 여러 념글이나 강의글에서 많이 서술되어 있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 대충 고타점 퍼미션 카드라는 것으로 이카드의 존재의의를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가장 먼저 세우고 싶은 카드 2.

세리온즈 "릴리" 보레아는 서치와 자원 회수, 전투 파괴 1회 면역인 최강의 필드 마법중 하나인 원반투기장 세리온즈 링을 서치하거나, 세리온즈 크로스라는 추가 견재+퍼미션 카드를 서치하기에 꼭 패에 잡히거나 덤핑되길 바라는 카드다.

턴 받고 나서 세우고 싶은 카드인 세리온즈 "불스" 아인

이카드가 전사족이고, 전사족 또는 세리온즈를 장착하는데, 이때 묘지에 있는 디어 노트를 장착시키고 아인을 꺼낸 뒤에

아인을 소재나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나면, 같이 장착된 디어 노트가 필드에서 벗어나기에 디어 노트의 소생 효과 트리거가 충족되어 8레벨 펑크나 3레벨 세아민으로 전개의 가속력을 박차게 가속시킬 수 있다.

선턴에 세우기 좋은 카드인 세리온즈 "리퍼" 팜

대상지정 바운스, 그로 인한 패에 세리온즈 후속, 그리고 7레벨. 7레벨이라는 특징을 이용해서 세아민과 싱크로해서 

플뢰르 드 바로네스를 세워서 결과물의 질을 더욱 좋게 만들어 준다.

고점을 더욱 살려줄 카드인 세리온즈 "임프레스" 알라시아

패한장 버리고 마함존의 세리온즈를 살려 8축 엑시즈를 또 꺼내주는 카드. 하지만 위에 서술한 전개로 인해서 소모한 카드가 많아지기에 상황에 따라서 알라시아의 효과를 써야한다.

파괴 내성을 주고, 사이킥족이라 묘지에 있는 세아민 장착하고 쉽게 나옴, 그리고 빛속성이라 카오스 룰러 서치 범위에 있는 세리온즈 "듀크" 율. 이카드는 있으면 쓰고 없으면 없는대로 냅두는 카드다.

념글 카드. 그이상 그이하도 아니다 ㅇㅇ

펑세에서도 덱스페 문제로 안쓴다.

2.2 덱구축

현재 이글을 쓰는 유붕이가 쓰는 덱구축, 입맛대로나 취향에 따라서 조금씩 바꿔두었다.

기본적인 전개법과 결과물을 낼 카드들을 필두로 서포트하거나 돌파하는 카드들을 넣어서 덱을 구성했다.

위에 기본적으로 투입할 카드 외에 넣은 카드들을 서술하자면

1. 오우거 넘버 2장 투입 이유: 세아민 서치를 위해 추가

2.이펙트 뵐러. 카오스 룰러의 서치 범위에 들어가기에 추가

3.졸부와 겸허의 항아리. 패말림 케어용

4.긴급텔레포트. 초동 세아민의 특소용

5.인스턴트 퓨전. 이건 서술할 내용이 많은데 배너티 스페이스가 금지가 되어서 미도라시를 채용하여 엇비슷한 느낌으로 채용.<-'인퓨 디메리트로 엔드페이즈에 파괴되잖음?'

그렇기에 8랭인 딩기르수가 파괴를 막아주기에 상대턴에도 미도라시가 건재한 상태로 필드위에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임.

6.지명자시리즈. 패트랩 케어용

7.트러블써니&슬레이. 사이드 견재용

8.바렐로드&령사링크. 대상지정이 많아진 환경에 좋은 조커 카드로 씀

9.세븐신즈&페인게이너. 좋은 제거기 카드, 킬결정력을 보고싶을때 선턴에 세움

10.딩기르수: 흔한 파괴효과의 내성용으로 쓰임

11.타타갤. 어봉검이나 번개등 사이드 캐어용

12.사이코 엔드 퍼니셔. 이 덱의 피날레이자 에이스. 고타점에 준수한 내성으로 킬결정력을 확실히 잡아줌

13.꽃드라군. 7렙 세리온즈+세아민으로 나옴

14.미도라시. 위에 서술

해서 이러한 이유로 덱에 투입하였으며 아직은 다크윙이 출시 되기 전이라 이 덱레싶은 조만간 바뀔 예정이다.

2.3 랜덤 패 전개

세리온즈 차지, 증쥐, 세아민, 우라라, 인퓨

후공엔 증쥐와 우라라말곤 없으니 선공 스타트로 예시

세아민으로 600LP를 지불해서 폭시튠을 서치, 이어서 서치한 폭시튠으로 현재 패에 있는 카드중 벨류가 낮은 차지를 코스트로 디어 노트를 꺼내 혼돈마룡에 체인1 디어노트에 

체인2

묘지에 존재하는 폭시튠을 특소, 이후 5장 덤핑

와씨 존나 맛있게ㅣ갈렸네

빛속성인 뵐러를 서치후, 4장은 그대로 덤핑, 이어서 폭시튠과 카룰로 5특소 포톤 로드(니비루 케어). 묘지에 존재하는 아르기로 시스템으로 레귤러스 샐비지

이어서 레귤러스를 보레아를 지정하고 특소, 이후 보레아로 세리온즈 링을 서치 후 발동, 세리온즈 링으로 알라시아 서치

서치한 알라시아를 보레아에 지정하고 특소, 이후 알라시아의 효과로 패의 뵐러를 버리고 보레아를 특소, 이후 이 두장으로 8랭 딩기르수를 소환

이후 패에 있는 인퓨로 미도라시, 엔드 페이즈에 딩기르수로 파괴 면역 시키면

전투 파괴 면역 1회, 효과or전투 파괴 면역 1회, 몬스터 퍼미션 1회, 상대 카드 효과 퍼미션 1회, 양쪽 특소 1회, 패 2장

이라는 숨이 턱턱 막히는 고점 빌드가 나온다.

3.기타

이덱을 안쓰는 사람이 많은 이유나 근거

1.덱을 투입한 카드풀만 봐도 알겠지만, 이덱의 심각한 문제는 터무니없을 정도로 비싼 카드로 구성된 덱이라 일반적인 덱이나 티어덱은 10~20전후에 비해, 이 덱은 저레어로 쳐도 30~40이내에 맞추는 정신나간 덱 가격을 자랑한다.


2.또한 펑크와 섞더라도 세리온즈만 잡히면 아무것도 못한다는 고질적인 패말림 문제는 해결되질 않아서 티어권 내에서도 입상하기가 힘들다.


3.카드군을 따로 보면, 펑크는 60챠키로 , 세리온즈는 레귤러스는 땅기계나, 혹은 보레아랑 같이 불러들여 식물족 덱에서 쓰고 그 덱들의 안정성, 전개력, 파워등 장단점을 다 따지면 펑세의 메리트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후에 나올 카드들과 미래


한판풀로 나올 다크윙에 손쉽게 나오고 7렙에 사이킥족, 그리고 뒷면 제외에 패 변동 0의 미친 가성비를 가진 크샤트리라 펜리르는 이덱의 전개를 위해 안넣은게 말이 안된다 ㅇㅇ.

또한 상대 아드를 먹으며 나오는 비스테드 또한 링크 소재로 쓰일 가능성이 출중하고, 일판풀에는 기간틱 "챔피언" 사르가스의 존재로 안정성이 보완 되는것이 호재기에 티어권을 

노리긴 힘들어도 적당히 굴릴만한 덱으로 쓰기가 좋다...기엔 너무 비싼 덱이기에 선택과 집중이 많이 필요로 할것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