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메르국

최근 수정 시각:

분류

Republic of Mer
메르공화국
국기
국장
Beautiful land
아름다운 땅
역사
건국 2000년
내전 발발 2005년
내전 종전 2018년
민주화 2025년
언어별 명칭
[ 펼치기 · 접기 ]
아스칸다니아어
Republic of Mer
월영어
么儿共和国
힌디어
मेर गणराज्य
타미르어
மெர் குடியரசு
민복어
메르공화국
탁록어
Republika ng Mer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최대도시
면적
4421㎢
내수면 비율
1.4%
접경국
추가예정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전체 인구
1,068,822명(2026년)
인구 밀도
241.8명/㎢(2016년)
출산율
3.43명(2026년)
출생 인구
52,982명(2026년)
평균 수명
67세(2026년)[2]
민족 구성
마르인 50%, 월영인 43%, 힌두인 4%, 타미르인 1.5%, 탁록인 0.5% 등 (2026년)
공용어
아스칸다니아어국어
월영어, 힌디어보조언어
타미르어기타보조언어
공용 문자
라틴문자
종교
국교 없음
기독교 54% (가톨릭/천주교: 38%, 개신교 16%) 불교 29%, 힌두교 11%, 이슬람 5%, 기타 3%
군대
메르군
경제
[ 펼치기 · 접기 ]
GDP
2,894,080,000 달러(2027년 1월년)
1인당 GDP
2708 달러(2027년)
GDP(PPP)
7,508,474,550 달러(2018년)
1인당 GDP(PPP)
7025달러(2018년)
신용 등급
무디스 Aaa
S&P AA
Fitch AA
화폐 단위
아스칸다니아 달러(기호)[3]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대통령제
4,66점 ?개국 중 ?위(2019년)
대통령
에크렘 이맘오을루(2017~ / 공화인민당)
총리
일함 알리예프 (2019~ / 정의개발당)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시간대
UTC+5
도량형
외교
[ 펼치기 · 접기 ]
무비자 입국
양국 모두 90일.
국가 도메인
.mr
국가 코드
ROM
국제 전화 코드
미상
위치

1. 개요2. 역사
2.1. 건국2.2. 내전2.3. 내전 이후
3. 지리
3.1. 메르수도시
4. 정치5. 경제6. 교통
6.1. 메르 1호선

1. 개요 [편집]

아스와에 속한 곳으로 역사는 짧은 나라

전반적으로 사회는 불안정하지만 발전은 하고 있다.
인구 성장률은 평균 3%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메르국 인구 그래프

2. 역사 [편집]

2.1. 건국 [편집]

2.2. 내전 [편집]

2.3. 내전 이후 [편집]


2025년에 민주화가 되었다.

2027년 11월, 청서두창 발병으로 인해 2027년 한 해는 안 좋은 해로 기록될 것으로 전망된다.

3. 지리 [편집]

3.1. 메르수도시 [편집]

  • 메르수도시청이 있는 곳이며 남부에 길게 바다를 향해 뻗어있는건 수도인데 내륙일순 없다면서 기괴한 모양새가 되버렸다.

2 - 두싱구(Duxing District)
  • 메르수도시 최대 구(도시)이며 면적은 메르수도시의 1.5%인 6km^2 (어제 0.8은 오류) 밖에 안 되나 인구는 무려 11만명으로 메르국의 10% 넘게, 메르수도시의 25%를 차지한다. 메르국 내의 최대 부촌으로 1인당 gdp가 평균의 1.5배인 11000$나 된다. 월영인들이 많이 산다.

3 - 잉타구(Ingta District)
  • 잉타역(A15)이 있다.

4 - 휴지구(Huge District)
  • 말그대로 커서 Huge라는 이름이 붙었다.

5 - 공항구(Airport District)
  • 메르국내에서 유일한 메르국제공항이 있는 곳이며 공항 확장을 위해 간척 계획이 있다. 그리고 메르종합운동장도 지어질 예정

6 - 멜론구(Melon District)
  • 유래는 메르국 내에서 최초로 멜론이 대중화된 곳이여서 그렇게 붙여졌다. 유명 명소인 멜론시장과 멜론 해수욕장이 있다. 메르국 내에서 멜론을 제일 좋아하기로 유명

7 - 무루구(Mulu District)
  • 마르족들이 많이 살며 무루역(A14)이 있다.

8 - 퇑슈구(Tuangshu District)

9 - 서항구구(West port District)
  • 메르수도시의 서쪽에 있고 항구가 있어서 서항구구로 붙어졌다. 그러나 시청구의 욕심 때문에 두동강 나버린 상태

10 - 서구(West District)
  • 말 그대로 서쪽에 있어서 그렇게 붙여진거

11 - 민복주(Minbok District)
  • 민복국을 존경하는 차원에서 붙여진 이름

12 - 메르원주민구(Native Merian District)
  • 메사산의 동쪽이 있어서 동메사구로 불렸으나 메르 원주민들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2027년 10월에 이름이 변경되었다.

13 - 서메사구(W. Messa District)
  • 메사산의 서쪽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 메르수도시 내에서 고속도로, 철도가 없는 유일한 지역이고 제일 가난한 지역으로 평균이 7천$임에도 불구하고 1421$로 독보적으로 가난하며 판자촌이 많이 있다.

4. 정치 [편집]

5. 경제 [편집]

메르국 1인당 gdp 그래프
메르국 gdp 그래프
빈부격차가 크다.

6. 교통 [편집]

고속도로 2개와 철도 1개가 있다.
  • 고속도로
    • 메르수도시-세민 고속도로: 2000년 개통
    • 메르순환고속도로: 2023년 개통[1단계]
  • 철도
    • 메르 1호선: 2026년 개통

6.1. 메르 1호선 [편집]

역번호
역명
승강장
층수
A10
Sports Stadium
종합운동장
∎| |∎
지상 2층
A11
Mer Int'l Airport
메르국제공항
|∎|
지상 3층
A12
Melon Market
멜론시장
∎| |∎
지상 2층
A13
Mer Beach
메르해변
∎| |∎
지상 1층
A14
Mulu
무루
|∎| |∎|
지상 1층
A15
Ingta
잉타
∎| |∎
지상 1층
A16
Duxing-Roheban Group
두싱(로헤반그룹)
∎| |∎
지상 1층[5]
A17
Mer Capital City hall
메르수도시청
|∎| |∎|
지상 1층
A18
Gaching
가칭
∎| |∎
지상 1층
A19
Totin
토틴
∎| |∎
지상 1층
A20
Tuli Captol state
투리주청사
∎| |∎
지상 1층
A21
W. Port
웨스트포트
|∎|
지상 1층

[1] 실질적으로 도시이나 행정상 구인 두싱구가 일반 도시로 따지면은 최대 도시[2] 남성 65세, 여성 69세[3] 2024년까지는 메를을 썼으나 경제 개혁의 목적으로 아스칸다니아 달러로 교체[1단계] 구간은 메르수도시만 있어서 메르수도시 고속도로라고도 불린다.[5] 사실상 지하 0.5층인 반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