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WebUI 설치 및 환경

최근 수정 시각:

1. 본인의 환경2. 설치3. 모델4. VAE
4.1. vae 비교

1. 본인의 환경 [편집]

AI 그림 생성 시 VRAM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며, 충분하지 않을 시 메모리 부족으로 생성 해상도가 제한된다.[1]. 일반적으로 최소사양은 6GB, 권장사양은 8-12GB.

따라서 일반적으로 로컬 실행 권장 환경은 NVIDIA RTX 3060/2060 이상의 GPU가 권장되며[2], 그 미만은 코랩[3] 사용이 권장된다. 본인의 환경에 맞게 로컬[4]/코랩[5]을 사용하자.

2. 설치 [편집]


컴퓨터 사양이 충분할 경우

- a1111-WebUI
로컬1[6]/로컬2[7]/로컬3

- vladmandic-automatic [8]
로컬1
설치 후 models/Stable-diffusion 폴더에 소장중인 모델을 하나 넣어주고 스타트하면 된다.

인텔맥 주의: torch 버젼 1.13.1 까지 밖에 지원이 되지 않으므로 설치할 때 torch 버전이 맞게 깔렸는지 확인해야 한다. 2.0 이후의 버전일 경우, 다운그레이드가 필요하다.


사양이 부족할 경우

코랩/코랩2



설치 시 무려 2.6GB나 되는 torch 라이브러리의 큰 크기로 인해 시간이 꽤 걸리니 인내심을 가지자.

3. 모델 [편집]

Huggingface, CivitAI 등의 사이트에서 여러 모델을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한 파일은 root[9]/models/Stable-diffusion에 넣으면 된다.
모델 문서에 여러 모델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예시 그림이 존재하니 모델이 궁금한 사람들은 확인해 보자.

4. VAE [편집]

VAE는 그림의 색감을 변경해 주는 역할을 하며, 없을 시 보통 물빠진 느낌의 그림이 나오기 때문에 꼭 같이 사용하자. 주로 많이 쓰이는 NAI 또는 kl-f8-anime2를 받아 stable-diffusion-webui\models\VAE 폴더에 넣으면 된다.

전자보다 후자는 더 큰 효과(쨍한 색감)을 보이지만, 해상도가 크지 않을 경우 선이 굵어지는 등의 부작용이 존재한다. 여러 VAE를 시도해 보고 맞는 VAE를 찾아 사용하자.

4.1. vae 비교 [편집]

[1] 메모리를 초과할 경우 CUDA out of memory 에러가 발생하며 그림 생성이 중단된다다.[2] 참고[3] NVIDIA Tesla T4를 사용. RTX 3060/2060보다 약간 느리다.[4] 본인의 컴퓨터[5] 구글 GPU 빌려쓰기(한도 존재)[6] 통칭 원클릭[7] 통칭 통합팩[8] vladmandic이라는 유저가 기존의 WebUI에 비해 여러 방면으로 최적화시킨 버전.[9] 보통 a1111-WebUI일 경우 stable-diffusion-webui, vladmandic-automatic일 경우 automa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