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덱리스트

[몬스터 35장]

비서스 삼사라 x 3

스케어클로 라이히하트 x 2

티아라멘츠 세이렌

라이트로드 비스트 울프 x 3

라이트로드 아처 페리스 x 3

라이트로드 데몬 바이스 x 3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 x 3

라이트로드 서머너 루미나스 x 2

트와일라이트로드 샤먼 루미나스 x 2

라이트로드 어쌔신 라이덴

퍼니시먼트 드래곤

저지먼트 드래곤

비스테드 마그나무트

비스테드 드루이드브룸

더 비스테드 루벨리온

비스테드 살로니르 x 2

시노비 네크로즈

숙신상 켈도

검신상 무도라

페어리테일 백설

Em 트릭 크라운


[마법 14장]

솔라 익스체인지 x 3

빛의 원군 x 3

스케어클로 노바

잔디깍기 x 2

카드파괴

어리석은 매장

사세괴=라이포비아

일세괴=페를레이노

복낙인


[함정 2장]

마나둠 리프레이밍

라이트로드 아이기스


[패트랩 9장]

증식의 G x 3

삼전의 호 x 2

삼전의 재 x 2

무덤의 지명자 x 2


[엑스트라]

[융합]

비셔스=아스트라우드


[싱크로]

비스테드 디스 파테르

폴뢰르 드 바로네스

바렐로드 새비지 드래곤

라이트로드 아테나 미네르바

비서스=암리타라

액셀싱크로 스타더스트 드래곤


[엑시즈]

디 언데드 뱀파이어

영원의 숙녀 베아트리체

라이트로드 세인트 미네르바


[링크]

소명의 신궁 아폴로우사

라이트로드 도미니온 큐리오스

S:P 리틀나이트

쿠로시프

스케어클로 라이트하트


1. 서론

 라이트 로드 지원 이후 굴려보던 중 라이트로드로는 암리타라를 비서스로는 세인트 미네르바에 쉽게 닿아 서로 연결되는 것에 연구하기 시작했고 의외로 나쁘지 않은 필드와 전개력에 소개하고자 본 강의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2. 특징 및 장단점

특징

 이 덱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덱 덤핑을 활용하여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묻고 묘지로 보네진 라이트 로드 몬스터의 효과를 활용하여 4축 전개를 이어 갑니다. 필드에 전개된 다수의 4레벨 몬스터를 활용하여 암리타라 / 아테나 미네르바 / 세인트 미네르바 등등 덤핑 및 전개 카드를 활용하여 추가 전개를 이어나가는 방식으로 전개됩니다. 

 매 순간 마다 손패와 덤핑된 몬스터를 확인하며 덤핑 카드의 효과를 적절히 조정하여 필드를 구축해 나가며 이와 비슷한 플레이를 구성한 덱인 범죄... 아니 챠키스페와 비슷한 전개 방식을 취합니다.

장점

① 공격권이 매우 많다.

② 전열과 후열이 분리된 필드 구축이 가능하다.

③ 손패가 꼬이지 않는 한 30장 덤핑이 가능하며 켈도와 무도라를 활용하여 후속을 챙길수 있다.

단점

① 손패가 꼬일 가능성이 높다.

② 덤핑하는 카드 벨류에 따라 덱 전개가 막힐수 있다.

③ 상대방의 패트랩 대응 카드가 적다. [상대의 패트랩을 맞은 이후 삼전의 호 / 삼전의 재로 커버를 치는 덱이다.]

④ 손패 / 덤핑 카드에 따라 전개 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덱 난이도가 매우 높은 덱이다. [챠키스페와 공유하는 단점]

⑤ 어트랙터 / 매크로 코스모스 등등 묘지를 견제하는 카드에 약하다.

 

3. 주요 카드

① 비서스 파츠

 이 덱에서의 초동이자 추가 덤핑 및 공격권을 제공해주는 파츠로 4축 전개를 기본으로 하여 세인트 미네르바에 닿을수 있으며 추후 전개에서 비셔스=아스트라우드가 8레벨 이기 때문에 저지먼트 드래곤과 함께 디 언데드 뱀파이어의 소재가 되어 추가 덤핑을 할수 있습니다. 원핸드 전개로 최소 3장의 덤핑[미네르바]과 최대 10장의 덤핑[미네르바 3장 / 세이렌 3장 / 디언뱀 4장 (비셔스=아스트라우드 소재)]을 제공해주어 라이트로드와의 호궁합을 자랑합니다.

