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sedaily.com/NewsView/22NI91LL3M

인공위성·우주탐사선 등을 실어 나르는 우주발사체(우주로켓)는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발사된다. 그런데 국방부가 지난달 31일 흥미로운 로켓 개발 계획을 공개했다. 공중 기반 우주발사체를 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플랫폼 등을 개발하겠다는 내용이다. 지상 발사대가 아니라 항공기에 탑재해 공중에서 우주로켓을 쏘아 올리겠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아닌 국방부가 우주로켓 플랫폼 개발에 나서려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는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여부를 정밀 감시하고 유사시 신속히 예방적 타격을 가하거나 반격 차원의 강력한 응징을 하기 위한 다목적 카드로 풀이된다. 한미 미사일 지침 종료 결정과 한미 간 우주 협력 강화 방침도 중요한 배경이 됐다. 방산 업계의 한 관계자는 “국방부가 공중 발사 우주로켓 플랫폼을 개발하면 여기에 초소형, 혹은 소형 정찰위성 등을 탑재해 저궤도
(LEO)에 띄울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해당 로켓 기술을 응용한 공중발사탄도미사일(ALBM)을 개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유사시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한 억지력을 강화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공중 발사 방식의 장점은 저비용·적시성·탈(脫)지리성이다. 우선 발사 비용이 기존 방식보다 크게 절감된다. 기존의 지상 발사식 우주로켓 비용은 천문학적 수준이다. 미국의 우주 기업 ULA가 간판급 우주로켓인 ‘아틀라스Ⅴ’에 인공위성 등 각종 탑재물을 실어 우주에 보낼 때 고객들에게 청구하는 1회당 발사 총비용은 최저 1억 900만 달러(약 1,210억 원)부터 시작한다. 이는 ULA가 공식적으로 밝힌 일종의 최저 기본 운임일 뿐이고 실제 1회당 발사 비용은 지난해 기준으로 평균 2억 2,500만 달러(약 2,498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영국 항공 우주 기업 버진오빗은 공중 발사 우주로켓인 ‘런처원’을 운용하고 있는데 1회 발사 비용은 1,200만 달러(약 133억 원)인 것으로 전해진다. 런처원의 발사 비용이 아틀라스Ⅴ의 평균 발사 비용 대비 약 5.3%에 불과할 정도로 저렴한 셈이다.

1회당 발사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군으로서는 유사시 정찰·감청·통신 위성 등을 안보 상황에 맞춰 적시에 자주 발사할 수 있게 된다. 공중 발사 방식은 지상 발사보다 일반적으로 대기 밀도가 낮은 고고도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기상 조건의 제약도 덜 받는다.


국방부는 일단 위성을 쏘아 올리기 위한 ‘공중 발사 우주로켓’ 개발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다만 해당 기술을 바탕으로 중장기적으로는 ALBM을 개발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방산 업계의 한 관계자는 “우주로켓과 미사일은 기술의 원류가 같기 때문에 탑재체 자리에 위성이 아닌 탄두를 싣는 탄도미사일로 응용 개발될 여지가 있다”며 “북한이 사실상 탄도미사일인 광명성을 개발했을 당시 추가적인 국제 제재를 피하려고 ‘우주발사체’라고 주장할 수 있었던 것도 궁극적으로 탄도탄과 우주로켓 기술을 구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우리 군이 공중 발사 우주로켓이나 ALBM을 개발하려면 이를 탑재할 항공기를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 학계 전문가들은 우리 군이 보유한 KF-16, F-15K 전투기는 물론이고 C-130 허큘리스 수송기 등을 개량하면 ALBM을 탑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기존 기종을 개량하지 않고 신형 수송기를 독자 개발해 활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마침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최근 우리 군이 보유한 노후 수송기 등을 교체할 중형 수송기의 독자적 개발 방안을 연내에 군에 제안할 것으로 전해져 공중 발사 우주로켓과 연동될지 주목된다.


버진 갤럭틱 따라하겠다는 얘기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