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개인적 생각이다만,


모든 연합적 움직임에는 

행동의 목적성을 명확히 알리는 캐치프레이즈가 

존재해야 하고,


그 문장은 간결하게 목적성이 드러나야한다.


근데, 

언어적 문란을 유도하는듯이 

자꾸 [관세 민영화]란 말이 등장하더라.


애초에 물류의 수입/수출 유통에 대한 건은 

국가 통제의 건이고, 이는 민영화가 불가능한 부분임.


국가의 기반을 무너뜨릴 수 있는 영역은 

민영화가 될 수도, 되지도 않음.


따라서 관세의 민영화...라는 얼토당토 않은 내용을 

주장에 편입시키면 집단의 힘만 약해짐.




사태의 본질은 [kc 인증의 영리화 허용]임.


이게 몸통이고, 

여기서 직구 금지니 전품목 강제 kc인증이니 하는

곁가지가 뻗는 것.


그리고 현 정권은 이부분을 철폐한 적이 없다.

지금도 법제처 심사중임.


즉, 몸통은 죽지 않았어.


지금의 용어난립은 

누군가의 의도가 다분히 개입되고 있는게 아닌가 하는

우려까지 생기는 수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