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 후전편에서 글래스터연성이 추가된 이후에 가능해지는 것이므로 아직 글섭에서는 무리


어나더포스를 쓰지 않고 첫턴째에 보스의 뚝배기를 깨버리는 파티이다

딜은 메인딜러 혼자서 넣고 나머지 파티원 다섯은 버프와 디버프, VC, P글래스터 등을 이용해 메인딜러의 딜량을 극대화시키는 방식으로 편성을 하게 된다.



1. 메인 딜러

현재 일섭 기준 메인 딜러로는 AS 유인, 유키노, 바이올렛이 많이 쓰인다.


AS 유인

특징 : 적에게 걸린 디버프 수에 따라 데미지가 증가하는 화속성 광역공격, 전개되어있는 타입 ZONE에 따라 공격타입이 변하므로 범용성이 높다.

자체 속도스탯이 낮은 편이기에 파티 행동순서 조절이 쉽다.

단점 : 남캐릭터다. 일러스트가 게이같다.


유키노

특징 : 자신에게 걸린 버프수에 따라 데미지가 증가하는 수속성 찌르기 단일공격, 반드시 후공으로 공격하는 수속성 광역 마법공격

단점 : 적이 2마리 이상 나오는 전투에서는 1턴킬이 힘듬 (광역 마법공격으로 1턴킬이 가능은 하나 후공이기에 운빨이 작용)

천255시 속도가 288로, 보조멤버들 속도를 올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불굴무기가 강제될 수 있음. 


바이올렛

특성 : 페르소나5R 콜라보 배포캐릭터. HP 80% 이상일 때와 크리티컬시에 데미지가 증가하는 땅속성 베기 단일공격

단점 : 적이 2마리 이상 나오는 전투에서는 1턴킬이 불가. 

천255시 속도가 264로, 유키노만큼은 아니지만 보조멤버들 속도를 올리기 힘든 경우엔 행동순서 조절이 어려워짐 


걸 수 있는 디버프를 다 걸고 받을 수 있는 버프를 다 받은 다음에 메인딜러가 딜을 해야 최대한의 딜을 뽑으므로, 메인딜러의 속도는 아군 중에선 제일 늦게 행동하지만 적 행동보다는 빠르게 행동하는 정도의 속도를 맞추는것이 중요하다.

적보다 늦게 움직일 경우에는 메인 딜러가 공격을 받아서 최대HP시강화 효과를 받지 못해 1턴킬을 내지 못할 수 있다.


메인딜러의 방어구는 2부 후전편에 추가되는 필드장비인 혼신의 OO(최대HP시 데미지 상승)를 추천한다.


글래스터는 해독의 힘 (대상에게 독이 걸려있을 시 입히는 데미지 증가) or 결통의 힘 (대상에게 페인이 걸려있을 시 입히는 데미지 증가) 을 3개 장비하는 것을 추천. 전부 따로 곱연산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데미지 뻥튀기가 가장 크다.

글래스터 연성은 장미에는 가시(데미지 15% 상승하지만 MP 소비량 50% 증가)를 추천. 미가를 기준 스킬 총 3방밖에 안쓴다.

약점속성 상대시에는 엎친데덮치기(약점시 데미지 10% 상승)도 좋고, AS유인의 경우에는 배수의 진(적 수가 많을수록 데미지 증가)도 괜찮다.

폼을 활용하는 경우 독/페인 인핸스 (자신이 독/페인에 걸려있을 경우 공격력 상승) 연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천명치가 200 이상일 경우 회심의 힘 글래스터를 추가로 장비하고 글래스터 4개 모두 회심률UP 연성을 하게 되면 크리티컬률 100%를 맞출 수 있으며, 이 경우엔 크리티컬 버프 요원을 편성하지 않아도 된다.


바이올렛의 경우 전용무기에 크리티컬률 +30%가 붙어있고 주력스킬 자체에 크리티컬 확률 보정(50%)이 붙어있어 장비한 글래스터 1개에 회심률UP 연성을 해주면 (+15%) 행운스탯에 따른 크리율을 포함하여 100% 크리티컬이 뜨므로 크리티컬률 버프 요원을 편성하지 않아도 된다.