 

 비서스=삼사라

 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의 카드명은, 필드 / 묘지에 존재하는 한 "비서스=스타프로스트"로 취급한다.

 ②: 자신의 필드 / 묘지 / 제외 상태인 "비서스"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비서스"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효과로 되돌린 종류 × 400 올린다.

 ③: 자신 필드의 이 카드를 싱크로 소재로 할 경우, 이 카드를 튜너 이외의 몬스터로 취급할 수 있다.

 

 일소권을 소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고 설명하기에는 솔라 익스체인지 / 빛의 원군 / 잔디 깍기 등등 덤핑이 선으로 수행되고 만약 묘지나 제외존에 라이히하트 / 삼사라가 존재시 2번 효과를 격발하여 비서스=삼사라를 특수 소환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삼사라는 3번 효과에 의해 튜너이자 비튜너이며 이는 싱크로 소환에 필요한 소재를 자유자재로 조달할 수 있는 만능 카드로 변모하게 됩니다.

 

 비서스=암리타라

 튜너 1장 이상 + 빛 속성 몬스터 1장

 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는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카드명을 "비서스=스타프로스트"로 취급한다.

 ②: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비서스=스타프로스트"의 카드명이 쓰여진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③: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파괴한다. 이 턴 중에는 자신 필드의 싱크로 몬스터의 공격력을 800 올린다.

 

 라이트로드 덱의 특징은 "빛속성 4레벨 몬스터"를 다수 소환하여 전개를 한다는 점입니다. 이는 비서스=암리타라의 소재에 충족하며 이를 활용하여 비서스=암리타라로 비서스 파츠의 일부를 땡겨오는 역활을 담당합니다.

 뿐만 아니라 손패에 라이히하트 / 삼사라 없이도 라이트로드 몬스터로 암리타라에 닿을수 있으며 암리타라는 비서스=스타프로스트 취급을 할수 있어 라이트하트의 소재가 될수 있으며 라이트하트의 효과를 활용하여 사세괴 / 라이히하트를 서치하여 필드 위에 링크 칸을 불리는 역활을 담당하기도 합니다. 

 암리타라 소환 시 서치하는 카드에 따라 덱덤핑을 진행할지 후열을 챙길지 결정 하게 됩니다.

 

① 일세괴=페를레이노 서치 루트

 

 일세괴=페를레이노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덱에서 "티아라멘츠" 몬스터 또는 "비서스=스타프로스트"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②: 자신 필드의 융합 몬스터 및 "티아라멘츠"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③: 자신의 필드 / 묘지의 "티아라멘츠" 몬스터가 덱 /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아갔을 경우,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세이렌 서치를 위해 넣은 카드로 일세괴를 통해 세이렌을 서치하게 됩니다. 

 

 티아라멘츠 세이렌 / "4레벨"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자신의 패에서 몬스터 1장을 골라 묘지로 보낸다. 그 후,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로 보낸다.

②: 이 카드가 효과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융합 몬스터 카드에 기재된, 묘지의 이 카드를 포함하는 융합 소재 몬스터를 자신의 패 / 필드 / 묘지에서 좋아하는 순서대로 주인의 덱 아래로 되돌리고, 그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소환한다.


 패 특소 / 3장 덱 덤핑을 수행하는 카드로 몬스터 레벨이 4레벨인 점까지 비서스 파츠를 안쓰더라도 라이트로드에서는 이 카드 한장의 벨류만 보고 채용해도 될 정도로 강력한 카드 입니다. 암리타라를 활용하여 추가 덱 덤핑이 필요 할 시 사용되는 카드입니다.

 

 ※ 티아라멘츠 파츠 전개 예시

 [전개결과]

 OCG에서는 바병키인 키토칼로스가 존재하지 않아 티아라멘츠에 비중을 크게 잡지 않았지만 마듀버전에서 삼사라 / 라이트로드가 금제 없이 그냥 들어오게 될 경우 비스테드 파츠를 조절하여 티아라멘츠 구성을 해도 될정도로 비서스 / 티아라 / 라이트로드 덱이 튀어 나올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테마군입니다.

 

② 마나둠 리프레이밍 서치 루트 

 

 마나둠 리프레이밍 / 카운터 함정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 필드에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하고, 몬스터의 효과 / 마법 / 함정 카드가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한다. 자신의 필드 또는 묘지에, "비서스=스타프로스트" 또는 공격력 1500 / 수비력 2100 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추가로 그 무효로 한 카드를 파괴할 수 있다.

