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역사이딩이란?


자신이 X로 졌을때 사이드 교체를 하고 선공에 맞춰 사이드를 맞추는게 아니라 후공에 맞춰 사이드를 짠 뒤에 후공에 맞는 사이드를 만든 상대에게 선공을 주는 기술이다.


2. 이 기술을 왜 알고 있어야함?


이 기술을 알고 있으면 X로 스타트를 끊고 그 후 사이드를 교체해서 선후공을 정하는 상황일때 상대가 사이드를 교체한 만큼 말림패로 적용하여 자신이 이길 수 있는 상황을 노릴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자신이 길항을 맞는 것을 고려해서  후공을 선택하여 상대가 후공에 맞게 사이드를 교체하여 가져온 길항승부가 말림패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기술도 엄연한 단점이 있는데 상대의 사이드 덱은 공개정보가 아니라서 초중무사같은 덱이 역사이딩을 시도했다가 오홍의 마술사를 쳐맞고 XX로 지는 상황이 나올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상황들을 약간이나마 커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그건 상대의 사이딩 시간을 체크하면 된다.

자신이 사이딩을 완료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상대가 얼마나 오랫동안 사이드를 교체하였는가?"에 따라서 상대의 메인덱 교체 비율을 예측할 수 있다.

상대가 오래 걸렸다는 뜻은 상대가 자신의 덱에 기믹을 알고 있거나 전혀 모르니 공개된 정보로 후공을 준비한 사이딩을 했다는 뜻이 되고

짧게 걸렸다는 것은 상대가 자신의 덱을 보고 무언가를 확신했거나 자신의 덱을 완전히 모른다는 거니 선공을 잡아야하는 이유가 된다는 등의 케어하는 방법이 생긴다.

하지만 이걸 고려해서 상대가 사이딩 시간을 끌어서 자신이 유리한 선공을 받아낼려고 하는 사람이 있으니 그것까지 고려해서 상대의 플레이에 따라서 상대가 뉴비냐 아니냐 예측해 이 전략을 사용할지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넣었던 후공카드가 잡히면 내가 말리지 않느냐? 라고 하면 역사이딩이라는 도박을 하지 않는게 가장 좋은 수다.

역사이딩을 시도한다는 것은 그런 위험성을 감소해서라도 XO를 하기 위해서 쓰는 전략 중에 1개고 결국 기술에 실패하면 XX로 지는 것은 같다.

그 외에도 단순한 원플랜 덱에서 플랜을 조금이나마 늘려 상대가 고려해야할 수단을 늘리고 그 과정에서 상대가 실수하여 지는 상황을 만들 수 있다.


3. 이번 분기에서는 역사이딩이 힘들 것같은데 어떤 덱을 상대로 사용할 수 있음?

못쓴다. 이번 분기에서는 개폐급 기술이 되었는데 그 이유가 투핸드로 돌아가는 덱들도 많고 말림패를 코스트로 처분할 수 있는 류의 덱이 너무 많이 있다.

10기같은 얼섬강같은 덱이 주를 이루고 있던 분기에는 이 말림패를 처분할 수단도 많지 않았고 패 1, 2장이 말렸다고 전개를 못하는 그런 덱도 없다.

즉 이번 분기에서는 자신이 이길 수 있어보이는 아주 조금의 확률을 높히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하는 도박수가 되어버렸다.

그래서 이번 분기에서는 사용하기도 어렵고 사용한다 해도 일말의 도박수로 끝날 뿐이지 그 이상의 성능은 보이지 못하는 구시대 전략이 되어버렸다.


4. 그러면 역사이딩이라는걸 왜 알려주는 거임?


역사이딩을 알려주는 이유는 이런 기술이 있고 이런 기술을 모른다고 해도 다음 분기에는 이 기술을 못쓰는 것이 아닌 지나가는 개새끼도 쓰는 전략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강의글을 쓰고 있다.

작성자 기준 10기에서 역사이딩으로 승률을 높히기도 했고 지금도 간간히 쓰는 기술이라서 잡지식은 많으면 언젠가는 쓸 수 있듯이 오프 갖 입문한 아기 유붕이들을 위해서 적어놨다.

더 이상 알고 있는 지식같은건 없고 승률을 올리기 위해서 노다가를 열심히해서 덱에 숙련도랑 상대의 덱을 알고 있는 만큼의 지식으로 승부보는 노력충이라서 더 이상은 나도 몰?루

그러니까 귀여운 아리수보고가

근데 처음쓰는 강의라서 잘쓴지 못쓴지 몰?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