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FC M249 볼트캐리어 그룹



실제 M249 볼트캐리어 그룹

이렇게 보면 진짜 실제 볼트캐리어 그룹이랑 되게 비슷한데




액션 에솝에서 올린 분해 영상 보면

볼트캐리어 그룹의 위치를 보면 조금 이상함




실총 M249의 볼트캐리어 위치는 이정도에 위치하는데




일반적으로 뒤로 덜 후퇴하는 숏스트로크가 아니라

걍 챔버 위치 자체가 아예 뒤쪽에 위치한 거 같음


보통의 GBB는 챔버 위치 = 실총 약실의 위치인데

VFC M249는 탄피배출구 정도 위치에 있는 거 같음




그리고 노즐도 일반적인 GBB들보다 조금 더 긴 모양임

저 긴 노즐의 모양이 뭔가 익숙한데





데이토나 킷이랑 뭔가 비슷한 느낌이 있음


전체적으로 스트로크 길이 같은게 데이토나랑 비슷한 수준이고

형상이랑 반동제어는 실총이랑 비슷하게 생긴거보면 둘을 잘 섞은 구조인 거 같음





보통은 제품 홍보할때 단점으로 보일 수 있는 문구는 빼는 편인데

Lightweight Blowback을 굳이 표기한 이유가 이거 같음





근데 고무적인건

만약 데이토나킷과 거의 비슷한 구조였다면

아무리 옵션 파츠가 나온다고해도 반동을 증가하는 것이 힘들텐데





반동제어 시스템 부품이 걍 실총구조랑 거의 똑같음

이말은 옵션으로 반동이 제어가 가능하다는 뜻임


거기에 얘는 애초부터 CO2나 HPA를 고려한 탄창이라서

파워소스가 무거운 볼트캐리어 그룹을 충분히 밀어줄 수 있을 거 같음

관건은 리시버같은 외장 파츠가 높은 반동을 견딜 수 있느냐와





그리고 이부분이 탄창인데




볼트캐리어 상단부가 탄창이랑 직접적으로 맞닿고 있어서

탄창의 내구도 또한 중요할 거 같음





요약

1) 다른 GBB랑 다르게 스트로크가 짧은게 아니라 챔버 위치가 아예 뒤에 위치한 거 같음

=풀스트로크가 구조적으로 불가능함


2) 하지만 형상이나 반동제어 구조가 실총이랑 거의 동일함

=옵션 볼캐로 무게 증량해도 반동을 제어할 가능성이 있음


3) 탄창 자체는 HPA랑 CO2를 지원하기 때문에 파워소스도 충분함


4) 관건은 외장파츠와 내장파츠, 탄창의 내구도인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