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묘지의 "마나둠" 몬스터를 3장까지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린다.

 

 후열을 챙기기 위해 넣은 카드로 라이트로드 아테네 미네르바가 싱크로 몬스터인점 / 라이트로드만으로 암리타라에 닿을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비서스GS 루트 한정 싱크로 몬스터 범용 후열 카드인 마나둠 리프레이밍을 넣었습니다. 해당 카드의 강력함은 카운터 함정[효과: 몬 / 마 / 함 퍼미션 1회]으로 충분히 설명되며 상대의 전개를 막거나 길항승부 / 번개 등등 필드를 치워 버리는 카드에 퍼미션을 걸어 필드를 보장하는 든든한 국밥같은 카드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② 라이트로드 파츠

 덱의 메인이자 핵심 전개 파츠로 덱에서 묘지로 덤핑하여 덤핑된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하여 필드를 구축해 나가는 테마로 언데드 라로 / 카오스 라로 / 십이수 라로 등등 덤핑이라는 존재만으로도 여러가지 덱을 구성 가능하게 만들어  가장 긴 역사를 지니며 이번 지원을 받게 됨으로써 순수 및 용병을 채용한 형식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는 테마입니다.

 

 라이트로드 아테나 미네르바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싱크로 소재로 한 "라이트로드" 몬스터의 수까지, 덱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묘지로 보낸다(같은 종족은 1장까지).

②: 자신 필드의 "라이트로드" 몬스터는 효과로는 제외할 수 없다.

③: 자신 묘지에서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4장까지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제외한 수만큼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이번 지원에서 받은 라이트로드 카드로 최대 6장을 덤핑하는 라이트로드 버전 카도리 입니다. 1, 3번 효과를 극한으로 활용하기 위해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소재를 삼아 전개하며 소재를 준비하기 위해 이번에 신규 지원을 받은 다른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활용하여 쉽게 전개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카드의 진면목은 라이트로드의 소재로만 전개를 이어 갔을 경우 [라이트로드 몬스터 2체 / 덱 덤핑 몬스터 2체] 총 4체의 종류가 다른 라이트로드 몬스터를 덤핑 할 수 있으며 3번 효과를 즉시 발동하여 4장을 추가 덤핑 할 수 있는 강점을 들어냅니다.


 라이트로드 데몬 바이스 4레벨 튜너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패에서 다른 "라이트로드" 카드 1장을 덱의 맨 위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묘지로 보낸다.

②: 이 카드가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라이트로드 데몬 바이스" 이외의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번에 지원 받은 고성능 패특소 카드로 라이트로드버전 세이렌 입니다. 이 카드의 존재로 인해 라이트로드의 단점인 하급 몬스터 중 패 특소 카드가 없다는 점 / 덱 특소 카드인 페리스와 비스트 울프가 손패에 잡히는 불상사를 막아준다는 점 / 묘지에 갔을 시 라이트 로드 몬스터를 특수 소환 한다는 점에서 3장을 넣을 수 밖에 없는 카드 입니다. 이 카드의 단점은 패 특소는 다른 라이트로드 카드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점 때문에 라이트로드 파츠를 두껍게 짤 수 밖에 없다는 점이 있습니다.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

 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 묘지에 "라이트로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②: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 이외의 "라이트로드"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낸다.

③: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공격력 3000 / 수비력 2600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이 카드 역시 이번에 지원 받은 고성능 패특소 카드로 라이트로드 버전 레이노하트 입니다. 특수소환 했을 경우 덱에서 라이트 로드 카드를 묘지에 덤핑하며 라이트로드 마법 / 함정 역시 덤핑이 가능합니다.

 대체적으로는 덱전개를 위해 페리스와 비스트 울프를 덱에서 버리며 그 둘 없이도 덱전개가 가능하다면 라이트로드 아이기스를 덤핑하여 후열을 챙기는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묘지에 보내졌을 경우 3번효과가 격발되며 3번효과의 서치가 가능한 드래곤족 몬스터는 저지먼트 드래곤과 퍼니시먼트 드래곤 뿐이며 대체적으로는 패 특소가 가능한 저지먼트 드래곤을 서치 합니다.

