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개요

 레스큐 고슴도치란

레스큐 고슴도치

속성 땅 / 레벨 4

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필드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레벨 3 이하이고 종족 / 속성 / 레벨이 같아지는, 일반 몬스터효과 몬스터1장씩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되고, 엔드 페이즈에 파괴된다.


 레스큐 시리즈의 전통인 덱에서 몬스터를 끌어오며 몬스터 효과는 무효화, 엔드 페이즈 시 파괴 되는 효과가 장착된 카드로 대체적인 레스큐 시리즈는 덱의 초동을 담당합니다.

 이번에 나온 레스큐 고슴도치는 레벨 / 종족 / 속성 같은 3레벨 이하의 일반 몬스터와 효과 몬스터를 덱에서 특수소환합니다.

 본 강의글은 위의 레스큐 고슴도치를 활용한 덱과 고슴도치 덱의 운용 전략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자 적는 글입니다.


② 레스큐 고슴도치 덱의 특징

 레스큐 고슴도치가 다른 레스큐 시리즈와의 큰 차이점이자 특징은 위의 조건만 충족하면 자신을 초동으로 아무 종족 / 속성의 카드를 끌고 올 수 있다는 점입니다.


 즉 다른 레스큐 시리즈에 비해 레스큐 고슴도치가 초동으로 필드에 나와도 이 덱이 어떤 덱인지 어떻게 움직이는 지를 예측을 할 수가 없다는 점이 상대에게 큰 압박을 줄 수 있는 카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레스큐 고슴도치 효과 발동에 퍼미션을 뺄 수 밖에 없다는 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레스큐 시리즈의 공통되는 약점, 묘지에서 발동이 아니기 때문에 뵐러 / 포영에도 레스큐 시리즈의 전개가 막힌다. 때문에 뵐러 / 포영 / 우라라 등 광범위 하게 패트랩에 박히는 것과 일소권을 소비 한 후의 전개이기 때문에 통과만 되면 쎄다. 즉 통과를 못한다면 특소권 만으로 덱의 전개를 이어 나가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초동으로 활용 되는 레스큐 시리즈에서는 이러한 약점들 때문에 덱의 전개가 꼬여 버리는 상황이 많고 레스큐 고슴도치 축 역시 이 약점을 공유하기 때문에 그러한 상황들이 힘들겠지만 레스큐 고슴도치는 상황이 많이 다릅니다.


 레스큐 고슴도치는 일반 몬스터와 효과 몬스터를 덱에서 특소 합니다. 그리고 일반 몬스터는 예상 외를 통해 덱에서 특소 할 수 있습니다.

예상외

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일반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레스큐 고슴도치가 초동이면 "근데 조건이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면 안되는데 레스큐 고슴도치가 남아서 안될텐데?"라는 질문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레스큐 고슴도치는 전개 시 먼저 자신을 제외하고 효과를 발동합니다. 레스큐 고슴도치가 뵐러 / 포영이 박히든 레스큐 고슴도치가 효과를 발동하면 제외 존으로 자신을 제외 후에 효과를 발동이 막히기 때문에 필드에 몬스터가 남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 일반 몬스터를 활용하여 전개가 가능한 덱이라면 레스큐 고슴도치는 패트랩 퍼미션을 빼는 든든한 탱커 역활을 담당하며 상대는 퍼미션이 한개라면 후속 전개를 예상 외를 통해 전개가 되는 상황을 막지 못합니다.


 레스큐 고슴도치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레스큐 고슴도치는 효과 / 일반 몬스터를 덱에서 특소한다.

② 일반 몬스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예상외를 사용할 수 있다.

③ 고슴도치에 패트랩에 효과가 막혀도 예상외를 통해 특소한 일반 몬스터를 활용하여 전개한다.


1. 고슴도치GS덱

 위의 고슴도치 덱의 특징을 활용한 덱을 몇 가지 소개하고자 합니다. 


① 고슴도치 식물링크

 고슴도치 첫 출시 당시 많은 관심과 이야기가 많이 나온 덱 입니다. 원핸드로 일반 몬스터인 로키와 그로우업 벌브를 끌고와서 풀필드를 세우는 전략입니다.