2. 보조멤버 


2.1. 독/페인 요원

메인 딜러가 독/페인시에 데미지 증가 글래스터를 장비하기 때문에 독이나 페인을 거는 멤버는 필수이다.

확정으로 독/페인을 걸면서 내성감소 등의 디버프를 함께 걸 수 있으면 더 좋다.

추천 캐릭터로는 현현 엘가, 현현 라클레어(AS,노멀 모두)

AS나기나 라디아스, 현현 수제트 등도 가능하다


독/페인을 거는 캐릭터가 쓸만한것이 없다면 해독의 힘 글래스터나 결통의 힘 글래스터를 잠재광석으로 연성한 것을 장비시켜서 쓸 수도 있겠지만 안걸려서 좆될 확률도 존재한다.


주회용으론 추천하지 않지만 극한의 딜딸을 쳐보고 싶다면 폼의 나락의 약 스킬을 써보자.

메인딜러 글래스터에 독 or 페인 인핸스 연성을 하고 폼은 해독/결통의 힘 글래스터를 잠재광석으로 연성하여 장비시키면 나락의 약 스킬 사용시 아군에게도 독/페인이 걸리면서 독/페인 인핸스 효과가 발동되어 데미지가 뻥튀기된다.


2.2. 버퍼/디버퍼

독/페인 요원도 디버프를 함께 걸 수 있지만 이 항목에서 말하는 버퍼/디버퍼는 독,페인을 걸지 않으면서 버프/디버프를 거는 스킬을 쓰는 파티원을 칭함.


유인 AS의 경우 적에게 디버프가 4종류 이상 걸려있을 경우 최대 딜을 낸다.

독/페인 요원이 거는 디버프를 제외하더라도 한번에 디버프를 2~3종은 걸 수 있는 멤버를 추천 

길드너, AS 엘가, 현현 이스카, 현현 렌리, 모르가나는 디버프를 한번에 3종류를 걸 수 있음


유키노의 경우 자신에게 걸린 버프가 8종류 이상일 경우 최대 딜을 낸다 

P글래스터 등으로 버프수는 어느정도 충족되어 있어 8종류 채우기는 어렵지 않으니 버퍼는 적당히 챙겨가도 상관없다.

추천 캐릭터는 AS시엘 (활장비자 데미지 증가), 현현 유나 등


2.3. 크리티컬 버프 요원

크리티컬 발생 여부에 따라 데미지가 엄청나게 차이가 나므로 크리티컬률 100%를 맞추는것은 매우 중요하다.

다만 천명치 200을 채운 경우에는 글래스터를 통해 자체 크리티컬 100%를 맞출 수 있으므로 크리티컬 버프 요원은 불필요해진다.

크리티컬 버프 요원으로는 듀나리스, 밍화, AS츠키하, AS라디카(행운330이상), AS셰이네(VC로 크리버프), AS이루루(VC로 크리버프)가 있다.

메인딜러로 쓰지 않을 경우 바이올렛도 크리티컬 버프 요원으로 기용이 가능하다.


AS 라디카의 경우 행운 330 세팅을 하게 되면 속도 스탯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명 75 미만에서는 아세트비타 10강을 껴도 유인보다 늦게 스킬을 쓸 때가 있을 정도이니 정 쓰고싶다면 유인에게 불굴망치를 들려주거나 라디카의 명 수치를 더 올리도록 하자. 


2.4. VC 셔틀

VC로 버프/디버프를 거는 캐릭터

딜량을 최대화하고 싶다면 ZONE을 전개하는 캐릭터나 크리티컬시 데미지를 증가시키는 캐릭터를 추천

크리티컬률 버프 요원이 마땅한게 없을 경우 VC로 크리티컬률을 올려주는 캐릭터 (AS셰이네, AS이루루)를 사용할 수도 있다.

주회 속도가 몇초정도 느려지니 VC를 안써도 클리어가 가능하다면 쓰지 않는것도 좋다.


