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배경, 상징적요소로 캐릭터를 나아가 이야기 구조를 알 수 있다.



제가 아트리를 좋아하는 이유는 잘 짜인 이야기 구조 때문입니다.


원인 불명의 현상으로 천천히 가라앉는, 완만히 멸망하는 세계

원인 불명의 사고로 삶의 의욕을 잃고 방황하는 주인공


단순히 배경과 캐릭터가 닮은 것이 아닌 하나의 장치로써 작동합니다.









1. 빛이 없는, 심해 (하강과 상승의 이미지)


주인공은 빚을 갚기 위해 할머니가 남긴 [보물]이 잠들어있다는 심해로 나아갑니다


이는 [하강의 이미지]


아카데미에서의 실패

아버지와의 갈등

어머니의 죽음과 환상통

할머니의 빚

잃어버린 다리


주인공의 현재 상황을 대변하는 심상입니다.







그러나 심해는  끝없이 추락하는 '자유낙하'가 아닌

바닥이 존재하는

어쩌면 [보물]이 존재할지도 모르는

빚을 갚고 의족을 사고, 삶을 새롭게 시작할지도 모르는

바닷속의 잠수함이 지상으로 부상하는


[하강의 이미지]인 동시에 [상승의 이미지]입니다.








2. 지상의 빛 (빛의 확장)


작 중 주인공은 빛을 3번 밝힙니다.

전구

교실의 형광등

마을의 빛


이야기가 확장될 때마다

(또는 주인공의 내면이 변화할 때마다)

빛 또한 확장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1) 작은 전구


아이들에게 공부의 필요성을 가르치기 위해 만든 전구은

쓸모없는 작은 빛 밖에 만들어낼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리리카에겐 밤에 책을 읽을 수 있는 귀중한 등불이 되어주며

주인공에겐 다시 무언가에 도전할 동기가 됩니다.






2-2) 교실의 형광등


교실의 형광등을 밝힌 주인공은 더 이상 마을 외곽에 사는 기인 할머니의 손자가 아닌

마을 공동체의 일원으로 인정받게 됩니다.






2-3) 마을의 빛


주인공은 아카데미로 돌아가 지구를 구하기로 결심하고, 아트리는 마을의 빛을 밝힙니다.

마을 사람들은 구원을 얻습니다.


그러나 마을의 빛을 밝힌다고 지구(=아트리)를 구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에

주인공과 아트리는 이별합니다.






3. 로켓 (빛의 수직적 확장)


작은 전구 - 학교의 형광등 - 마을의 불빛은 [빛의 수평적 확장]을 의미하고

로켓은 [빛의 수직적 확장]을 의미합니다.


이는 [상승의 이미지]



주인공이 모든 갈등을 해소하고 내면적 성장을 이루어냈다는 뜻입니다.


아버지와의 갈등을 해소하고

어머니의 죽음을 받아들여 환상통을 겪지 않고

할머니의 빚을 갚고

아트리와의 이별을 받아들이며

아카데미에서의 새 시작을 다짐합니다.






4. 배경과 상징적 요소로 캐릭터를 나아가 이야기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아트리의 배경은

(심해) - (학교) - (인공섬) - (우주)로 확장되며


상징적 요소(빛)는

(없음) - (수평적 확장) - (수평적 확장) - (수직적 확장)으로 확장되고


상승과 하강의 이미지는

(하강) - (상승) - (상승) - (상승)으로 변화합니다.





이처럼 이야기의 배경, 상징적 요소 그리고 다양한 이미지를 통해

캐릭터의 내면을 유추할 수 있고, 이야기 구조를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아트리는 세부사항에서 여러 문제점이 존재합니다.

악역의 동기, 평면적인 조연, 엔딩에서 패배하는 소꿉이(패배의 상징..ㅋ) 등


그러나 전체적인 이야기 구조는 매우 잘 짜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줄평)

상승과 하강으로로 명징하게 직조해낸 아름다운 동화

by 김유붕



다음 리뷰글 : 다리, 잠수함, 빛, 로켓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