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파라메터 설정은 


SDXL 1.0 kohya_ss LoRA GUI 학습 사용법 (12GB VRAM 기준) - AI그림 학습 채널 (arca.live)


이 글 중간에 있는 설정파일 그대로 쓰고 있습니다. 어떤 파라메터를 조정해야할지 감이 전혀 안와서...



개인적으로 감잡은거라서 사람마다 환경마다 다르긴 할텐데.. 아무튼 그림체 로라 학습할땐


0. 태깅 없이 쌩으로 그냥 학습하는게 훨 타율이 높았던것 같음. 데이터셋 준비할땐 그림체명 + style 넣어서 그걸로 트리거 워드 만들면 되는걸로 충분한거 같고..


1. 이미지는 생각보다 많이 필요하지않음. 오히려 화질 나쁜거나 펜 선 지저분하거나 구도가 기괴한건 과감히 잘라내야함

개인적으론 200~300장이 가장 적절했던것 같음.


2. 가장 좋은건 깔끔한 칼라 일러형태로만 있는 이미지를 많이 구비하는게 좋음


3. 만일 그것만으로 좀 적고 만화만 그린쪽이라면 흑백 만화를 써도 됨. 단 펜 선을 깔끔하게 쓴 샷만 쓰고


컷을 잘라주는게 필요함. 포토샵으로 세세하게 자르는게 아니라 인물 한명만 나오도록 그냥 그림판으로 그 컷만 잘라주면 되고 좀 삐져나오는건 큰 영향을 안줌. 야한 망가면 크게 그린 절정 장면 하나씩 자르는게 도움이 됨.


4. 만일 역으로 CG집을 많이내서 일러형태 이미지가 많은 사람이라면 캐릭터와 구도와 체형을 많이 다양하게 구비할 것, 특정 작품 캐릭터만 그리는 사람이 들어가면 그 작품 캐릭터 느낌이 그림체에 섞일때가 많이 생김. 블루아카는 헤일로라던가 그런것...



그리고 결국은 개인이 만들면 NAI같은데서 만드는것보단 타율이 떨어지는건 감안할 수 밖에 없다는걸 인정해야지


안그러면 그래픽카드를 매일같이 혹사하는 자신을 보게될것..



그리고 이건 개인적 해골물인지 뭔지 스러운것인데 PONY용 그림체 로라 만드는 기준으로

그림체 프롬 앞에 anime lineart 혹은 source anime를 넣거나

그림체 프롬 뒤에 aze를 넣으면 좀더 깔끔해질때가 많아서 바꿔가며 테스트해보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