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UI 설치 및 환경
최근 수정 시각:
1. 본인의 환경 [편집]
2. 설치 [편집]
컴퓨터 사양이 충분할 경우
- a1111-WebUI
로컬1[6]/로컬2[7]/로컬3
- vladmandic-automatic [8]
로컬1
설치 후 models/Stable-diffusion 폴더에 소장중인 모델을 하나 넣어주고 스타트하면 된다.
인텔맥 주의: torch 버젼 1.13.1 까지 밖에 지원이 되지 않으므로 설치할 때 torch 버전이 맞게 깔렸는지 확인해야 한다. 2.0 이후의 버전일 경우, 다운그레이드가 필요하다.
사양이 부족할 경우
코랩/코랩2
설치 시 무려 2.6GB나 되는 torch 라이브러리의 큰 크기로 인해 시간이 꽤 걸리니 인내심을 가지자.
3. 모델 [편집]
Huggingface, CivitAI 등의 사이트에서 여러 모델을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한 파일은 root[9]/models/Stable-diffusion에 넣으면 된다.
모델 문서에 여러 모델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예시 그림이 존재하니 모델이 궁금한 사람들은 확인해 보자.
모델 문서에 여러 모델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예시 그림이 존재하니 모델이 궁금한 사람들은 확인해 보자.
4. VAE [편집]
VAE는 그림의 색감을 변경해 주는 역할을 하며, 없을 시 보통 물빠진 느낌의 그림이 나오기 때문에 꼭 같이 사용하자. 주로 많이 쓰이는 NAI 또는 kl-f8-anime2를 받아 stable-diffusion-webui\models\VAE 폴더에 넣으면 된다.
전자보다 후자는 더 큰 효과(쨍한 색감)을 보이지만, 해상도가 크지 않을 경우 선이 굵어지는 등의 부작용이 존재한다. 여러 VAE를 시도해 보고 맞는 VAE를 찾아 사용하자.
전자보다 후자는 더 큰 효과(쨍한 색감)을 보이지만, 해상도가 크지 않을 경우 선이 굵어지는 등의 부작용이 존재한다. 여러 VAE를 시도해 보고 맞는 VAE를 찾아 사용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