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이 글은 언리얼 엔진 및 블렌더 사용을 기준으로 잡은 글이고 유니티 엔진과 다른 3D 툴도 이와 큰 차이가 없음을 알림


1. 컴퓨터 CPU 선택

게임 엔진과 3D 툴에서는 CPU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왜냐하면 대부분의 작업은 CPU가 처리하고 GPU는 뷰포트(작업중인 화면)에 쏴줄때만 작동함
어느정도냐면 게임 엔진에 코드 컴파일, 물리 계산, 셰이더 컴파일, 그래픽 연산까지 전부 CPU가 처리하는데 예외적으로 실시간 하드웨어 레이트레이싱은 RTX 2000번대 이상 그래픽카드에서만 작동하기 때문에 이건 GPU가 처리함
 

이건 내 컴퓨터로 빌드 돌릴때 모습인데 올코어 최대 성능으로 몇시간동안 빌드 돌아감. 그만큼 발열도 심하기 때문에 공랭쿨러 쓰는 사람들은 뭐 돌릴때마다 드론 이륙하는 소리 들을 수 있다
그래서 되도록이면 공랭쿨러 보다 수랭쿨러를 추천한다

그럼 이제 최신 작업용 컴퓨터를 맞추기 위해 많이 고민하는 경우중 인텔과 AMD중 고민하는 경우가 많은데

인텔 13세대와 라이젠 7000번대를 한번 비교해보자

▪︎ 언리얼 엔진
인텔은 13600K부터 13900K까지
라이젠은 7600X부터 7950X까지

코드 컴파일, 셰이더 컴파일, 라이팅 빌드까지 포함해서 평균을 낸 점수인데 13600K vs 7600X, 13700K vs 7700X는 인텔의 압승
7900X 부터는 라이젠의 깡P코어 증가로 인해 격차가 좀 줄어들고 7950X는 라이팅 빌드에서 20%정도 앞서서 평균점수에서 13900K를 앞지를 수 있었음



▪︎블렌더

블렌더도 전체적으로 인텔이 앞서고 7950X 가서 역전하는 그림


그래서 결론은
7950X 살거 아니면 인텔로 사라
개발용으로 7600X, 7700X를 견적에 넣으면 뚝배기 깨진다는 뜻

2. GPU 선택

GPU는 CPU가 계산해준 정보를 모니터에 출력할때, 실시간으로 그래픽을 계산해야하는 작업에서만 사용되기 때문에 일반 게임을 플레이 할때와 비슷한 사용 환경이 만들어짐.

쉽게 말하자면 개발 환경에서는 그래픽카드를 안 쓰고 빌드 후 테스트 할때 많이 쓴다는거 ㅇㅇ

▪︎언리얼

실시간 레이트레이싱, 쿠킹된 그래픽 사용시 프레임을 평균낸건데 다른 상용 벤치마크 프로그램과 게임에서 그래픽카드 성능 비교 표와 매우 유사한 순위를 가짐


▪︎블렌더

블렌더도 마찬가지

두 표에는 없지만 4070은 3080과 동일하고 4060Ti는 3070과 동일한 자리에 있다고 생각하면 비슷함

그래픽 카드가 좋지 않아도 게임 빌드 하는데 문제는 없음. 1060으로도 게임은 뽑혀나오니까ㅇㅇ 근데 테스트시 프레임이 낮으면 작업하기 힘드니까 좋은 그래픽카드를 써야겠지



3. 램 및 다른 부품들

램은 다다익선임 RAM, VRAM둘다ㅇㅇ

언리얼 엔진 권장 사양중 램은 64GB임
블렌더는 32GB정도

이것보다 적으면 작업이 불가능한건 아니고 빌드 및 렌더링 시간이 좀더 걸리는거지


저장용량도 많고 빠르면 좋음

용량도 많이 잡아먹는데 언리얼 5.0 소스코드 빌드 버전 기준 200기가가 넘어감

근데 버전 한개만 쓸거야? 프로젝트 백업 안 할거야?

그리고 중간중간에 자동 저장 및 임시파일도 계속 저장될텐데 저장하는데 느리고 불러오는데 느리면 작업 시간만 낭비되는거니까 SSD 쓰자, 단순 프로젝트 백업용으로는 HDD써도 무방함





4. 요약
CPU는 인텔
GPU는 4070Ti 이상
램은 많이
SSD는 많고 빠르게

질문 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