- 덱 레시피

[몬스터 카드] 22장

레스큐 고슴도치 x 3

생시드 게니우스 로키 x 3

생시드 섀도우

생시드 트윈

세리온즈 "킹" 레귤러스

세리온즈 "릴리" 보레아

육화의 하얀 공주

육화정 프리무

육화정 보탄

육화정 스노드롭

아로마세라피-안젤리카

아로마지-로리에

빛의 제너레이드 마르델

장미 러버

론파이어 블로섬 x 2

그로우업 벌브

선인장 클로저


[마법카드] 11장

예상외 x 3

삼전의 호 x 2

원 포 원

생바잉 소잉

생바인 슈라인

육화현란

육화콩콩

원반투기장 세리온즈 링


[함정카드] 2장

생아발론 블루밍

육화의 박빙


[패트랩] 8장

증식의 G x 3

하루 우라라 x 3

무한포영 x 2


[엑스트라 덱]

[링크몬스터]

생아발론 드리아스 x 3

생바인 힐러

생바인 스래셔

생아발론 멜리아스

생아발론 드리아트란티에

아로마세라피-재스민 x 3

회생의 벵갈란제스


[싱크로몬스터]

서클오브 페어리


[엑시즈 몬스터]

육화성 티어드롭

육화성 스트레나에

신수수 하이페리온


- 고슴도치를 활용한 전개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nX6-e7uFIUw

[전개 결과]


- 일반 몬스터 전개 영상

 고슴도치가 막혔을 경우 예상외로 일반 몬스터를 끌어와 전개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영상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cpilk_7wJA

[전개 결과]


② 고슴도치 제넥스

 제넥스 테마는 큰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제넥스 몬스터는 일반소환을 통해 덱을 전개하는 덱이다.

- 제넥스 몬스터의 서치 효과에는 턴제가 없다.

- 제넥스 몬스터 서치 방향은  1 > 3 > 2 > 4 > 1 레벨 몬스터로 사이클을 돌며 서치를 하는 테마다.


 위의 특징을 활용하여 윤활유 역활을 담당해주는 카드가 이번 신규 지원을 통해 나오게 되었으며 그 카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리페어 제넥스 컨트롤러

레벨 4 이하의 "제넥스" 몬스터 1장

자신은 "리페어 제넥스 컨트롤러"를 1턴에 1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①: 이 카드를 링크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제넥스"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②: "제넥스" 몬스터가 드로우 이외의 방법으로 자신의 패에 넣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동일한 체인 위에서는 1번까지). "제넥스" 몬스터 1장의 일반 소환을 실행한다. 이 턴에, 자신은 "제넥스" 튜너를 싱크로 소재로 한 싱크로 소환으로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요약하자면 필드에 있을 시 드로우를 통해 뽑은 것을 제외한 제넥스 몬스터가 들어 올 때마다 제넥스 몬스터를 일반소환 해주는 카드 입니다.


 서치에 턴제가 없는 제넥스 입장에서는 서치 사이클을 돌리며 필드에 제넥스 몬스터를 채우는 기계 버전의 후완 다리즈 전개 방식 할 수 있게 만드는 카드 입니다. 


 제넥스는 제넥스 컨트롤러라는 일반 몬스터가 존재하며 제넥스 컨트롤러를 통해 리페어를 소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넥스 컨트롤러와 함께 아래와 같은 카드를 끌고 올 수 있습니다.

A·제넥스 버드맨

레벨 3 / 튜너

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패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바람 속성 몬스터를 패로 되돌렸을 경우, 이 카드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제넥스 몬스터를 패로 되돌리는 턴제 없는 효과를 가진 버드맨입니다. 제넥스 몬스터로 꽉찬 필드를 이 카드를 활용하여 바운스를 시키며 튜너 몬스터이기 때문에 비튜너인 제넥스 몬스터과 함께 필드를 싱크로 몬스터로 싱크로 소환합니다.


 싱크로 몬스터 중 빙마룡 / 듀로렌 / 메르피 시리즈를 활용하여 필드의 제넥스 몬스터를 다시 패로 바운스하며 필드에 있는 리페어의 효과가 발동하는 사이클을 돌며 내 필드에 강력한 싱크로 몬스터를 차례차례 내는 테마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덱을 굴릴 때의 주의 사항으로는 고슴도치를 활용 시 원 핸드가 아닌 2핸드를 전개하는 방식이며 예상외 역시 패에 제넥스 사이클을 돌릴 몬스터가 반드시 잡고 있어야 합니다.