 일소권에도 효과 발동 가능한 레이노하트와 달리 이 카드는 특소 했을 때만 전개가 가능하며 묘지에 라이트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만 패 특소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 등등 초동 전개 패가 아닌 연계 카드라는 점이 이 카드의 단점입니다.

 

 저지먼트 드래곤 [8레벨]

 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묘지의 "라이트로드" 몬스터가 4종류 이상일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①: 10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 이외의 필드의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②: 자신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4장 묘지로 보낸다.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로 서치하는 카드로 라이트로드 몬스터가 4종류 이상 묘지에 존재시 특수소환 하는 카드로 활용되며 8레벨 인점을 착안하여 비셔스=아스트라우드[8레벨] 또는 비셔스=암리타라[8레벨]과 함께 디언뱀의 소재가 되어 추가 덤핑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재 몬스터 입니다.

 

 라이트 로드 비스트 울프 [4레벨] / 아처 페리스 [4레벨/튜너]

 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으며, 카드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①: 이 카드가 몬스터의 효과로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덱 덤핑 전개 카드로 통상 소환이 불가능하여 손패에 잡고 있으면 호감이 되는 단점이 있는 카드지만 카드의 턴제가 붙어 있지 않기에 덱에서 덤핑만 된다면 언제든지 필드 위로 불러 올 수 있는 전개 카드 입니다. 아처 페리스는 튜너 / 비스트 울프는 비튜너 몬스터로 특소 되며 페리스는 상대 필드 몬스터 존재시 자신을 릴리스하고 상대 필드 몬스터를 파괴 자신은 덱덤핑을 3장을 하는 효과가 붙어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후공 전개 시 활용되며 선공 전개에서는 1번 효과만 활용하여 덱 전개를 이어 나갑니다.

 


 샤먼 루미나스와 트와일라이트로드 버전 루미나스로 덱 전개를 이어 나가기 위해 채용한 카드로 3레벨인 점이 아쉬우나 루미나스를 활용해 전개한 몬스터들은 아폴로우사나 리틀나이트로 소재를 삼아 전개를 이어 나가게 됩니다.


③ 비스테드 파츠

 ※ 비스테드 레벨 6 몬스터의 공통 효과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 또는 상대 묘지의, 빛 /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제외하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②: [고유 효과]


 ※ 고유 효과

비스테드 마그나무트: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에, 자신의 덱 / 묘지에서 "비스테드 마그나무트" 이외의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비스테드 살로니르: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비스테드 살로니르" 이외의 "비스테드" 몬스터 1장 또는 "낙인"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덱에서 묘지에 보낸다.

비스테드 드루이드브룸: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상대 필드의 특수 소환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묘지로 보낸다.

비스테드 발드레이크: 상대가 의식 /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빛 /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그 특수 소환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제외한다.

 

 라이트로드 / 비서스 파츠가 전부 광암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을 활용하여 채용하게 된 축으로 자신과 상대의 묘지에서 광/암 속성 몬스터를 제외하는 것으로 패에서 특소하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몬스터의 레벨이 6레벨인점을 활용하여 10싱크로 몬스터인 바로네스 / 드래곤족 몬스터를 소재가 필요한 파테르를 조건을 충족하여 소환할 수 있으며 파테르는 제외 되어 있는 광암 속성 몬스터를 필드 위에 다시 불러내어 전개를 이어나가거나 상대의 몬스터 효과를 견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6레벨 몬스터가 연이어서 나오는 것을 활용하기 위해 베아트리스와 묘지에서 제외되면 필드위에 소환되는 시노비 네크로즈와 시노비 네크로즈를 특소 하여 10 싱크로 몬스터에 닿을수 있는 액셀싱크로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채용했습니다. 단 시노비 네크로즈의 역활과 액셀싱의 역활이 크지 않아 덱 조정이 필요하다면 위의 2개의 카드를 빼는 것을 추천 합니다. 그 외로 비스테드를 서치 및 복낙인을 필드 위에 놓는 루벨리온과 광/암 몬스터가 제외시 덱으로 돌리고 드로우를 해주는 복낙인 정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④ 숙신상 켈도 / 검신상 무도라

 이 덱에서 무한정 갈았던 카드를 되돌리는 역활과 잘못 덤핑[ex) 복낙인 / 마나둠 리프레이밍]된 카드를 되돌리기 위해 채용한 카드입니다. 둘다 4레벨 몬스터이기 때문에 필드의 4레벨 몬스터가 급한 경우 일소권을 이 둘에게 주어 전개를 이어 나갑니다.


