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 의 상용화 시점을 알고 싶어요. 그리고 VRAM 과 비교해서 설명해주세요. 

HBM(High Bandwidth Memory)은 최근 몇 년간 그래픽 카드에서 주로 사용되는 GDDR VRAM 대체를 위한 기술입니다. HBM은 RAM 칩을 스택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여주는 혁신적인 기술로, 초고해상도 게임이나 3D 모델링 작업 등의 그래픽 작업에서 높은 성능을 제공합니다.

현재 HBM이 상용화되어 있는 그래픽 카드로는 AMD의 Radeon Vega시리즈와 Nvidia의 Tesla P100과 같은 고성능 GPU가 있습니다. 이들 그래픽 카드는 대조적으로 낮은 지연 시간과 높은 대역폭으로 CPU와 연결되거나 다양한 병렬 연산을 수행합니다.

HBM과 GDDR VRAM을 비교하면, HBM은 RAM 칩을 스택하여 작업할 수 있으므로 적은 공간에 많은 양의 RAM를 탑재할 수 있습니다. 또한, GDDR VRAM에 비해 낮은 전압과 저전력 소비로 인해 발열 문제가 해결되고, 더욱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HBM 기술이 상용화될 시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GPU 기술의 발전 속도를 고려해볼 때, 일부 전문가들은 HBM이 VRAM 대체 기술로 빠르게 안착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러한 발전이 GPU 성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HBM3 출시 되었나요?

HBM3는 아직 출시되지 않았습니다. 현재까지 HBM2E가 최신 버전으로, AMD에서는 Radeon RX 6000 시리즈에서 탑재되었고, NVIDIA에서는 A100 GPU에서 사용됩니다.

HBM3은 약속된 사양이 없기 때문에 출시 예정일도 예상할 수 없습니다. 다만, HBM2E와 비교하여 대역폭이 더욱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HBM3의 용량과 전력 관리 기술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GPU 기술의 발전 속도를 고려해봤을 때, HBM3의 출시 일정은 계속해서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BM3의 출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고자 한다면, 해당 기술을 공개하는 업체의 발표나 관련 뉴스를 주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https://news.skhynix.co.kr/post/sk-hynix-hbm3-revolution

SK하이닉스는 지난 10월 세계 최초로 HBM3(High Bandwidth Memory 3)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HBM3는 1024개의 데이터 전송 통로(I/O)를 탑재하고 핀(Pin)당 6.4Gbps의 데이터 전송률을 확보해, 초당 최대 819 GB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이전 세대인 HBM2E가 초당 460GB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었던 것과 비교하면 처리 속도가 약 78% 향상된 셈이다.


앞으로도 미래가 밝구만? 위에 모든게 사실이라면?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