- 덱리스트

몬스터 카드 22장

레스큐 고슴도치 x 3

제넥스 컨트롤러 x 3

A·제넥스 버드맨 x 3

제넥스 운디네

레알 제넥스 운디네

제넥스 파워 플래너 x 3

레알 제넥스 크러셔 x 2

레알 제넥스 마그나 x 2

레알 제넥스 터보 x 2

레알 제넥스 튜링

리사이클 제넥스


마법카드 5장

예상외 x 3

삼전의 호 x 2


패트랩 13장

원시생명체 니비루

증식의 g x 3

하루 우라라 x 3

무덤의 지명자 x 2

무한포영 x 3

고성대 사우라비스


엑스트라덱

[링크몬스터]

리페어 제넥스 컨트롤러 x 2

[싱크로 몬스터]

들썩들썩 메르피즈

아크 디클레어러

스타더스트 차지 워리어

빙결계의 범왕 듀로렌

빙마룡 브류나크

고대요정 드래곤

액셀싱크로 스타더스트 드래곤

기악룡 아케티스

A·O·G 리턴제로

플뢰르 드 바로네스

카오스 앙헬-혼돈의 쌍익-

초월룡 그레이스사우루스


[사이드덱]

염마룡왕 레드 데몬 캘러미티

붉은 용

비스테드 디스 바테르

싱크로럼블

섬도기-이글부스터 x 3

반마도대역 x 3


※ 사이드의 카드는 이덱을 굴릴 때 활용 할 수 있는 싱크로 몬스터와 리페어를 케어해 주는 카드 리스트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 고슴도치 전개

https://www.youtube.com/watch?v=p1xo1NrnNZo

[전개결과]


- 일반몬스터 전개

위와 마찬가지로 예상외로 제넥스 컨트롤러를 끌고 왔을 시의 전개에 대한 예시 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SBmRoV8xX0

[전개결과]


③ 고슴도치 밸리언츠

 고슴도치 덱 중 가장 이질 적인 느낌이 들 수 있는 덱 중에 하나 입니다. 이덱을 구성하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밸리언츠의 특징

① 일소권을 사용하지 않는다.

② 시노노메의 의존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패트랩에 취약하다.

고슴도치의 특징

① 일소권을 사용해 전개 한다.

② 패트랩에 맞으면 취약하며 추후는 특수 소환으로만 전개를 해야 한다.


 서로의 특징을 정리해 보자면 밸리언츠는 일소권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시노노메의 의존도가 매우 높은 덱으로 시노노메가 통과 되느냐 마느냐에 따라 덱이 정지 전개 할 수 있을 정도로 덱의 의존도가 높습니다. 고슴도치는 일소권을 사용하며 패트랩을 맞게 되면 특소권으로 전개해야 하는 약점이 있습니다.


 즉 고슴도치에게 선전개를 스타트 시 상대의 패트랩이 고슴도치에 빠지게 되면 추후에 전개 하는 시노노메를 상대는 막을수가 없다는 점 밸리언츠는 특소권으로만 움직이기 때문에 고슴도치에게 일소권을 부여 해도괜찮다는 전략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또한 고슴도치를 통해 시노노메와 함께 덱에서 끌고 올 수 있는 테마는 일반 몬스터를 활용하여 전개를 하는 성잔입니다.

성잔을 받드는 무녀

마법사족 / 2레벨


 시노노메 역시 마법사족 2레벨 몬스터로 고슴도치를 통해 시노노메와 무녀 2장을 전개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고슴도치를 통해 전개 시 필드 위의 몬스터는 효과가 무효화 된 채 필드에 깔리게 되기 때문에 시노노메를 효과를 발동 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시노노메는 필드에서 한번 벗어난 이후에 다시 소환해야 효과를 발동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시노노메를 회수하는 방법이 무엇일지 고민하던 중 발견한 카드가 있습니다.

엑시드 더 펜듈럼

Link 3

펜듈럼 몬스터를 포함하는 효과 몬스터 2장 이상

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를 링크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앞면의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②: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 필드의 펜듈럼 몬스터 카드의 수 × 100 올린다.

