ㅖㅏ 왔노?

밀도트 스코프는 이러한 레티클을 가진 스코프를 칭해

저 동글동글한 점이 인상적이지?

저 점들은 단순 멋이 아니고 각종 계산의 기능을 해

그럼 이제부터 저걸 읽는 방법을 알아보자

밀도트의 원리에 대해 설명하려면 탄젠트를 알아야해

문과 챈럼들은 머리가 아프겠지만 최대한 풀어서 설명해볼게

아니면 아래로 스크롤을 내려줘

탄젠트는 직각 삼각형에서 빗면의 각도와 밑변의 길이를 알면 높이를 알 수 있게 해 줘

위 사진처럼

우리가 총을 쏘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일단 편의상 탄은 직선으로 날아간다고 가정하고 중력 등 외력은 무시할거야

만약 너가 총을 정밀하게 쏘고 싶다면 1°는 상당히 부담스러울거야

100m×tan(1°)=1.74m

총을  1°만 올려 쏴도 100m 위치에서 탄은 이미 1.74m 위로 치솟아버려

그러니까  °보다 정밀한 단위를 생각해내야해

호도법을 보자!

호도법에서는 360°=2π rad= 6.283 rad으로 규정하고 있어
(rad:라디안)

근데 소수점이 없으면 좋겠는데?

6.283 rad = 6283 millirad 이니까 이 밀리 라디인 단위를 써보자

100m×tan(1millirad)=10cm

오? 1밀리라디안만큼 총을 올려서 쏘면 탄착군이 10cm 이동하네?

이정도면 정밀사격을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

밀도트 스코프는 이런 원리야

근데 6283이란 숫자는 이과생한텐 불편한 숫자일거야

소인수분해 하면 6283=61×103이 나온다니까?ㅋㅋㅋㅋㅋㅋ

잠시 독일 전차의 스코프를 살펴보자

독일 전차 스코프는 슈트리히라는 단위를 쓰고 있어

슈트리히는 원을 6400등분한다는 전제가 깔려있어

얘네들 6283은 쓰기 힘드니까 그냥 6400으로 퉁치자 한거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6400=2^(8)×5^(2)

간단하지?

그러니까 우리도 6400으로 퉁치자

100m×tan(360°/6400)=9.8cm

결국 100m당 2mm 손해라는 말인데

사격에 큰 지장은 없을거야

밀도트의 장점은 대상까지의 거리,

혹은 대상의 길이 둘 중 하나만 알고 있어도

탄도를 파악하기 간편해진다는 거야

위 사진은 레티클의 밀값을 나타냈어

아래 공식을 보자

밀=(표적거리×1000)/(거리)

예를들어 500m 거리의 탄착점을 1m 수정하고 싶으면

(1m×1000)/500m=2Mil

2밀만큼 보정해주면 된다는 결과가 나오지?

반대로 대상의 길이를 이용해 거리를 계산할수도 있어!

근데 해병대 게이는 참 독특해

6400이 아니라 원조 6283 밀도트를 사용해

계산은 좀 복잡해지겠지만 오차가 적으니까

더 정밀한 사격은 가능할거야

여기서부턴 사실 취향 차이지

우리 모두 밀도트로 재밌는 총질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