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이 글에서는 플러그인들의 추천 제외하고도 플러그인들의 사용 방법도 하나하나 설명할거라 글이 매우 길 예정

그리고 뉴비 입장에서 쓰는거라 이거는 무슨 옵션이고 저거는 무슨 옵션이고~~ 

이게 아닌 어느정도의 값을 정해주고 이렇게 하는게 좋을거다 라는 식으로 적을거라


하는 방법을 아는 사람들은 굳이 볼 필요가 없는 글일거같음 (진짜 장난안치고 매우 길음...)


만약 자기가 뉴비가 아니라면 엄청 길테니까 뒤로가기 눌러도 됨


아니면 플러그인만 알아가도 돼고


그리고 난 다른 사람들처럼 뭐 그래프보고 그런거 안하고


only 귀로만 듣고 판단하면서 데이터셋 만드는 사람이라


엄청 신용하고 내 방법을 따라하면 안됨


알려줄 플러그인 종류


1. de-noise 플러그인


2. EQ(이퀄라이저)


3. 컴프레서


4. 디에서


5. 익사이터


번외) DAW 오다시티 (데이터셋 작업만 할거라면 이걸로도 충분함 믹싱은 힘들고)


이 글에서 사용하는 노래들은 일본에서 유명한 요xx비님의 노래를 사용함

내가 한국 가수만 들어서 여기있는 대부분의 사람이 모를거같아서.. 그나마 유명한 요떙땡비로...




de-noise 플러그인


https://bertomaudio.com/ Bertom Denoiser


내가 생각하는 무료 디노이즈 플러그인 top.1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깔끔하게 노이즈를 제거가능

Bertom Denoiser 클래식을 다운받으면 됨 


아래는 사용 영상



듣기 편하라고 노래 소리 자체를 5db 높혔음

간단하게 설명하면 초저음역대는 굳이 그렇게 크게 건들지않음 (사실상 저긴 내리는 족족 노이즈판정임 그냥)


그냥 초저음역이 좀 더럽다(웅웅거린다) 싶으면 내리는 편이고 웬만하면 300이상부터 건드는걸 고려해야함

그렇다고 4k~10k를 너무 내려버리면 소리가 먹먹해질수있으니 그건 바이패스 껐다키면서 판단해야함


대충 노이즈 제거의 윤곽을 맞췄다면 옆의 트레숄드를 이용해서 미세조정 해주면됨


그리고 가끔 하이패스필터 거는사람 있는데 그러면 소리 자체가 엄청 얇아질수 있으니 난 추천하지않음 필요불가결한 노이즈라 생각해야지 뭐 영상처럼 


영상처럼 트레숄드를 중간정도로 올리고 모든 그래프를 내린다음에 하나하나 맞춰가면 처음하는 입장에서 편할거임

대충 이게 이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영상




EQ(이퀄라이저) 플러그인


https://www.native-instruments.com/en/products/izotope/ozone-11-eq/?fbclid=PAAaYF7IRkicwBIG8uwRfqYoFfIl-NC0q5qHKIMHmngr0pyihCzc9-I-dvdtA_aem_AYhqmgREXDNIUjBlVl5HjZme4qMr98pcrAN9x1vVU6nuz9qmorjxGxvOGFiUUMWrT8c < 오존11 eq


무료 이퀄라이저계의 여포인듯? 다이나믹이큐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긴한데 그건 nova이큐 쓰자


아래는 사용 영상




이 오존eq가 진짜 개사기인 이유는 "게인 매치" 이게 거의 90%는 차지함

이큐에 착색이없고 어쩌구... 제로레이턴시 어쩌구...매우가볍고 어쩌구... 솔직히 우리 입장에선 알빠노고

게인매치가 좋은 이유는


사람은 소리가 커지면 커질수록 그 소리를 좋다고 느낌


즉 내가 이상한 대역을 부스트시켰더라도 그걸 좋다고 느낄수도 있는거임


근데 이 게인매치를 키면 올리기전의 소리로 자동으로 매치시켜주기 때문에 그러는 경우가 매우 적음


사실 난 가수 데이터셋에는 eq를 안쓰는 편인데 영상 찍을려고 억지로 썼음... 


처음 들었을때부터 고음역대 개드럽다고 생각해서 고음역대 살짝 잘라주고


저음역대도 뭔가 마음에 안드는 소리가 있길래 그거도 살짝 잘라줬음


뉴비를 위해서 그냥 공식을 정해주겠음


소리가 치치거리며 드럽다? < 3000~8000 컷을 고려


소리가 웅웅거리며 드럽다? < 300~500 컷을 고려


처음키면 Q값은 어떻게 해야하지...하는데 그냥 이거도 정해주자면


고음역대는 1~1.5 저음역대는 1.5~2.5로 컷을 0.5~1.5 정도


여기 안에서만 한다면 그렇게 큰 문제는 없을거임 아마도?