③: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 2장의 펜듈럼 스케일로 펜듈럼 소환 가능한 레벨을 가지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자신의 패 / 묘지에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팬듈럼 몬스터는 링크 소재로 사용시 묘지가 아닌 엑스트라덱 맨위에 앞면표시로 놓아야 하는 규칙이 있습니다. 엑시드 더 펜듈럼의 소재는 팬듈럼 몬스터 한 장만 있다면 팬듈럼이 아닌 카드를 소재로도 채울 수 있습니다.


 즉 성잔 무녀를 활용하여 엑더펜의 소재 2장을 채워 줄 수 있다면 엑더펜은 소환이 가능하며 시노노메는 소재로 사용 했기 때문에 엑덱 맨위로 놓고 사용된 시노노메를 엑더펜이 회수하는 방식이 가능 하다는 것입니다. 이를 활용한 전개법을 통해 이덱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 다만 현 밸리언츠는 일소권을 파슬 다이너 파키세팔로에게 주며 필드 마법 마법족의 마을을 통해 상대를 락을 걸어버리는 전략이 있으며 이 덱 전개 자체가 그렇게 강하지 않기 때문에 이 덱을 소개하는 것이 맞을지 고민을 했습니다만 이러한 방식으로도 전개가 가능하다는 점 정도로만 소개하고자 하니 밸리언츠를 이렇게 굴릴수 있다는 점으로만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 덱리스트

[덱리스트]

[몬스터카드] 28장

레스큐 고슴도치 x 3

성잔을 받드는 무녀 x 3

밸리언츠 시노노메 x 3

밸리언츠B-바론 x 2

밸리언츠의 궁인-사이온 x 2

밸리언츠V-바이칸트 x 3

밸리언츠의 첩자-나즈키 x 2

밸리언츠M-마키스 x 3

밸리언츠D-듀크

룡검사 마제스티P 

EM 멍키보드

EM 희대의 듀얼리스트

EM 오드아이즈 싱크론 x 2 

EM 도크로배트 조커


[마법카드] 8장

VV-솔로액티베이트 x 3

VV-쾨니히 비센 x 2

VV-진라만상 x 2

마법족의 마을


[패트랩] 8장

증식의 G x 3

하루우라라 x 3

무덤의 지명자 x 2


[엑스트라덱]

[융합 몬스터]

밸리언츠G-그랑듀크

침연의 밸리언츠-아르크토스 XII


[싱크로몬스터]

폭룡검사 이그니스터P


[엑시즈몬스터]

에볼카이저 라즈

No.41 이수마수 바구스카


[링크몬스터]

링크리보

성잔룡 임두크

비욘드 더 펜듈럼

엑시드 더 펜듈럼

헤비메탈포제 엘렉트럼

에스피:리틀라이트

아이피:마스카레나

소명의 신궁 아폴로우사

엑시즈 코드 토커

잭나이츠 파라디온 아스트람 


- 고슴도치 전개 1

https://www.youtube.com/watch?v=HzcLw41FfSM

[전개 결과]


- 고슴도치 전개2

https://www.youtube.com/watch?v=oZvZP7UuJbI


- 고슴도치 전개3

 이 전개는 일반 몬스터 무녀가 패에 다수 잡혀도 호감패가 아닌 전개를 할 수 있다라는 것을 보여주는 전개 법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qefQZF7bB4


 만약 고슴도치가 막힌다 하더라도 밸리언츠 무녀 or VV-솔로액티베이트를 통해 특소권으로 밸리언츠를 전개 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일소권이 빠진 상태인 것을 유념 할 것) 밸리언츠 자체 테마 자체 내에서 선턴에 세울만한 카드가 없는 게 흠이긴 합니다.


2. 여담

 이 강의 글을 쓰기 위해 연구한 3개 덱이 있긴 하지만 저 테마 이외에도 쓸 만 한 테마가 이그나이트 / 젬나이트 / 육무 등등 여러 선턴 전개 덱에서도 채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개요에서 말했듯이 고슴도치 전개 후 패트랩 맞는 상황에서 전개가 딱히 떠오르지 않아 이 덱 소개에서 빠지게 되었습니다. 


※ ps. 왜 드링이 빠졌는가? 

 드링은 고슴도치를 굳이 안 써도 전개가 가능한 덱이며 고슴도치를 넣을 바에는 전개 패 몇 장 넣는 게 낫다는 판단이 들어 빠지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