⑤ 쿠로시프

 쿠로시프

 카드명이 다른 몬스터 2장

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의 링크 앞에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링크 앞의 몬스터 종류에 따라 이하의 효과를 각각 적용한다.

●의식: 자신은 2장 드로우한다. 그 후, 자신의 패를 2장 골라 버린다.

●융합: 자신 묘지에서 레벨 4 이하의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싱크로: 자신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은 700 올린다.

●엑시즈: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은 700 내린다.


 비서스GS에 매번 등장하는 그 녀석입니다. 비셔스=아스트라우드와 호궁합으로 이 덱에서 이카드의 활용도가 다른 비서스GS에 비해 매우 올라간 케이스 입니다.

 

 쿠로시프의 역활

 ① 체인꼬기

 링크 앞 몬스터가 특수소환 되었을 경우에 발동이기 때문에 암리타라 / 아테네 미네르바의 소환시 발동하는 효과와 겹쳐 동시체인이 걸립니다. 이 경우 암리타라 or 미네르바 효과를 1번 쿠로시프의 효과를 2번에 놓게 되면 1번효과인 암리타라 미네르바 효과를 상대방은 체인을 관통하는 패트랩을 제외한 나머지 패트랩으로 막을수가 없습니다. 

 

 ② 몬스터의 소생효과

 다른 비서스GS덱에 비해 이덱에서는 살리는 몬스터가 매우 중요합니다. 드래곤 오브 라이트로드를 이 카드로 소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전개가 가능해지게 됩니다.

 위의 영상처럼 아폴로우사 / 미네르바 / 디언뱀까지는 삼사라 원핸드로 쉽게 닿을 수 있으며 미네르바 / 디언뱀의 효과로 8장을 추가로 덤핑하며 전개를 이어 나갈 수 있습니다. 


 ③ 아폴로우사 소재

 말 그대로 전개가 이루어 진 후 아폴로우사의 소재가 됩니다. 2링크 몬스터이기 때문에 몬스터 소재를 2체만 준비하면 3소재의 아폴로우사를 쉽게 띄울수 있습니다.

 

 PS. 쿠로시프의 효과 발동 타이밍은 크 앞에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에 발동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스트라우드를 쿠로시프 링크 마커에 두고 다른 마커에 다른 몬스터가 특수소환 되었을 경우 쿠로시프는 융합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하게 됩니다. 

 이를 활용하여 아스트라우드와 미네르바 or 암리타라를 각각 쿠로시프 링크 마커에 소환을 하게 되면 쿠로시프의 재정은 위에서부터 차례로 적용됩니다.

 즉 쿠로시프 링크 몬스터 앞의 의식 /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몬스터의 순서로 되게 되며 융합 몬스터 효과인 4레벨 몬스터를 소환한 이후 싱크로 몬스터 효과인 공격력 700 타점을 올리게 됩니다.

 

4. 덱 전개 영상

 이덱은 덤핑의 벨류에 의해 덱의 전개력이 결정나게 되는 변동성이 심한 덱이기 때문에 랜덤패 / 덱셔플 적용된 버전으로 5번 굴려 이 덱이 어떻게 돌아 가는 지 보여 드리는 것으로 원핸드 / 투핸드 영상을 대체하겠습니다.

 

① 랜덤패 전개 ver 1

[전개 결과]


② 랜덤패 전개 ver 2

[전개결과]


③ 랜덤패 전개 ver 3

[전개결과]


④ 랜덤패 전개 ver 4

[전개결과]


⑤ 랜덤패 전개 ver 5


[전개결과]


5. 여담

 확실히 이전 비서스GS 덱보다 난이도가 매우 높은 덱이다 보니 랜덤패 전개 할때도 실수가 많이 나오긴 합니다. 다른덱에 비해 덱의 완성도 역시 몇 부분 손을 봐야 할 거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그래도 랜덤패 전개에서 이 덱에서 보여 줄 수 있는 플레이는 다 보여 줬다 생각합니다.

 챠키스페를 현 OCG 버전에서 굴려 보고 싶다면 이런 방식으로 한번 굴려보자라는 간단한 소개글이자 강의글 정도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마듀에서 바병키 / 삼사라 / 라이트로드가 금제 없이 나오길 빌며 이 강의글을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