내가 q값을 12로주고 많이 잘라준건 내 기준 더러운 소리같애서 자른거고 안해줘도 됨 




컴프레서


https://www.patreon.com/posts/lala-36128829 < 아날로그 옵세션의 LALA 컴프레서


뉴비들은 뭐 어택이 어쩌구...릴리즈가 어쩌구...레시오....소프프칸 하드칸... 솔직히 언제 배우고 앉았음


저건 이미 어택 릴리즈 레시오 칸 다 정해져있는 컴프레서고


실제로 성능도 좋고 사람들이 많이 애용하는 보컬 컴프레서라 매우 좋음 거기다 무료고


저 아날로그 옵세션이란 곳은 무료 플러그인 만드는 곳인데 저기 플러그인 진짜 개좋음 다 한번씩 사용해보자


아래는 사용 영상



당연하게도 실제 가수 노래데이터셋에는 웬만해선 절대로 컴프레서를 사용하면 안됨... 음색이 망할수있어서


그래도 난 영상 찍을려고 사용한거고 대부분 소리의 균일함을 위해 사용하게 될텐데 


그럴땐 컴프레서가 3db를 넘지않게 사용하는게 매우 스무스하게 잘먹어들어감


영상처럼 소리가 큰 부분에서 대충 3db조금 넘거나 왔다갔다하게 사용하고 대충 메이크업게인 올려서


소리를 이전만큼 올려주면 됨




디에서


https://techivation.com/t-de-esser/ < T-De-Esser


무료 디에서중에 가장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한거같음


daw(오다시티,골드웨이브 제외)가 있다면 daw 자체 디에서가 더 좋긴함 웬만해서는


다운할때 프리셋도 다운받아주자 쓸줄모르면 그냥 프리셋 대충 박으면 해결됨


나도 영상에 프리셋 사용함


아래는 사용 영상



ㅈㅅ 이건 영상봐도 도움안될듯 내가 치찰음 심한 노래가 없어갖고 효과가 없음


일단 대충 알려주자면 대충 프리셋 마음에 드는거 고르고 중간의 노브를 돌리면서 치찰음만 들어오게 조절하면 알아서 디에싱해줌


정말 간단하다




익사이터


https://slatedigital.com/fresh-air/ < Fresh-air


익사이터는 주로 고음역을 올려주는 eq비스무리한거라 생각하면됨


이큐로 고음을 올리는것과 다른점은 특유의 색감을 입혀줌 


익사이터는 그 특유의 샤한 느낌이 있는데 그게 먹먹한 데이터셋에 정말 잘먹어들어감


일단 이거도 내가 먹먹한 데이터셋이 없어서... 대충 내가 직접 먹먹하게 만들고 보여줌


물론 일부러 먹먹하게 만드거랑 처음부터 먹먹한건 차이가 있긴하니 그 부분은 이해좀 부탁..


아래는 사용 영상



당연히 이건 최대한 안쓰는게 좋음 고음역대를 올리면 노이즈,치찰음도 같이 올라오기 때문에...


그래도 너무 먹먹하다면 한번쯤은 고민해보자 가끔은 쓸만함

영상에서는 차이를 보여주기위해서 좀 과하게 올렸는데 저거의 절반 좀 안되게 사용해도 괜찮음

왼쪽은 3k 구간을 완만하게 올려주고 오른쪽은 10k구간을 완만하게 올려줌

진짜 뉴비를 위해 간단하게 공식을 정해주자면


먹먹해서 발음이 잘 안들린다? < 왼쪽 노브 많이 돌리고 오른쪽 노브 조금 돌리셈


발음은 잘들리는데 소리 자체가 좀 답답하다? < 오른쪽 노브 많이 돌리고 왼쪽 노브 조금 돌리셈


그리고 올린만큼 바이패스를 껐다켜주며 소리를 플러그인 걸기 전만큼 내려주셈

이런 작업을 안해주면 소리 커져서 클리핑남


+ 번외) https://youlean.co/youlean-loudness-meter/ < 대충 음량을 그래프로 보여줌


이거 플러그인 앞에 하나 플러그인 뒤에 하나 걸고


보면서 음량 맞추면 매우 간단하게 플러그인 걸기전 음량만큼 내릴수있음




전체적으로 플러그인을 좀 과하게 걸었는데 저거만큼 안걸어도 돼고 


그냥 자기가 걸고싶은만큼 거는게 정답임 그래프 보면서 데이터셋 안만드는 내 입장에선

데이터셋은 들리는게 다임 

좋게 들린다? 모델도 좋음 90%


그렇다고 막 플러그인 꽂지말고 원본 손상 최대한 안시키는 안에서


최소한의 플러그인을 꽂는게 맞음 

그리고 스테레오로 작업후 모노로 추출하셈

어차피 잡음은 양쪽에서 들려서 모노로 작업하면 훨씬 어려운거같음(내기준)




밑에는 de-noise,eq 후 비교

그 외 플러그인은 그냥 보여주기식이라 이거 두개만 비교함


플러그인 off




플러그인 ON



플러그인 사용법은 다 내 경험에서 나온거라 무시해도 됨 

내가 하는 방법이 맞다! 가 아니라 뉴비들이 입문하기 쉽게

이런 방법도 있다! 라는 느낌?


난 내 방식대로 좋아하는 가수는 대충 곡마다 짧으면 한시간 길면 한시간반에서 두시간정도 걸리는거같음 


진짜 금방하면 10~30분안에도 가능하긴함 근데 다들 퀄리티가 좋은게 좋잖아


기왕 만들거 무료라도 플러그인좀 쓰면서 해보자 물론 나는 유료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