유인 AS의 경우 타입존을 전개하는 캐릭터들을 추천 

(AS 이루루 - 베기ZONE + 크리100%, 이프 - 타격ZONE + 크리티컬시 위력증가, AS포란 - 찌르기ZONE, AS로제타 - 마법ZONE)

바이올렛의 경우는 밍화가 제일 좋다 (땅ZONE, 크리티컬시 위력증가)


2.5. 글래스터 셔틀

P글래스터를 장비해서 메인딜러에게 버프를 주기 위한 캐릭터. 

딜량을 올려주는 P글래스터는 주로 속성 상급 글래스터와 HP최대시강화 글래스터, 전능의 힘 글래스터가 해당된다.

독/페인 요원이나 버프/디버프 요원 등의 멤버들이 메인딜러와 퍼스널리티가 맞아떨어져서 P글래스터를 장비할 수 있다면 제일 좋겠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따로 글래스터셔틀을 기용하게 된다. 

글래스터 셔틀 용도로만 편성했을 경우에는 주로 전열에 넣어서 바로 VC셔틀과 교대하거나 아예 서브로 빼놓게 된다.


AS유인의 퍼스널리티는 망치, 단것 애호가, 안경 이므로 메리나 (망치, 단것애호가), 렌리(단것애호가, 안경) 가 셔틀로 추천됨   


유키노의 퍼스널리티는 활, 동방이나 둘 다 만족시키는 캐릭터가 없으므로 적당히 나눠서 넣는다. 

예를들어 독/페인 셔틀인 라클레어나 버퍼 AS시엘에게 활 관련 P글래스터를, 크리버프 요원인 밍화에 동방 전능글래스터를 장비하는 식  


바이올렛의 퍼스널리티는 검, 가면, 괴도단인데 조커와 모르가나가 3개 모두를 만족하여 최고의 글래스터 셔틀이 된다.

다만 속성상급, 최대HP시강화, 가면전능, 괴도단전능으로 P글래 4개를 끼워야 하기 때문에 조커나 모르가나의 천수치가 200미만이라면 다른 멤버가 P글래스터 하나를 부담해야 한다.


2.6. 천명작업 대상 / 인카운트 관련 글래스터 셔틀

노어포 1턴킬팟은 대개 던전 주회용으로 사용하게 되며 해당 던전에서 천명수치를 올릴 수 있는 캐릭터를 편성하지 않으면 손해이다.

가를레아나 베하 어나던에선 일반몹 상대로 딱히 먹을것이 없으니 인카운트 다운 연성을 한 글래스터를 장비시키자.

이경의 경우에는 렐름몹이 중요하니 인카운트 업 연성이 좋다.



3. 편성예시 (프론트 // 서브)

AS유인(자체크리100% 세팅) + 현현 라클레어 (독 요원) + 길드너 (잡몹처리, 디버퍼) + 메리나 (글래스터셔틀) // 이프 (VC셔틀) + @

AS유인(자체크리100%) + 현현 엘가 (페인 요원) + 길드너 (디버퍼, 잡몹처리) + AS아나벨 (잡몹처리) // 이프 (VC셔틀, 글래스터셔틀) + @

AS유인 + 현현 라클레어 (독 요원) + 길드너 (잡몹처리, 디버퍼) + 메리나 (글래스터셔틀) // 이루루 (VC셔틀, 크리버프요원) + @

유키노 + 현현 라클레어 (독 요원, 글래스터셔틀) + AS시엘 (버퍼, 글래스터셔틀) + 밍화 (크리버프요원, 글래스터셔틀) // @

유키노 + 현현 유나 (독 요원, 글래스터셔틀) + AS시엘 (버퍼, 글래스터셔틀) + 듀나리스 (크리버프요원) // @

바이올렛 + 현현 엘가 (페인요원) + 알도 (글래스터셔틀) + 조커 (글래스터셔틀) // 셸리느 (천명작업 대상, VC셔틀) + 밍화 (VC셔틀)

등등... 


졸려서 여기까지